누군가에게서 "나이에 비해 애띄어 보인다" "애띤 얼굴이 내 나이보다 다섯 살은 어려 보인다" 등과 같은 말을 듣는다면 더없이 기분이 좋을 것이다.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인다는 의미를 나타낼 때 이처럼 '애띠다' '애띄다'를 활용한 '애띄어' '애띤' '앳뗘' 등의 표현을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얼굴에 환한 미소를 띠었다" "붉은빛을 띤 장미"에서와 같이 감정이나 빛깔 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때 '띠다'고 표현하다 보니 '아이(애)' 같은 느낌을 '띠고' 있다고 생각해 '애띠다'고 쓰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는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애티가 있어 어려 보인다는 뜻으로는 '앳되다'가 바른말이다. '앳되고, 앳된, 앳돼' 등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앞서 든 예문은 "나이에 비해 앳되어 보인다" "앳된 얼굴이 내 나이보다 다섯 살은 어려 보인다" "얼굴이 앳돼 보여 나보다 훨씬 어린 줄만 알았다" 등으로 고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