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일·감정 따위가 이리저리 복잡하게 된 경우 ‘얽히고설키다’는 표현을 쓴다. ‘얽히고설키다’를 잘못 쓰기 쉬운 이유는 단어의 받침 표기에 일관성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형태를 밝혀 적고자 한다면 ‘얽히고섥히다’고 해야 할 듯하고, 소리를 밝혀 적고자 한다면 ‘얼키고설키다’고 해야 바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얽히고설키다’에는 복잡한 우리말 규칙이 길들어 있다. 우선 ‘얽히고’는 ‘얽다’에 피동 접사 ‘-히-’가 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용언의 어간에 -기-, -리-, -이-, -히- 등의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들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얼키다’가 아닌 ‘얽히다’로 써야 한다. ‘섥다’는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에 발음대로 ‘설키다’고 써야 한다. 따라서 ‘얽히고설키다’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