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주말 씨티그룹에 대한 2차 구제금융〈본지 11월24일자 A-1면>에 나서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선 시장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보고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이같은 지원이 씨티그룹의 모든 부실을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인 효과는 미지수라는게 중론이다.
또 정부의 이같은 노력이 리먼브러더스 투자은행과 달리 AIG에 대해 회생을 선택한 것 처럼 씨티그룹이 금융권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주요 언론들은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주말 진행된 정부 관계자들과 씨티그룹 경영진과의 협상에세 헨리 폴슨 재무장관과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물론 차기 행정부의 재무장관으로 내정된 티머시 가이스너 뉴욕연방은행 총재까지 참석 정부가 씨티그룹의 회생 가능성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구제금융으로 씨티그룹은 일단 부실자산에 대해 최대 3060억달러까지 정부의 지급 보증을 받게 됐다. 또한 이미 받은 250억달러외에 추가로 200억달러를 더 지원받는다.
그러나 금융권 전문가들은 200억달러의 추가 구제금융으로 씨티그룹의 부실을 모두 해결하긴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또 이번 조치로 인해 다른 은행들이나 금융기관들로부터 정부가 비슷한 요청을 받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CNBC는 24일 이번 씨티그룹의 구제안이 부실자산에 대한 지급보증으로 씨티그룹이 대출을 계속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기존주주들이 배당에 제한을 받게돼 주주가치가 희석되는 부정적측면도 함께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씨티그룹 주가는 구제금융 호재로 지난 주말대비 2.18달러 57.82% 폭등한 5.95달러에 장을 마쳤다.
정부는 23일 씨티그룹에 200억달러를 직접 투입하고 부실자산도 3060억 달러까지 보증한다고 전격 발표했었다.
# 씨티그룹 구제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