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브라가 위협적인 상대의 눈과 얼굴을 향해 독액을 뱉으면 백발백중 명중하는 비결이 밝혀졌다고 디스커버리 채널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워시번대학 연구진은 세 종류의 침뱉는 코브라를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이들의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 이들이 마치 공을 던지기 전 타자의 심리를 계산하는 야구 투수처럼 근육운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생리ㆍ생화학 동물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들은 "코브라가 배출하는 독은 2m까지 뻗치고 명중률도 대단히 높기 때문에 훌륭한 저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눈 보호용 특수 안경을 쓰고 코브라 앞에서 머리를 움직여 코브라를 자극한 뒤 이들의 움직임을 안경에 부착된 가속도계로 추적했다.
연구진은 또 일부 코브라를 마취시켜 독샘과 머리 및 목을 관장하는 근육들의 운동을 추적하는 전자기 장치를 부착해 관찰한 결과 코브라가 독을 쏘기 전 근육 하나가 수축하면서 평소 독이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송곳니의 차단장치를 풀고 이어 독샘 안의 다른 근육들이 수축해 독액을 송곳니 밖으로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또 코브라의 독이 어떻게 그처럼 정확하게 명중하는지 관찰한 끝에 상대가 머리의 방향을 바꾼 직후에 침을 뱉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즉 상대가 머리를 움직이면 코브라도 머리를 돌리다가 독액을 쏘는데 그 움직임은 기하학적 계산에 따른다는 것이다.
연구원이 먼 거리에서 머리를 직선으로 움직일 때는 코브라가 그 움직임을 따르기 위해 약간의 각도 조절만 하다가 막상 독액을 뱉을 때는 머리의 움직임을 빨리 해 상대를 앞지르면서 상대의 눈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독을 쏘는 것으로 밝혀졌다.
코브라가 방어용으로만 뱉어내는 독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눈을 멀게 하기도 하지만 뜬 눈에 맞았을 때는 체내로 들어가 다른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과학시리즈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