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과 상관없이 가게들마다 일제이 세일이고 식당들도 요즘은 저렴한 가격에 톡톡 튀는 메뉴를 선보이며 생존 경쟁이 치열해졌다. 서민들이 주로 찾는 골프장마저도 주말에 별로 밀리지 않고 여유있게 칠 수 있다고 비싼 찻집보다는 실용적인 빵가게가 더욱 붐빈다.
그래도 한국이나 이곳 미국이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해지고 결국 실제적 경기의 흐름을 예민하게 받는 것은 늘 서민들의 일상 생활이다.
에스크로 진행시 반드시 필요한 시청이나 관공서의 서류를 접수하고 진행하는 데에도 은근슬쩍 가격이 오르는 것은 물론이고 'Up Front Fee' 즉 선납을 해야만 받아준다. 그것도 셀러나 바이어의 개인 수표가 아닌 은행의 보증 수표나 에스크로 회사의 체크만이 통과된다.
시 정부뿐만이 아니다. 콘도나 새 집단지의 관리 사무소의 수수료들도 미리 선납하지 않으면 어떠한 서류도 미리 내주는 법이 드물어 졌다.
이러한 서류들은 셀러가 바이어에게 계약서에 명시된 기한내에 반드시 전달해야 하고 자신이 검토하고 받아 들일 수 없는 어떤 조항이 있는지 살펴 보아야 하므로 매우 중요한 과정이므로 에스크로 오피서는 시간에 맞추느라 늘 바쁘기 마련이다.
바이어의 계약된 디파짓 이외에 셀러로부터 미리 받아야 하는 이러한 선납용 체크들 때문에 요즘은 쓸데없이 더 바쁘고 복잡해졌다. 사실 100% 클로징에 대해 요즘처럼 확신할 수 없는 때에는 미리 지불해야 하는 비용들이라고 하면 반가와 하는 셀러가 별로 없다.
"아니 에스크로에 있는 디파짓으로 좀 쓰면 않됩니까?" 라든지 "오피서가 미리 좀 내주면 않됩니까?" 같은 당혹스런 요구들때문에 요즘은 머리가 더 빨리 쇠는 것같다.
에스크로의 트러스트 어카운트에 계약된 금액이 있어야 하고 이러한 디파짓은 양측의 동의없이는 페니도 건드릴 수가 없다. 그리고 에스크로 회사의 제너럴구좌와 손님들의 트러스트 구좌는 반드시 독립적으로 분리되야만 한다. 더구나 에스크로 오피서의 개인 자금이 디파짓 혹은 지출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고 이는 철저한 정부의 감사를 거치도록 제도화 되어있으므로 금기 사항이다.
서로가 여유있을 때에는 너그러웠던 비용들에도 셀러와 바이어가 심각하게 실강이를 벌이기도 한다. 가게 인수한 다음 날 나가보니 화장실 휴지까지 셀러가 가져갔다고 아침부터 육두문자를 올리는 바이어의 볼멘 소리를 듣고 놀라기도 한다.
사업체를 팔 때에도 또 반대로 사업체를 구입할 때에도 사업에 대한 구상과 해석을 하는 각양 각색의 사람들때문에 에스크로는 '풍랑의 돗단배'가 될 때가 많다. 단지 사업체만이 아니라 인생의 행로를 민첩하게(?) 바꾸는 손님들도 있고 에이전트들도 있어서 마음이 씁쓸할 때가 있다.
20대나 30대 그리고 지금이나 그날이 그날처럼 지내는 필자같은 사람들에게는 능력밖의 일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직업과 분야를 미련없이 바꾸어야 하는 시절이 한편으로는 원망스럽기도 하다. 주인이 바뀌면 왜 꼭 간판이 바뀌고 실내 장식이 변해야만 하는 걸까? 왜 메뉴가 바뀌어야 하고 광고가 바뀌어야만 장사가 되는 것일까?
경기때문에 세태에 맞추어야 하고 경기때문에 유행을 따라야만 성공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고 세상이 아무리 변한다 해도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것이 신뢰로 남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경기가 좋으므로 자신의 돈을 아깝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다만 사람들의 마음을 얼마나 느긋하게 만들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늘 문제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