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잘 되는 비지니스 뭐가 있습니까" "어떤 사업체가 잘 나가나요" 등이 일상적으로 손님들한테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사업체 셀러나 바이어는 물론이고 심지어 재융자하는 분들 그리고 전화문의까지 늘 뜨거운 관심은 타운에서 어떤 비즈니스가 소위 잘 나가는 업종인가 하는 것이다. 부동산 전문인이 아닌 에스크로에 어울리지 않는 질문이므로 여담 정도의 대화가 보통이지만 대화하는 손님들의 수준은 이미 반 전문인이 되어 있어 놀랄 때가 많다.
80년대 후반까지 손님들 사이에 가장 선호하는 사업체는 세탁업과 리커 마켓이 압도적이었다. 은행 융자도 비교적 잘 나오는 편이었고 다운 페이먼트도 절반 이상이었다.
소형 햄버거 가게나 테리야키 가게들이 적은 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는 손쉬운 사업으로 유행이 되었고 88올림픽 이후 여행 자유화 물결로 타운은 한국의 문화가 급속도로 전파되기 시작했고 자본의 유입으로 성장이 가속화됐다.
90년대 초 한인타운 코너마다 설렁탕 집이 들어섰고 순두부 붐이 뒤를 이었다. 그 후 점점 부가 축적된 타운은 종업원 운영 100% 혹은 주말 휴업을 찾는 바이어로 프랜차이즈가 유행하여 매주 마다 세미나가 열리기도 했다.
한때 건물마다 보바샵이 들어서기도 했고 2000년대에는 커피샵이 소액투자의 단골 코스처럼 에스크로 오픈이 되었다. 코인론드리가 상한가를 보이기도 하더니 요즘은 웰빙의 붐을 타고 요거트 가게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소위 '뜨는 장사'들 때문에 에스크로는 늘 비슷한 사업체의 오픈으로 정신이 없다.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발 빠르게 시대에 부응하는 손님들은 자신의 독특한 개성과 노력으로 큰 돈을 버는 분들도 있다. 그러나 다른 분들의 사업을 모방하는 경우가 많아서 상호도 비슷하기까지 하다. 사실 조금 시간이 흐른 후엔 어떤 사업체가 원조인지 조차 혼란스럽다.
가끔씩 안면있는 타인종 손님들의 전화를 받은 때가 있는데 참으로 재미있다. 자신의 사업체를 반드시 한인들에게 팔고 싶다는 의지인데 그 이유가 사뭇 괘씸(?)하다.
자기 가게에서 좀 떨어진 같은 업종의 사업체를 한인이 후한 가격에 매입하여 그 주인이 대만족이라고 들었는데 자신도 그런 '횡재'를 하고 싶다는 내용이다.
애써 배운 한국 인사까지 갑자기 섞어가면서 굳이 친구가 되고 싶어하는 데에는 한 번 생각해 볼 일이다. 붐을 타는 사업체라면 목숨 걸고 쫒아다녀 보고야 마는 우리네 풍토가 다른 사람들 눈에는 눈먼 바이어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지도 모른다.
한인 바이어는 무조건 OK가 많고 다운 페이먼트도 엄청 많이하고 매우 부드러워 정말 좋다나…. 같은 한인끼리 조심해야 한다는 이민지침 1호를 아직도 철저하게 믿는 우리 바이어 분들은 그들에게 당연 선호받는 '0순위' 바이어인 것이다.
한국 사람들은 잘 되는 장사 바로 옆에 자기 가게를 차리기를 원하고 중국 사람들은 잘 되는 집 멀리에 차리기를 원하다고 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