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School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AMCAS(American Medical College Application Service)를 통해 공동지원을 하는 것이 첫번째 순서인 것은 이제 대부분의 독자분들이 아시는 사항이 되었으리라 믿는다.
6월 첫주에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도 더이상은 강조하지 않겠다. 자, 이제 지원을 했다고 가정하자. 대학시절의 성적표도 제출이 되어졌을 것이다.
그 성적표는 AMCAS의 기준에 맞게 재구성이 된다. 각 대학에서 제출한 모습이 아닌 각 의과대학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AMCAS를 통해 모습을 바꾼다. 그 재구성이 되는 과정 및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대학시절의 모든 과목들이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 첫번째가 BCPM 과목들이고, 나머지는 A/O 과목들이다. 여기서 BCPM은 Biology(생물), Chemistry(화학), Physics(물리) 및 Math(수학)을 의미한다. 즉, 자연과학 과목들을 총칭하는 단어이다. 그 나머지의 모든 과목들은 A/O(All Other)로 표기된다. 또 다른 분류가 하나 더 있다.
대학에서 작성해서 보내준 성적표에는 포함이 되어있으나 AMCAS에서 걸러내서 의과대학에는 보고가 되지않는 성적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AP과목들의 성적이다. 즉, 고교시절에 열심히 대학과목들을 들어서 받아놓은 학점들은 의과대학을 진학하는 과정에는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다.
BCPM은 그렇다면 실질적으로 어떤 과목들인지를 묻는 부모님들이 (가끔은 학생들도) 많이 있기에 자세히 설명을 하기로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