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대학에 한 번 더 보내는 비용보다 조금 더 든다고 생각하면 가장 가까운 답을 찾을 수 있다. 각 대학마다 매년 COA(Cost Of Attendance)를 발표하듯 각 의대마다 일년간 소요경비의 예상치를 발표하고 있다.
Board of Trustees에서 매년 그 해에 적용될 Tuition(등록금)을 결정하면 그 해의 물가를 반영하여 다른 예상경비들을 산출하여 발표하게 되며, 일반적인 논리가 적용되어 주립의대가 사립의대보다는 비용이 덜 들겠다.
예를 들자면 하버드 의대에서는 2009학년도 신입생의 경우 일년간 예상되는 경비를 6만6000달러로 발표했다. 그중 4만2500달러는 등록금이고 2만4100달러는 다른 여러가지 비용들의 합친 액수이다.
Univ. of Virginia 의대는 주립이므로 주민과 비주민을 구별해서 학비를 적용한다. 역시 2009학년도 신입생의 COA를 버지니아 주민의 경우 5만4968달러로 발표했다.
그중 3만5150달러는 등록금이고 1만9818달러는 기타 경비들을 합친 액수이다. 버지니아 주민이 아닌 신입생의 경우는 등록금을 1만 달러를 더 요구한다.
그러므로, 등록금 4만5150달러에 기타 경비 1만9818달러를 더해 총 5만5150달러의 총경비를 일년간 예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비싼 학비를 내야만 한다. 물론 대학에 진학할 때와 마찬가지로 각 가정의 지불능력에 따라 정부와 학교가 도움을 준다.
이 경우에도 Dept of Education의 FAFSA(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를 기본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각 의대마다 Institutional Application Form을 비롯해 조금씩 다른 형태의 학자금 보조를 위한 지원서를 요구하고 있다.
각 의대에서는 제출된 여러가지의 Financial Aid(학자금 보조)용 지원서류들을 분석하여 각 가정의 학비 지불능력(Family Contribution)을 책정하게 되며 총 소요경비에서 각 가정이 지불할 액수를 제해 학비보조가 필요한 액수(Need)를 정한다.
대학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라면 여기까지는 익숙한 개념일 것이다. 하지만 그 Need를 맞춰주는 방식은 각 의대마다 천양지차의 방식으로 각 학생에게 적용하고 있다. 좋은 소식은 아무리 비싸더라도 돈이 없어 못 다니는 일은 없다.
의대에 입학만 하면 학생 본인의 명의로 융자를 받아서라도 학업을 할 수는 있다. 물론 연방정부의 무의촌 진료의사제도 및 군의관제도등 다양한 학비보조 프로그램들도 있다.
하지만 의대입학을 위해서도 많은 경비가 소요된다. 이 부분은 전적으로 부모가 책임질 부분이다.
대학까지 보내줬으면 학생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하는 학부모도 의대입학을 준비하는 자녀에게만은 예외적으로 생각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다. 돈 벌어가며 의대입학준비를 하기란 매우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입학만 하면 어떻게든 다닐 수가 있다지만 입학을 위해서는 수만불의 경비를 예상해야 한다.
준비가 잘 안된 학생일 경우에는 오만불까지 지출하는 경우도 있고 잘 준비된 학생도 만불은 쉽게 넘어간다. 원서제출에 드는 비용을 지원해 주는 제도를 활용하면 된다는 자녀의 말은 무시하시기 바란다.
의대입시에 가장 중요한 사항인 남들보다 앞선 지원서 제출을 할 수가 없게되기 때문이다. 남들은 의대에 지원할 때 부모가 준비를 제대로 못한 학생은 지원을 위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게되며 합격의 확률은 현저히 낮아진다.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부모님의 기본적인 경제력은 갖춰져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