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한방칼럼]식약동원(食藥同源) 금은화(金銀化)

Dallas

2009.09.30 15:5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전승 한방병원 원장 송 경식
요즘은 사스 바이러스(sars virus)와 HiN1(swine virus) 등으로 인한 유행성 독감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에서는 특히 인구가 많은 이유로 바이러스의 전파가 빨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급히 백신이 만들어 지고 급히 만들어진 백신은 일반사람들을 실험대상으로 하며 공급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급히 만들어진 백신의 임상학적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할 시간적인 여유도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전통 한의의 우수성을 다시한번 실감하게 된다.

요즘 한약재료상에서는 금은화라고 불리는 인동덩굴꽃이 수요를 못 따라가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다. 이 금은화가 바로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사스(Sars)와 스와인(Swine) 독감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약제이다.

한의사라면 누구나 이런 유행성 독감의 처방으로 금은화를 먼저 군약으로 삼을 것을 생각 하는 것이 한의학상의 통념인고로, 금은화의 사용의 색다른 이유는 없다.

그러나 금은화의 약효는 대단하다. 인동(忍冬)을 만병의 약이라 부르는 이도 있으며 중국인 중에는 약용 인삼보다도 더 효과가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금은화는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완전히 말린 것과 꽃의 새싹을 따서 말려서 꽃의 모양을 보전한 것 등이 있으나, 육진양약과는 달리 꽃은 완전히 말린 것 보다는 새싹을 따서 말려서 꽃의 모양이 보전된 것이 좋다. 물론 한약처방에서는 다른 약제들과 함께 처방을 하여야 약효를 기대할 수가 있다.

금은화(金銀化)는 인동과에 속하는 인동덩굴의 꽃이며 다년생 반상록 덩굴성 식물이다.

금은화의 성분은 잎에 로가닌,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루테오린을 함유하고 꽃에는 이노시톨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금은화(金銀化, 인동덩굴꽃)는 종기 부스럼종기와 부스럼에 특효(特效), 매독(梅毒) 등 살균에 효력(效力)이 있다.

살균작용이 있어서 매독, 임질 등에 효과가 있고 감기, 해열, 숙취, 장카타르, 관절통, 타박상, 탈항, 치질 등에도 유효하다. 인동잎과 쑥을 목욕물에 넣어 입욕하면 습창, 요통, 관절통, 타박상에 좋고 창포 등을 넣고 약탕(藥湯)은 개선(옴)에 효과가 좋아 많이 이용한다. 금은화를 그냥 차로 들면 다이어트에도 좋다고 한다.

인동초에 대한 전설도 많다. 그러나 금은화라는 이름은 꽃의 색이 금색과 은색이 함께 있다고 하여 불리는 이름이다.

한방상담(972)608-887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