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은 원래 관형사다. ‘첫 만남, 첫 시험’ 등처럼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당연히 뒷말과 띄어 써야 한다.
‘첫눈’ 역시 원래는 띄어 써야 하지만 순수와 설렘으로 다가오는 존재를 소홀히 대접할 수가 없다. 그래서 특별한 지위를 부여해 ‘첫눈’이 된 것이다. 자주 쓰이면서도 단순히 ‘처음 오는 눈’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첫눈’처럼 하나의 단어로 대접받는 대표적 낱말이 또 있다. 무엇일까? ‘첫사랑’이다. ‘첫사랑’은 첫눈보다 더 큰 설렘으로 다가온다. 이들처럼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으면서 한 단어가 된 것으로는 ‘첫날, 첫선, 첫발자국, 첫출발, 첫인상, 첫마디’ 등이 있다.
그렇다면 ‘첫출근’ ‘첫만남’은 하나의 단어일까? 아니다. 한 단어가 될 만도 한데 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 하나의 단어인지 아닌지는 사전이 판단한다. 이들은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으므로 ‘첫 출근’ ‘첫 만남’처럼 띄어 써야 한다. 궁금할 때는 사전을 찾아보면 된다.
# 우리말 바루기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