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오문식의 융자 이야기] 시도 때도 없는 독촉전화

Washington DC

2010.01.06 15:1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Premier Funding Group
요즘 신문광고 또는 우편으로 배달되는 광고 전단지를 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페이먼트를 지불하지 못하는지 짐작하게 한다. 카드 빚을 절반 이하로 줄여준다는 광고, 어디서 정보를 얻었는지 마치 모기지 은행에서 발송한 것처럼 위장한 모기지를 줄여준다는 광고, 또 크레딧에 관계없이 모든 빚을 하나로 묶어준다는 광고까지 그 범위도 다양하다.

여기저기에서 하루에도 수십 통씩 빚 독촉전화를 받아봤다면 어느 순간부터 이런 광고들을 자세히 읽어보는 자신을 발견할 때가 많다. 어떻게든 해결해야지 하면서 정작 해결방법은 돈밖에 없다. 그래서 미루고 미루다가 결국엔 파산신청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빚이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많다면 개인파산신청은 유일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해결할 노력도 해보지 않고 그냥 맘 편하게 파산신청을 할 만큼 파산신청이라는 것이 단지 골치 아픈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돼서는 안 된다. 오늘은 골치 아픈 독촉전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모기지 연체: 집에 대한 모기지 연체에 대해서는 신중하여야 한다. 일반 크레딧카드 연체와는 다르게 이는 담보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자칫 잘못하면 담보로 설정되어있는 집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요즘 같은 경우에는 다행히도 예전처럼 쉽게 집을 차압 하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절대 안심하고 시간만 죽이고 있을 수는 없다.

일단 3개월 이상 모기지 연체를 했다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은행과 대화를 하여야 한다. 직접통화를 하는 것도 좋지만 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조정 또는 숏세일 업무를 하는 업체에 문의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러한 일을 하기 위해서는 하면 좋은 말들이 있고 해서는 안 되는 말도 있다. 은행을 속여서 일을 해결하자는 뜻이 아니라 같은 말이라도 잘 포장을 해서 은행을 설득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각종 서류들을 요구하게 되는데 일단 제출된 서류는 번복하기가 힘들어서 혼자 힘으로 일을 해결하려 했다가 방법을 잃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모기지를 무조건 전혀 지불하지 않고 해결될 때까지 기다린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숏세일의 경우에는 다르지만 재조정의 경우에는 최소한 모기지를 어떤 방법으로든 지불해서 유지하려는 의지 정도는 보여야 한다.

▷크레딧 카드연체: 크레딧 카드의 경우, 담보설정이 없어서 크레딧 손상 외에는 솔직히 크게 잃을 것도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냥 무조건 외면할 수도 없다. 언젠가는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게 되며 그냥 방치하게 되면 방치할수록 빚은 늘어나게 된다.

카드 빚을 갚지 못하는 분들을 위한 서비스가 여기저기 많이 생기고 있지만 어떤 회사를 믿어야 하는지 알기가 힘들다. 이런 경우 이런 서비스를 대행해주는 회사와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 이런 경우를 잘 알고 있는 분들의 추천을 받는 것이 좋다. 융자업무나 부동산회사들은 크레딧 교정을 받아야 융자를 받을 수 있고 집을 구입할 수 있는 고객들이 많아 어느 회사가 최소한 눈속임을 하지 않는지 더 많이 알고 있다.

보통 현 남은 빚의 70%만 지불하는 형식으로 협상을 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으로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 모든 경우가 같지 않으므로 추천 받은 단체나 회사를 찾아가 충분한 설명을 듣는 것이 좋다. 또한 이 서비스를 받으므로 서 어느 정도의 비용이 지출되는지도 미리 확실히 해두어서 손익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다른 연체: 모기지와 크레딧카드를 제외한 다른 어카운트는 사실상 협상이 힘들다. 세금, 유틸리티 등은 협상이 가능한 경우가 아니며 자동자인 경우 원금을 줄이거나 월 지불액을 낮춰주는 경우는 없다. 단, 특별한 경우 협상을 통해서 단기간 동안 페이먼트를 하지 못한다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면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를 잘 이용한다면 자동차 비용을 지불하지 못해 차를 뺏기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지금은 모두가 힘든 시기이다. 또한 생활이 힘들다고 하면 그 누구도 괜히 그렇게 말하는 꾀병이라 생각하지도 않는다. 이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간다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많다. 모두가 희망을 가지고 2010년을 잘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

▷문의: 703-994-717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