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연방정부가 ‘Buy Canadian(바이 캐내디언)’ 정책을 내년 봄까지 전면 시행한다. 자국산 제품과 서비스를 우선 구매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구상으로, 오는 11월 발표되는 연방 예산안에 핵심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연방정부, 370억 달러 조달 시장에 자국산 의무화 연방정부는 매년 약 370억 달러 규모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한다. 이번 정책은 이 가운데 일정 규모 이상의 정부 계약에서 캐나다산 자재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방위,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뿐 아니라 공기업과 연방 기관의 계약, 보조금·대출 사업에도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총리실은 “정부가 캐나다 기업의 든든한 주 거래처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이제는 단순한 말뿐이 아닌, 제도적으로 뒷받침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충격 대응과 산업 회복 이번 조치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조치로 타격을 입은 캐나다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마크 카니 총리는 지난 8월 철강, 알루미늄, 목재, 차량 등 무역 의존도가 높은 업계를 위해 50억 달러 지원기금과 함께 ‘바이 캐내디언’ 정책 도입을 발표했다. 캐나다철강협회는 “국내 철강 생산이 기존 수입 철강 물량의 80% 이상을 대체할 수 있다”며 정책을 환영했다. 반면 일부 업계는 공급망 혼란과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업계의 우려 캐나다 재생에너지협회는 “국산 부품의 강제는 프로젝트 지연과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통한 유도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캐나다의 풍력·태양광 설비는 여전히 미국, 독일, 베트남 등 외국 부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과의 충돌 가능성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자유무역협정(FTA)과 충돌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일부 협정은 일정 금액 이상의 정부 계약 과정에서 외국 기업의 입찰 제한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 무역 전문가 마크 워너는 “캐나다가 자국산 우선 정책을 펼치면 다른 나라의 보호무역에 항의하기 어려워진다”며 “결국 자유무역 체제의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Buy Canadian(바이 캐내디언)’ 정책은 보호무역 강화와 자유무역 원칙 사이에서 캐나다 정부가 어떤 균형점을 찾을지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FTA #국내산 #자국산 #캐나다산 #미국
2025.10.10. 23:09
프론티어 항공사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100개 국내선에 대한 항공권의 가격을 대폭 할인한다. 지난 25일 프론티어 항공에 따르면 이 프로모션은 국내 직항 편도 항공권을 대상으로 하며 최저 가격은 29달러다. 할인 적용 기간은 항공일 기준 오늘(27일)부터 11월13일까지다. 다만 독립기념일(7월 4일), 노동절(9월 2일) 등을 포함한 블랙아웃데이는 혜택이 제한된다. 요일별로는 월요일~목요일, 일요일 항공편이다. 티켓 예매 마감일은 오늘(27일) 오후 8시 59분(서부시간)이다. 할인이 적용되는 주요 도시 가운데 캘리포니아 내에서는 LA, 온타리오, 샌디에이고, 샌호세, 새크라멘토 등이 출발 및 도착지에 상관없이 할인 적용을 받을 수 있다. 프로모션과 관련한 더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https://www.flyfrontier.com/deals/sales/100-trip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항공편 할인 할인 혜택 항공편 일자 #프론티어 항공 #항공편할인 #로스엔젤레스 #미국
2024.06.27. 15:17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사기 관련 피해 규모가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피해 규모가 가장 큰 사기는 투자 관련이었다. 총 사기 피해액의 절반에 가까운 46억 달러나 차지했다. 이는 2022년의 38억 달러와 비교해서 22%나 증가한 것이다. 2021년의 17억 달러보다는 무려 170% 폭증했다. 두 번째로 피해 규모가 큰 사기 유형은 사칭 사기(Impostor fraud)였다. 사기범들이 정부기관이나 은행, 대형 기업으로 위장해 돈을 갈취하는 수법으로 27억 달러의 금전적 손해를 입혔다. 특히 FTC 사칭 관련 사기로 발생한 손실금액 중위 수치는 2019년의 3000달러에서 2023년 7000달러로 2배 이상 급증했다. 사기 수단 중 이메일 관련 사기 피해 접수 건은 총 35만8000건 보고돼 그동안 사기범들의 주요 수단이었던 ‘전화’를 이용한 사기 피해 보고 건수를 2년 연속 앞질렀다. 사기범들이 피싱(phishing) 사기에 AI를 사용해서 정부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한 이메일을 더 진짜처럼 위장하는 등 사기 수법이 이전보다 훨씬 정교해지고 있다. 시니어가 사기로 금전 손실을 볼 확률은 젊은 세대보다 낮았지만 사기 피해 금액은 훨씬 컸다. 8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피해액의 중간값은 1450달러로 20~29세 연령층의 480달러보다 3배 이상 더 컸다. 70~79세도 중간 손실액이 803달러로 20~29세 연령층보다 1.7배 많았다. 30~39세 연령층은 10만명당 183명꼴로 사기가 보고돼 전 연령층 가운데 가장 쉽게 사기에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49세 연령층이 10만명당 170명으로 뒤를 이었다. 70~79세 연령층이 10만 명당 158명꼴이었다. 70~79세 연령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피해 금액도 많고 피해자 수도 많아 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연령층 사기 사기 유형 #미국 #투자사기 #가주 #LA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
2024.02.25. 19:09
한미은행(행장 바니 이)이 비즈니스 어드밴티지 체킹계좌 상품을 재단장해서 다시 출시했다. 은행 측은 지난 21일 스몰비즈니스를 타깃으로 다양한 기능과 혜택을 한데 모아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은행 업무 처리를 할 수있도록 한 비즈니스 어드밴티지 체킹 상품을 다시 선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중소 업체 사이에서 수요가 많은 송금 서비스앱 젤(Zelle) 스몰비즈니스 기능이 탑재했으며, 일평균 밸런스 1만5000달러 이상 유지시 월 계좌 유지 수수료 50달러가 면제되는 동시에 다양한 수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수수료 크레딧 50달러가 매달 제공된다. 또한 받는 송금은 모두 수수료가 면제되며, 송금·ACH 등 다양한 자금 관리 기능도 온라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미은행의 앤소니 김 수석 전무는 “스몰비즈니스의 니즈와 요구를 적극 반영해 ‘비즈니스 어드밴티지 체킹’을 출시했다”며 “비즈니스 고객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적극 대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은행 측은 재출시를 기념해 4월 30일까지 이 계좌를 개설하는 신규 고객들이 최대 5만 포인트 ‘uChoose’ 리워드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포인트 수령 조건을 포함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한미은행 지점을 방문하거나 웹사이트(hanmi.com)에서 확인 가능하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스몰비즈니스 기능 비즈니스 어드밴티지 비즈니스 고객들 #가주 #캘리포니아 #LA #로스엔젤레스 #미국
2024.02.21. 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