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의사 부족이 부른 '자가진단 시대'

  의사 부족과 인공지능(AI)의 확산이 맞물리며, 환자들이 인터넷을 통한 자가진단과 자가치료에 의존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온타리오의사협회(OMA)는 지난 7월 9일 온라인 언론 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현상이 초래할 위험성을 경고했다.   이날 브리핑에 참석한 정신과, 면역학, 암 전문의들은 각각의 진료 영역에서 온라인에 퍼진 잘못된 건강 정보 사례를 소개하며, 자가진단의 주요 위험 요소로 1. 부정확한 정보에 따른 오진 2. 치료 시기 지연 3.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 사용에 따른 부작용 4. 비용 손실 등을 꼽았다.   북부 온타리오의 정신과 전문의 발레리 프리모 박사는 "요즘은 환자들이 ChatGPT 같은 AI에게 조언을 구하고 있다"며, "AI의 접근성이 높아질수록 이런 현상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OMA 회장이자 면역학자인 자이나브 압두라흐만 박사는 “가정의가 없는 상황에서 신뢰할 수 있는 건강 정보를 얻을 곳이 마땅치 않다”며, 많은 이들이 인터넷이나 AI에 의존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했다.   프리모 박사는 특히 정신 건강 분야에서 자가진단에 따른 오진이 많다고 경고했다. 대표적인 예로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들며,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진단 테스트는 일반적인 산만함이나 스트레스를 ADHD로 단정짓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ADHD는 실제로는 신경발달 장애로, 아동기부터 지속되는 특성이 있어야 진단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또 “SNS 영상 속에서 자신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을 보고 동일 질환으로 착각하거나, 친구나 가족이 복용 중인 약을 잘못 복용해 부작용을 경험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   반면, 프리모 박사는 인터넷 활용이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정신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접한 후 치료를 결심하는 계기가 되거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또래 지원(peer support)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환자들에게 “온라인에서 얻은 정보를 의료진과 공유하라”고 말한다. 의료적 판단과 다를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토대로 의료진이 진단 근거를 설명하는 과정은 치료의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자가진단 의사 캐나다 온타리오의사협회 건강 정보 프리모 박사

2025.07.23. 8:15

썸네일

OC한인회 건강 박람회 개최…내일 가든그로브 한인회관

OC한인회가 서울메디칼그룹, 건강보험사 스캔 헬스플랜과 함께 마련한 건강박람회가 내일(4일) 오전 10시~오후 2시까지 가든그로브의 OC한인회관(9876 Garden Grove Blvd)에서 열린다.   행사 참가자들은 서울메디칼그룹 소속 각 분야 전문의를 만나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 보고, 의료 관련 기관들로부터 다양한 건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인회에 따르면 신장내과 전문의 김홍식 박사, 내과 전문의 김종진, 김성현 박사 등이 내과 진료 전반에 관한 상담도 해준다. 안과, 한방, 물리치료 등 다양한 분야 의료진에게 평소 궁금했던 점을 물어볼 기회도 제공된다. 이밖에 보청기 업체의 청력 진단 검사, 원격 진료 등도 체험할 수 있으며, 시니어를 위한 홈 케어와 호스피스 케어 등에 관해 알아볼 수 있다.   스캔 헬스플랜은 시니어 메디케어에 관한 정보를, 스캔과 연계된 원 패스 피트니스에선 시니어를 위한 운동 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한다.   주최 측은 행사 도중 매 시간대마다 경품 추첨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는 전화(714-530-4810)로 하면 된다.한인회 박람회 oc한인회 건강 서울메디칼그룹 건강보험사 건강 정보

2023.11.02. 22:00

버겐카운티, 주민 건강정보 수집 캠페인

뉴저지주 버겐카운티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를 수집한다.   엘렌 박 뉴저지 주하원의원(민주 · 37선거구)은 7일 “건강 관련 서비스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버겐카운티와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주민들의 집을 방문해 건강 정보를 조사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주민 대상 건강정보 수집은 CDC의 대행사인 웨스타트(Westat)가 실시하고 있는데 이동 트레일러를 이용해 약 2달간 버겐카운티에 머물면서, 무작위로 선정된 사람들에게 편지를 보낸 후 ▶1차로 직접 집을 방문해서 설문조사를 하고 ▶2차로 재방문해 혈액검사·간경화·초음파·BMI 등을 실시해 정보를 수집한다.     엘렌 박 의원은 “이 조사는 궁극적으로는 한인 비율이 많은 우리 커뮤니티의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해, 장단기적으로 한인들을 위한 건강 관련 서비스와 정책을 수립하는 자료가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안타깝게도 한인 가정들이 이번 조사에 의심을 가지고 응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어려움이 있다”며 설문조사와 각종 검사 등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박종원 기자건강정보 캠페인 주민 건강정보 주민 대상 건강 정보

2022.09.06. 18: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