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실종 한인가족’ 추돌 사고 희생 가능성

‘한인 가족 실종사건’〈본지 3월 21일자 A-1면〉이 발생 13일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당일 40번 프리웨이에서 발생한 22중 추돌 사고에 희생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을 수사 중인코코니노카운티셰리프국(CCSO)는 25일 추돌 사고 차량들 가운데 BMW SUV 차량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실종 가족이 타고 있던 차량도 BMW SUV 차량이었다. 더구나 차량 내에서 사람의 유해 일부도 발견된 것으로 전해져 실종 가족이 탔던 차량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차량 손상이 워낙 심해 확인이 쉽지 않고 차량 내 피해자의 신원 확인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셰리프국의 설명이다.       코코니노카운티 셰리프국의 존 팩스턴 공보관은 25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일가족 탑승 차량의 마지막 GPS 신호가 포착된 지점은  추돌사고 발생 지역과 불과 1마일 떨어진 곳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추돌 사고 차량에서 추가로 유해가 발견된 상황”이라며 “차량 중 하나가 BMW SUV 차량인 것까지는 확인했지만, 정확한 모델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바트그레이브스 애리조나주 공공안전국(AZDPS) 공보관 역시 이날 “발견된 BMW 차량의 소유주나 탑승자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고, 일부 인체 유해만 발견된 상태”라며 “식별까지는 수 주가 걸릴 수 있다”고 밝혔다.   수사 당국이 사고 발생 후 10여 일이 지나서야 BMW 차량이 포함됐다는 사실을 공개한 것을 두고 현장에서의 초동 대처가 미흡했다는 주장도 있다. 사고 직후 보다 신속한 현장 감식이 이뤄졌다면, 차량 정보 확인과 유해 분석, 사망자 파악도 좀 더 빠르게 이뤄질 수 있었을 것이란 지적이다. 조이 김 북애리조나주 한인회 총무는 “이 지역의 행정 처리가 워낙 느리다 보니 수습 과정 등 속도가 아주 더딜 것”이라며 “수습까지의 과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었다”고 말했다. 〈관계기사 2면〉   현재 유해 감식은 야바파이카운티 검시소에서 진행 중이다. 추가로 발견된 유해와 실종 가족과의 연관성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지역 언론은 실종된 한인 일가족을 봤다는 목격자들의 증언도 보도했다.   엘리자베스 알덴(플래그스태프)은 지난 24일 애리조나주 지역 매체 AZ패밀리를 통해 한인 일가족을 실종 전날 목격했다고 밝혔다. 알덴은 지난 12일 오전 9시쯤 윌리엄스 지역 ‘매버릭 어드벤처스 퍼스트 스탑(Maverik Adventure’s First Stop)‘ 주유소에서 한인 일가족과 마주쳤다고 설명했다.   매체에 따르면 알덴은 당시 한인 일가족의 주유기 사용을 도왔다.   그는 “그들 중 한 명이 미소를 지었고, 이후 모자를 쓴 연세 지긋한 여성이 주유를 하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며 “혹시라도 안에서 다시 마주치면 인사라도 하려고 했는데 그게 그들과의 유일한 만남이었다”고 말했다.   이후 실종자 전단을 보게 된 알덴은 자신이 그날 주유소에서 만났던 이들이 한인 일가족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셰리프국에 이 사실을 알렸다고 밝혔다.   한편, 셰리프국은 실종된 김태희(59), 김정희(54), 이지연(33) 씨가 가주 번호판(9KHN768)이 부착된 2024년 흰색 BMW SUV 차량을 몰았다고 지난 18일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해당 지역에서는 강한 눈보라 속에 22중 추돌사고가 발생, 최소 2명이 사망하고 차량 전소로 이어지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관련기사 한국서 온 일가족 3명 일주일째 실종 ‘실종 가족’ 흔적 못찾아…헬기·경찰견 투입 무위 '실종 한인가족' 사고 연루 가능성…경찰 "차량 감식중" 실종 지점은 사고 위험 구간…고산지대로 내리막길 많아 김경준·강한길 기자애리조나 업데이트 애리조나주 윌리엄스 애리조나 공공안전국 실종 차량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셰리프국 BMW 검시소 추돌사고 한인 실종 한인 가족

2025.03.25. 20:49

썸네일

'실종 한인가족' 사고 연루 가능성…경찰 "차량 감식중"

그랜드캐년 방문 후 실종된 한인 가족〈본지 3월 21일자 A-1면〉이 탔던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발견돼 당국이 감식 작업을 벌이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서 온 일가족 3명 일주일째 실종 ‘실종 가족’ 흔적 못찾아…헬기·경찰견 투입 무위 애리조나 공공안전국(AZDPS)과 코코니노카운티 셰리프국(CCSO)은 24일 공동 성명을 통해 “사건 당일 40번 프리웨이에서 발생한 22중 추돌사고 차량 가운데 BMW SUV 차량이 포함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실종된 한인 가족은 가주 번호판(9KHN768)이 부착된 2024년형 흰색 BMW X5 차량을 몰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당국은 실종된 한인 가족이 지난 13일 22중 추돌사고가 발생한 애리조나 윌리엄스 인근 I-40 프리웨이 사고와 연관됐을 가능성을 제기해왔다.   조사 당국은 “사고 현장에서 발견된 잔해 속에서 추가로 인체 유해를 발견했다”며 “유해가 실종된 한인 일가족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사고 직후 발생한 화재로 현장에 있는 차량들은 크게 훼손됐으며, 당국은 현재 신원 확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CCSO 측은 “유해 훼손이 심각해 정확한 신원 확인을 위해 신중하게 조사 중”이라며 “야바파이카운티 검시소가 감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사 당국은 “유가족들이 겪고 있을 고통을 잘 알고 있다”며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건을 규명하겠다”고 설명했다.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애리조나 실종사건 애리조나 실종사건 애리조나 공공안전국 애리조나 윌리엄스 캘리포니아 미국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검시소 한인 가족

2025.03.24. 20:52

썸네일

LA검시국 향후 6개월간 시신 운송·보관료 면제

LA 검시국(LADME)이 향후 6개월간 시신 운송 및 보관료를 받지 않는다.   지난 21일 LADME 측은 6개월간 유가족 등 시신 인계자가 부담해야 하는 시신 운송 및 보관료 400달러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비용 면제는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며 6개월 이후 연장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오데이 우포 LADME 수석 검시관은 이번 결정 취지에 대해 “친구나 가족을 잃어 슬픔에 잠긴 이들에게 위안이 되고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이라며 “이미 비통함으로 마음이 심란한 유가족들 가운데 시신 운송 및 보관료에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았다”고 밝혔다.     LADME 측은 비용 면제 프로그램이 예정된 기간 이후에도 계속될 수 있도록 자금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비용 면제 관련 검시국 운영, 재정 등 데이터를 수집해 LA 카운티 수퍼바이저 위원회에 보고하게 된다.     앞서 LA 카운티 수퍼바이저 위원회는 지난 19일 LADME의 운송 및 보관료 면제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김경준 기자 [email protected]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미주 한인 검시소 비용면제

2024.03.25. 20:24

검시소 직원이 유품 절도…유족들 도난 신고로 덜미

LA카운티 검시소 수사관이 부검 도중 사망자의 유품을 훔쳤다가 덜미를 잡혔다.   LA카운티셰리프국(LASD)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카운티 검시소 수사관으로 재직 중이던 아드리안 무뇨스(34)가 중범죄 절도 및 경범죄 절도 혐의로 8일 기소됐다.     당국에 따르면 지난 1월 6일 무뇨스는 사우스LA의 창고에서 근무하던 중 심장마비로 숨진 한 사망자를 부검했다. 그러나 부검 이후 고인의 유품이 사라진 것을 알아차린 유족은 도난 신고를 했고 경찰은 수사에 돌입했다. 이후 검시소 내부 감시카메라를 통해 당시 무뇨스가 시신을 운반하면서  사망자의 목에서 금목걸이를 빼 의료용 봉투에 넣는 장면을 확인했다.     무뇨스의 절도 행각은 이게 전부가 아니었다. 당국은 이번 사건을 수사하던 중 무뇨스의 사무실 책상에서 지난해 11월에 사망한 또 다른 사망자의 유품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사건을 담당한 크리스토퍼 게이 지방검사는 “무뇨스가 더 많은 절도 사건에 연루되어 있을 수 있다”며 “얼마나 더 많은 피해자가 나올지는 아직 확언할 수 없다”고 밝혔다.     조지 개스콘 LA카운티 검사장은 “검시소는 단순히 사망 원인만을 밝히는 곳이 아닌, 유족에 마음의 평화를 찾아주는 곳으로 신뢰와 책임이 가장 중요하다”며 “고인의 유품에 함부로 손을 대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예진 기자검시소 직원 유품 절도 검시소 직원 la카운티 검시소

2023.11.09. 21:5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