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가 고등교육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타주 대학들이 잇따라 LA에 위성 캠퍼스를 설립하면서, 기존 LA 지역의 대표 대학들인 UCLA와 USC까지 도심 내 분교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시간주 앤아버에 본교를 둔 미시간대학교는 오는 2026년 초 로스(Ross) 비즈니스스쿨 LA 캠퍼스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LA 캠퍼스는 다운타운 중심부의 대형 주상복합 건물 ‘더 그랜드 LA’에 들어서며, 해당 건물 내 2만 스퀘어피트를 임차해서 사용하게 된다. 더 그랜드 LA는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 맞은편에 있으며, 레지던스와 여러 사무 공간을 비롯해 유명 레스토랑 산 로렐, 콘래드 호텔 등이 입점해 있다. 미시간대 이사회는 앞서 지난해 9월 건물 임대료로 1200만 달러 지출을 승인했다. 미시간대 로스 비즈니스스쿨 LA 캠퍼스는 향후 대학 측이 제공하는 ‘최고경영자 MBA 과정’ 수업을 비롯해 각종 행사 등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로스 비즈니스스쿨 동문을 위한 공간도 마련될 계획이다. 텍사스주 오스틴 지역의 휴스턴-틸롯슨 대학교도 내달 중 가주 내 위성 캠퍼스 2곳의 개소를 계획 중이다. 휴스턴-틸롯슨대의 위성 캠퍼스는 LA와 샌디에이고 카운티에 세워질 것으로 보인다. 대학 측은 캠퍼스 개소 세부 일정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애리조나주립대학교(ASU)는 두 학교보다 앞선 지난 2021년 LA 다운타운에 ASU 가주 센터를 개소하면서 본격적으로 LA 교육 시장 공략에 들어갔다. ASU 가주 센터는 문화 산업이 발달한 LA 지역 특징에 맞게 영화,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패션 등 다양한 과정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ASU의 경우 UC, 캘스테이트(CSU) 등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을 공략하고 있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본교를 둔 에머슨 칼리지 역시 일찌감치 LA에서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에머슨 칼리지는 지난 2014년 할리우드 지역에 LA 캠퍼스를 완공했다. 이처럼 타주 대학들이 적극적으로 LA 진출을 하자, UCLA와 USC 등 기존 LA 지역 주요 대학들도 잇따라 지역 내 분교 및 캠퍼스를 확대하며 입지 강화를 꾀하고 있다. 김경준 기자격전지 대학 고등교육 격전지 향후 대학 la 대학들
2025.07.30. 20:31
연방 하원의 장악 여부는 오렌지카운티 지역 아시아계 유권자에게 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미셸 스틸(45지구·공화), 데이브 민(47지구·민주) 등 한인 후보들이 속한 오렌지카운티의 두 개 지역구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LA타임스는 연방 하원에서 다수당을 차지하기 위한 양당의 싸움에서 45지구와 47지구 결과에 따라 의회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24일 보도했다. 이 두 개 지역은 양당이 당내 다수당 지위 차지에 필수적인 ‘가주 내 6개 격전지’로 분류되면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이는 가주가 완연한 ‘블루 스테이트’임에도 정작 연방 선거 측면에서는 민주당 후보들이 마음을 놓기 어려운 이유다. 먼저 45지구와 47지구의 주요 유권자층은 아시아계와 라틴계다. 특히 지역 주민 150만 명 중 약 30%에 해당하는 45만 8000명 이상이 아시아계다. 이는 소수계이지만 타 지역과 달리 선거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다. 한인이자 현역인 미셸 스틸 후보와 베트남계 데릭 트랜 후보가 맞붙고 있는 45지구의 경우 아시아계가 전체 인구 중 무려 38%에 이른다. 한인이 많이 사는 LA카운티 세리토스 등을 비롯한 풀러턴, 브레아, 부에나파크, 사이프러스, 풀러턴, 가든그로브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곳에 민주당은 아시아계 표심을 의식, 베트남계인 트랜 후보를 내세워 스틸 의원에게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이 매체는 “가장 큰 베트남계 커뮤니티 역시 45지구에 있다”고 전했다. 제프리스 하킴(뉴욕) 민주당 하원 원내 대표가 지난 13일 리틀 사이공까지 방문해 트랜 후보 지지를 호소한 이유다. 한인 데이브 민 후보와 공화당의 스콧 보 후보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는 47지구는 어바인, 코스타메사 등을 비롯한 뉴포트비치 등 오렌지카운티의 주요 부촌을 포함하고 있다. 민주당원과 공화당원도 거의 균등하게 분포돼 있다. 이에 따라 아시아계가 주민 4명 중 1명 꼴인 47지구에서는 한인 등 소수계의 표심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LA타임스는 “공화당은 평균 연령이 40세 이상인 지역에서 선전하고 있고, 민주당은 진보적 색채의 어바인 등에서 득표율이 높다”며 “특히 민 후보는 아시아계 인구가 많은 어바인에서, 보 후보는 뉴포트비치 등에서 득표율이 높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초당파 성향의 쿡폴리티컬리포트 에린 코비 편집장은 “지난 선거에서는 민주당 측이 범죄 문제 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다 보니 유권자들의 불만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하지만 대통령을 뽑는 이번 선거에서는 일반적으로 투표율이 높기 때문에 민주당에게도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다수당 격전지 한인 후보들 민주당 후보들 민주당원과 공화당원
2024.10.24.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