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경복궁 등 한국 전통정원, 뉴욕에서 만난다

뉴욕에서 한국의 전통정원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뉴욕한국문화원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공동으로 7월 22일부터 8월 9일까지 ‘시간을 건너온 한국정원’ 특별 미디어전시를 개최한다. 전시는 문화원 1층 로비에서 열리며, 한국 정원의 철학과 미학을 영상으로 소개한다.   이번 전시는 자연미와 여백을 중시하는 한국 정원의 세계관을 전하며, 과거와 현재의 정원을 함께 조망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영상에는 창덕궁, 경복궁 등 궁궐 정원은 물론, 자연과 어우러진 정자와 마을정원, 현대의 민간·지방·국가 정원 등이 담긴다.   이 행사는 지난 5월 양 기관이 체결한 업무협약(MOU) 이후 첫 협력 프로그램으로, 한국 정원문화의 해외 확산을 위한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이성은 뉴욕한국문화원 매니저는 “한국 정원은 그간 해외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분야”라며 “문화원 2층에 위치한 뉴욕 최초의 한국 전통정원 ‘애양단’과 함께 이번 전시가 한국정원의 특색과 아름다움을 현지에 알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만교 기자 [email protected]전통정원 경복궁 한국 정원문화 한국 전통정원 뉴욕한국문화원 매니저

2025.07.21. 20:45

[J네트워크] 경복궁 복원 30주년

“판타스틱” “뷰티플” “언빌리버블”   TV 재연 프로그램에서나 나올 법한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2년 전쯤 하버드 경영대학원생들을 ‘접대’해야 했던 기자는 시차 적응도 하지 못한 그들을 경복궁으로 안내했다. 심드렁해 하던 학생들은 궁궐 곳곳을 둘러보는 사이 점점 흥미로운 기색을 보였고 답사 마무리 즈음에는 완전히 매료된 듯했다. 탄성이 터져 나온 건 마지막으로 찾은 경회루에서였다. 홀연히 등장한 연못과 누각은 경복궁 관람의 화룡점정이었다. 하지만 불과 30년 전만 해도 경복궁은 감탄사를 자아낼만한 곳이 아니었다. 만신창이가 된 일본강점기 모습 그대로라 초라하기 이를 데 없었다.   경복궁은 조선의 법궁(法宮)이지만 여러 차례 버림받은 비운의 궁궐이기도 하다. 1395년 새 수도 한양에 지어진 이 궁은 불과 3년 뒤 2대 임금 정종의 개경 환도로 인해 첫 번째 버림을 받는다. 뒤이은 태종은 한양으로 돌아왔지만, 형제들을 살육했던 그 궁이 꺼림칙했다. 그는 창덕궁을 짓고 이어(移御) 하면서 다시 경복궁을 버렸다.     임진왜란 때는 왕과 백성으로부터 동시에 버림받았다. 왕은 몰래 궁을 빠져나와 몽진했고, 버림받은 백성은 버림받은 경복궁을 불태우는 것으로 한풀이했다.   고종 4년(1867년) 흥선대원군 주도의 대대적 복구가 이뤄지면서 300년 가까이 폐허였던 그 공간에  500여동 규모의 대궐이 복원됐다.     하지만 이번에도 영광은 오래가지 못했다. 일제 조선총독부는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자리에 거대한 총독부 건물을 세웠고 이후에도 속속 건물들을 헐어냈다. 36동만으로 간신히 명줄을 이어가던 경복궁은 광복 이후에도 먹고 살기 바빴던 대한민국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복원이 시작된 건 광복 50주년을 목전에 둔 1991년이었다. 강녕전과 교태전을 시작으로 진행된 복원 작업은 광화문·동궁·흥례문·태원전·건청궁·소주방 등의 재건으로 이어졌고, 궁궐은 제법 장대한 외양을 갖추게 됐다. 복원 30주년을 기념해 지난 1일 ‘고궁연화’(古宮年華)라는 제목의 특별전이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막했다. 내년 2월 27일까지 열리는 이 특별전을 찾아 지난 30년의 역사(役事)를 되짚어 보는 것도 뜻깊을 듯하다. 얼마 전 새 단장을 마치고 재개방한 향원정까지 함께 둘러본다면 금상첨화겠다. 박진석 / 한국 중앙일보 사회에디터J네트워크 경복궁 복원 경복궁 복원 경복궁 관람 복원 작업

2021.12.10. 18:4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