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고급 호텔 상징 미니바 사라지는 이유는

한때 고급 호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객실 내 미니바가 점차 자취를 감추고 있다.     CNBC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1970년대부터 전 세계 호텔에 확산했던 미니바의 자리는 이제 배달 앱과 무인 상점, 로비 바 등이 대체하고 있다.   미니바의 시작은 1974년 홍콩 힐튼 호텔에서였다. 항공기 미니 주류 서비스를 벤치마킹해 객실 냉장고에 작은 술병을 채워 넣었고, 이 전략은 음료 매출을 500%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당시 힐튼 호텔 전체 매출도 5% 증가할 정도로 효과가 컸고, 이후 전 세계 호텔들이 앞다퉈 미니바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편의 서비스는 호텔 입장에서는 상당한 비용 부담이었다. 식품 유통기한 관리, 재고 보충, 도난 방지, 냉장고 유지비 등 운영비가 수익을 초과하기 시작하면서 효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메리어트 마퀴스 호텔은 지난 2004년 1900여 개 객실에서 대부분의 미니바를 철거했다. 당시 호텔에는 미니바 150개를 유지·관리하기 위해 전담 직원만 8명이 필요했다는 일화도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미니바 도입도 해법이 되진 못했다. 이용 내역을 자동으로 추적해 요금을 청구하는 기술이 적용됐지만, 실제 이용률은 저조했다. 미니바 시스템 업체 바텍에 따르면, 객실에 미니바가 있어도 이를 사용하는 투숙객은 33%에 불과하며, 1일 평균 소비금액은 약 12달러에 그친다.   이에 따라 최근 많은 호텔은 객실 내 미니바를 줄이고, 대신 현대적인 방식으로 소비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변화는 배달 앱과의 제휴다. 윈덤 호텔은 2019년 도어대시와 제휴를 맺어 국내 3700여 개 호텔에서 무료 배달 혜택과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메리어트는 우버이츠와 파트너십으로 일부 호텔에서 주문 시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도록 했다. 힐튼의 경우 올해 그럽허브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유료 멤버십인 그럽허브+ 한 달 무료 이용권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로비에 설치된 무인 상점이나 24시간 운영되는 라운지 바가 미니바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는 투숙객에게는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호텔 측에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니바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일부 부티크 호텔이나 고급 리조트에서는 지역 특산물이나 고급 간식류를 비치해 미니바를 차별화된 경험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훈식 기자미니바 고급 세계 호텔들 스마트 미니바 미니바 시스템 고급 호텔 박낙희 럭서리 호텔 객실 호텔

2025.07.13. 19:30

썸네일

멕시코 고급호텔서 미국인 2명 숨진 채 발견

멕시코의 한 고급 호텔에 투숙했던 미국인 2명이 숨진 채 발견돼 현지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바하 캘리포니아 서 검찰청에 따르면 호텔 랜초 페스카데로의 한 객실에서 지난 13일 미국 국적자 2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이 가운데 한 명은 남가주 뉴포트 비치에 거주하는 28세의 애비 루츠로 확인됐다. 다른 한 명은 41세의 존 헤드코로 알려졌다. 현지 경찰은 숨진 미국인들이 사망한 지 약 10시간만에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들의 사체에서 폭력의 흔적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망 원인은 약물 중독에 의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려졌으나 어떤 종류의 약물인지 등 더 자세한 내용은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사건이 발생한 호텔은 하얏트 소유의 고급 호텔이다.  김병일 기자미국 고급호텔 멕시코 고급호텔 고급 호텔 약물 중독

2023.06.15. 10:24

썸네일

BTS LA공연 앞두고 호텔 숙박료도 들썩

월드스타 반열에 오른 그룹 BTS(방탄소년단)가 오는 27∼28일과 다음 달 1∼2일 LA에서 오프라인 콘서트를 열 예정인 가운데 공연장 소파이 스타디움 인근이 벌써 들썩이고 있다.   16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공연장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있는 ‘트렌드 호텔’은 공연 첫날인 27일 기준으로 1박에 최저 400달러 이상을 받고 있다. 이 호텔은 5성급 고급 호텔도 아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실속형 숙소’에 속한다. 최고 성수기로 꼽히는 내달 24일 크리스마스이브에도 고작 120달러 안팎을 받고 있다.   ‘BTS 특수’가 코로나19가 무색하게 느껴질 만큼 해당 지역을 후끈 달궈놓은 것이다. 공연장 인근 다른 숙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소파이 스타디움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인 ‘카사 벨 모텔’과 ‘크리스탈 인 스위트 앤 스파’도 같은 기간 1박에 약 300달러를 받아 크리스마스 이브 가격의 2배를 요구했다. 이들은 모두 2성급에 불과한 숙소로, 1박에 수백달러짜리 고급 호텔과는 거리가 멀다. 괜찮은 숙소는 대부분 예약이 끝나 방을 구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자 벌어지는 현상이다.     상황이 이러해지자 발 빠르게 예약을 마친 아미(방탄소년단 팬)들은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콘서트 동행을 구한다. 안전을 위해 렌터카와 주차장 모두 예약을 완료했다”는 글을 올려 동행을 찾는 모습도 보인다. 일부 국내 여행업계는 방탄소년단 특수에 편승해 관련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이번  LA 공연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BTS가 처음으로 대면 공연을 펼치는 기회인 만큼, 나흘 동안의 콘서트 티켓이 일찌감치 매진됐다. 소속사 빅히트뮤직은 티켓을 구하지 못한 아미를 위해 공연장 인근 유튜브 시어터에서 실시간으로 공연을 관람하며 방탄소년단을 응원하는 상품까지 내놓은 상태다.     콘서트 티켓은 이미 몇 배의 ‘프리미엄’이 붙었다.   티켓 판매 사이트 ‘티켓마스터’에 따르면 27일 첫날 공연에서 무대에서 가장 가까운 A1 구역의 좌석은 무려 7300달러에 올라와 있다. 무대에서 거리가 멀어 가장 저렴한 티켓도 350달러에 구매자를 찾고 있다.   콘서트 티켓 정가가 75∼275달러임을 고려하면 최고 25배가 넘는 ‘호가’가 형성된 셈이다. 물론 이는 실제 거래가 성사된 액수는 아니기 때문에 공연이 임박하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la공연 숙박료 공연장 인근 고급 호텔 트렌드 호텔

2021.11.15. 21: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