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고속철도 새 이름 짓기에 33만불 지출

  연방 상원의 야당 대표가 정부 산하 공기업이 고속철도 브랜드 교체에 33만 달러 이상을 지출한 것을 두고 “무책임한 행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지난 28일(수), 보수당의 리오 하우사코스 상원의원은 상원 질의응답 시간에 “경제적 논리도 없이 세금을 낭비하는 전형적인 예”라며, “이런 무책임한 예산 집행은 자유당 정부의 방만한 행정 태도를 보여준다”고 질타했다.   논란이 된 주체는 알토(Alto)라는 새 이름을 단 공기업으로, 토론토~퀘벡시티 간 고속철도(HSR) 사업을 총괄하는 연방 법인이다. 알토는 원래 ‘VIA-HFR’이라는 이름으로 VIA 철도(Via Rail) 산하 고빈도 철도(high-frequency rail)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2021년 발표된 기존 노선 구상에 대한 국민 관심이 미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정부는 기존 계획을 고속철도 중심으로 수정했고, 이에 맞춰 브랜드 정비에 착수했다.   알토는 퀘벡 소재 마케팅사인 코세트 커뮤니케이션(Cossette Communication Inc.)에 2023년 10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총 33만 달러 이상을 지불하며, 명칭과 로고, 마케팅 전략을 전면 개편했다. ‘Alto’는 ‘더 높은 속도’와 ‘향상된 서비스 수준’을 상징하는 브랜드명으로 선정됐다.   정부 측 상원 대표인 마르크 골드의원은 이에 대해 “알토 프로젝트는 캐나다를 하나로 잇는 국가적 대형 사업 중 하나”라며 “신임 마크 카니 총리도 국가 단위 인프라 프로젝트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골드는 “카니 총리는 동시에 재정 건전성도 매우 중시한다”고 덧붙였다.   고속철도는 지난 2월, 당시 총리였던 저스틴 트뤼도가 공식 발표한 대표 사업이다. 토론토에서 몬트리올까지 약 3시간 내에 주파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번 노선은, 기존의 ‘고빈도’ 철도망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교통망을 목표로 한다.   초기 계획인 ‘고빈도 철도망’은 토론토-오타와-몬트리올-퀘벡시티를 연결하되, 속도가 고속철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정부가 재검토를 거쳐 ‘속도 중심’으로 방향을 전환한 배경이기도 하다.   하우사코스 의원은 “속도도 중요하지만, 이름을 바꾸는 데 세금을 쓰는 게 우선이었는지 묻고 싶다”며 예산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고속철도 이름 고속철도 브랜드 알토 프로젝트 정부 산하

2025.06.10. 9:01

썸네일

‘애틀랜타~사바나’ 고속철도 시대 오나… 조지아 교통부, 타당성 조사 착수

2035년 조지아주 애틀랜타와 사바나를 고속철도로 오갈 수 있다.   조지아주 교통부(DOT)는 이달말까지 공개 의견 수렴을 거쳐 애틀랜타와 사바나를 잇는 고속철 사업의 타당성을 조사할 방침이라고 13일 지역매체 사바나 모닝뉴스가 보도했다. 연구용역비는 주정부의 200만달러 예산에 더해 연방 철도청(FRA)이 800만달러를 지원했다.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교통 당국은 2027년까지 기본계획 노선을 확정하고 2028년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2035년 철도를 개통할 예정이다.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사바나를 잇는 교통 수단은 현재 도로와 항공 뿐이다. 클레멘트 솔로몬 교통부 운송국장은 “여객 철도는 고속도로의 고질적인 교통 체증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이라며 “지난 1월 공청회에서만 4000여건의 의견이 쏟아졌을만큼 주민들의 호응이 뜨겁다”고 전했다.   애틀랜타와 사바나간 거리는 약 250마일로, 시속 125마일의 고속철도를 운행하면 자동차 4시간 거리를 2시간대에 주파할 수 있다. 구간 내 정차역으로는 어거스타, 애슨스, 메이컨, 스테이츠보로 등 최다 6곳이 후보에 올랐다.   인근 주들도 철도망 중심의 광역교통체계를 마련하는 추세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샬럿을 중심으로 서부 애틀랜타, 동부 워싱턴DC를 연결하는 2개 철도를 계획 중이다. 테네시주는 멤피스~애틀랜타를 연결할 방침이며 플로리다주는 마이애미~잭슨빌 노선을 구상 중이다.   다만 교통당국이 예산 효율화를 위해 화물철도와 선로를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산업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버트 브랜틀리 사바나 상공회의소 회장은 “화물철도 선로를 여객선에 빌려주면 사바나 지역경제의 핵심축인 항만 무역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애틀랜타 고속철도 조지아주 애틀랜타 타당성 조사 사바나 상공회의소

2025.05.13. 14:31

썸네일

'샬럿~애틀랜타' 고속철로 달린다...연방정부, 철도망 확장안 발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미국철도여객공사(암트랙) 철도망 확장 카드를 꺼내든 가운데, 애틀랜타가 3개 노선의 직·간접 수혜 지역으로 꼽혔다.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ABC)의 11일 보도에 따르면, 신설되는 노선은 애틀랜타-사바나 연결선과, 애틀랜타에서 출발해 테네시주 채터누가-내슈빌-멤피스로 이어지는 구간 두 개이다.     더불어,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롯의 고속 철도가 애틀랜타 다운타운과 하츠필드-잭슨 국제 공항까지 확장됨에 따라 기존 남부 노선도 접근 가능해졌다. 현재 애틀랜타 지역을 지나는 암트랙은 동부(뉴욕주)와 남부(루이지애나주)를 잇는 크레센트 노선 하나다.     연방 정부는 해당 3개 노선의 확충을 위해 노스캐롤라이나주, 테네시주, 조지아주에 각 50만 달러씩 총 150만 달러를 지원한다. ABC는 존 오소프, 라파엘 워녹 민주당 상원의원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한 점이 주 내 고속철도 수주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고속철도 애틀랜타 고속철도 암트랙 애틀랜타 비즈니스 애틀랜타 다운타운

2023.12.12. 16:3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