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가계가 가장 먼저 체감하는 건 장바구니 물가다. 빵, 우유, 채소 같은 기본 식료품 가격이 해마다 치솟으며 주부들의 장보기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과거에는 주말마다 여유롭게 장을 보던 가정도 이제는 세일 상품 위주로 살피거나 냉동식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류비와 공과금, 생활비 압박 가중 자동차를 유지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휘발유 가격은 국제 유가와 세금 영향으로 크게 오르며, 중형차 한 대를 채우는 데 100달러 가까이 드는 경우도 흔하다. 전기요금과 난방비도 가계의 발목을 잡는다. 특히 겨울철 난방유를 사용하는 대서양 연안 지역 가정은 계절마다 수천 달러의 선납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치솟는 주거비, 젊은 세대 ‘한숨’ 토론토와 밴쿠버 등 대도시의 월세는 이미 웬만한 소득자의 감당 범위를 벗어났다. 젊은 직장인이나 유학생들은 월급의 절반 가까이를 월세로 지출하거나, 어쩔 수 없이 룸메이트와 좁은 공간을 나눠 쓰고 있다. 내 집 마련의 꿈은 더욱 멀어졌다. 토론토·밴쿠버에서는 100만 달러 이상이 ‘보통 집’의 가격으로 자리 잡았고, 금리 인상까지 겹치며 주택담보대출 상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통신·보험·육아비까지 생활비 전방위 상승 캐나다의 통신 요금은 세계에서도 높은 편이다. 기본 요금제만 해도 매달 70~100달러를 넘기고, 가정용 인터넷 역시 80달러 이상이 일반적이다. 자동차와 주택 보험료도 기후 재해와 사고 건수 증가로 크게 올라 주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맞벌이 가정이라면 여기에 월 1,000달러 이상 드는 보육비까지 추가돼 생활비 부담은 더욱 가중된다. 차·항공권·의류·기호품까지 값비싼 나라 자동차 가격은 신차·중고차를 가리지 않고 큰 폭으로 올랐다. 차량 유지비에 보험과 유류비까지 더하면 사실상 ‘필수품’이 아닌 ‘고비용 지출’로 변했다. 항공권도 마찬가지다. 국내선조차 국제선에 맞먹는 요금을 내야 해 휴가나 가족 방문조차 부담스럽다는 불만이 크다. 여기에 주류와 담배 가격은 세금과 유통 구조 탓에 미국보다 훨씬 비싸며, 캐나다 특유의 긴 겨울을 버티기 위한 방한 의류까지 고려하면 생활비는 사방에서 치솟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리적 조건, 세금 구조, 공급망 불안, 기후 변화 등이 맞물리면서 생활비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앞으로도 많은 캐나다인들이 의식주는 물론 여가생활 전반에 걸쳐 물가 상승에 따른 과도한 부담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생활비 유류비 공과금 토론토
2025.10.06. 14:09
난방용 천연개스 가격은 1년전에 비해 낮아졌으나 매달 공과금(utility)을 제때 못내는 주민들이 크게 늘고 있어 지원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덴버 포스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저소득층의 난방비를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아웃리치 콜로라도’(Energy Outreach Colorado/EOC)는 지난 1월 15~21일 1주일 동안 총 555건의 지원 신청을 접수해 33만3,229달러를 지출했다면서 이같은 신청 급증은 전례가 없는 것이라고 전했다. EOC는 미프로하키리그(NHL) 구단 콜로라도 에벌란치와 액셀 에너지 콜로라도지부의 도움을 받고 있다. 액셀측은 이번 NHL 시즌 동안 애벌란치 팀이 홈경기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할 때마다 1천 달러를 기부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애벌란치가 홈경기에서 총 171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함에 따라 EOC에 17만 1천 달러를 기부했다. EOC는 현재까지 기부된 돈으로 모두 245가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액셀 에너지는 또, 애벌란치 팬들에게 웹사이트(https://www.energyoutreach.org/assist/)를 통해 기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콜로라도에서 시행되는 저소득층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LEAP)에는 지난 2일 현재 9만 8,814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LEAP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인 바네사 페나는 이 수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9만 6,102건 보다 늘어난 것이라고 전했다. 연방정부가 예산 지원을 하고 콜로라도 주휴먼서비스국에서 운영하는 이 프로그램은 매년 1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지난 겨울, 추운 날씨와 함께 천연개스 도매 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주전역의 난방비가 증가했다. 콜로라도 공과금 위원회(Colorado Public Utilities Commission)에 따르면 일반적인 천연개스 요금은 2022년 말과 2023년 초에 75%나 폭증했다. 2022년 말 천연개스 도매 가격은 유닛(unit)당 5달러 이상으로 급등했지만 그 이후로는 하락했다. 연방에너지정보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은 2024년에는 이 가격이 유닛당 평균 2.70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데니스 스텝토 EOC 대변인은 “많은 사람들이 식료품과 주거 비용이 상승한 탓에 공과금을 지불하는데 계속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에너지 비용 뿐만 아니라 생활비, 집세, 식비, 약품비 등 거의 모든 비용이 올랐다”고 말했다. 올 겨울 청구서나 난방 시스템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문의 전화는 이미 8만3,760통에 달한다. 이같은 요청은 LEAP 및 EOC로 전달되며 1-866-HEAT-HELP 또는 1-866-432-8435로 직접 전화해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2023년 한해동안 LEAP는 총 13만7,341건의 신청서를 접수했으며 이 중 8만8,938가구를 지원했는데, 가구당 지급된 평균 지원금은 559.29 달러로 이번 시즌의 평균 458.80 달러에 비해 높았다. LEAP의 수혜 자격을 얻으려면 소득이 콜로라도 중간 소득의 최대 60%까지며 이는 4인 가족 기준 가구당 연소득이 7만1,112 달러 미만인 경우에 해당한다. LEAP 지원금은 일회성이므로 매년 다시 신청해야 한다. 콜로라도 주의회에서 관련 법이 제정됨에 따라 1989년 결성된 비영리 단체 EOC는 2023년에 총 2만6,561가구를 지원했다. 이 중 6,053가구에는 노인이, 7,677가구에는 장애인이, 15,120가구에는 아동이 각각 포함됐다. 또한 EOC는 위기 개입, 지역사회 태양광 정원, 주택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총 3만8,289가구에 서비스를 제공했다. EOC의 예산은 기부금과 아울러 기업과 연방·주·로컬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조성된다. 이은혜 기자콜로라도 공과금 콜로라도 공과금 콜로라도 주휴먼서비스국 아웃리치 콜로라도
2024.02.19. 12:47
상하수도 요금이 연체된 가주 저소득층 주민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연장됐다. LA타임스는 당초 올가을 종료 예정이었던 저소득 가구 물 지원 프로그램(LIHWAP)이 연장돼 내년 3월이나 기금이 소진될 때까지 계속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가주지역사회서비스개발부가 관리하는 LIHWAP는 저소득 주민들이 연체된 수도/하수도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일회성 지원으로 지난 2020년 12월 의회서 승인됐다. 약 500만 달러의 기금으로 지난 2021년부터 시작된 LIHWAP를 통해 유자격자는 최대 1만5000달러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나 현재까지 200만 달러만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LIHWAP는 저소득층 세입자 및 총가구 소득이가주중간소득의 60% 이하인 주택 소유자에게 제공된다. 주택 소유자 수혜자격 기준 월소득은 1인 가구 2700.17달러, 2인 가구 3531달러, 3인 가구 4361.83달러, 4인 가구 5192.75달러며 5인 이상은 웹사이트(csd.ca.gov/Pages/LIHWAP-Income-Eligibility.aspx)에서 알아볼 수 있다. 가구 구성원이 현재 CalFresh, CalWORKs 또는 저소득 가구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LIHEAP)의 수혜자인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다. 상하수도 요금이 포함된 임대료가 연체된 세입자도 집주인의 동의서를 받아 신청할 수 있으며 주택 소유자나 세입자가 불체자라 할지라도 가구 구성원 중 한명이 18세 이상 시민권자라면 신청할 수 있다. 단, 해당 지역 유틸리티 서비스 제공업체나 기관이 반드시 LIHWAP에 참여하고 있어야 한다. 신청에는 현재 상수도 및 하수도 요금 통지서, 가주 신분증, 모든 가족 구성원의 소득 증명(CalFresh 또는 CalWORKs 참여 증명 포함) 등이 필요하다. 신청 및 추가 정보는 웹사이트(csd.ca.gov/waterbill)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박낙희 기자상하수도 프로그램 상하수도 요금 지원 프로그램 연체 상하수도 LIHWAP 물지원 프로그램 연체 공과금
2023.11.01. 1:10
급상승한 공과금으로 인해 수천만 명의 미국인이 전기세, 수도세 등의 공과금을 연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에너지 보조 협회는 “현재 2000만명 이상이 공과금을 내지 못해 연체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전례 없는 수치”라고 표현했다. 에너지협회 마크 울프 회장은 “2019년말에 1인당 연체금 평균이 403달러였던 것에 비해 현재는 거의 두 배인 792달러로 증가했고, 전체 연체금도 81억달러에서 160억 달러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공과금 연체의 주된 요인은 급등하는 에너지 가격이다. 노동국 통계에 의하면 천연가스 가격이 7월 전년동월대비 30.5%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하절기에는 냉방수요로 인해 에너지 수요가 높았지만, 동절기에는 난방수요로 인해 공과금이 더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에너지 컨설팅 회사 리포 오일의 앤드류 리포 대표는 “소비자들의 겨울 에너지 가격 부담이 여름보다 심할 것”이라며 “연료로 천연가스를 사용하든, 보일러 등유를 사용하든 충격이 있을텐데, 천연가스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2배나 올랐다”라고 말했다. 김정원 기자 [email protected]공과금 공과금 연체 1인당 연체금 전체 연체금
2022.08.28.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