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가계가 가장 먼저 체감하는 건 장바구니 물가다. 빵, 우유, 채소 같은 기본 식료품 가격이 해마다 치솟으며 주부들의 장보기가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과거에는 주말마다 여유롭게 장을 보던 가정도 이제는 세일 상품 위주로 살피거나 냉동식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유류비와 공과금, 생활비 압박 가중 자동차를 유지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휘발유 가격은 국제 유가와 세금 영향으로 크게 오르며, 중형차 한 대를 채우는 데 100달러 가까이 드는 경우도 흔하다. 전기요금과 난방비도 가계의 발목을 잡는다. 특히 겨울철 난방유를 사용하는 대서양 연안 지역 가정은 계절마다 수천 달러의 선납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치솟는 주거비, 젊은 세대 ‘한숨’ 토론토와 밴쿠버 등 대도시의 월세는 이미 웬만한 소득자의 감당 범위를 벗어났다. 젊은 직장인이나 유학생들은 월급의 절반 가까이를 월세로 지출하거나, 어쩔 수 없이 룸메이트와 좁은 공간을 나눠 쓰고 있다. 내 집 마련의 꿈은 더욱 멀어졌다. 토론토·밴쿠버에서는 100만 달러 이상이 ‘보통 집’의 가격으로 자리 잡았고, 금리 인상까지 겹치며 주택담보대출 상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통신·보험·육아비까지 생활비 전방위 상승 캐나다의 통신 요금은 세계에서도 높은 편이다. 기본 요금제만 해도 매달 70~100달러를 넘기고, 가정용 인터넷 역시 80달러 이상이 일반적이다. 자동차와 주택 보험료도 기후 재해와 사고 건수 증가로 크게 올라 주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맞벌이 가정이라면 여기에 월 1,000달러 이상 드는 보육비까지 추가돼 생활비 부담은 더욱 가중된다.
차·항공권·의류·기호품까지 값비싼 나라 자동차 가격은 신차·중고차를 가리지 않고 큰 폭으로 올랐다. 차량 유지비에 보험과 유류비까지 더하면 사실상 ‘필수품’이 아닌 ‘고비용 지출’로 변했다. 항공권도 마찬가지다. 국내선조차 국제선에 맞먹는 요금을 내야 해 휴가나 가족 방문조차 부담스럽다는 불만이 크다. 여기에 주류와 담배 가격은 세금과 유통 구조 탓에 미국보다 훨씬 비싸며, 캐나다 특유의 긴 겨울을 버티기 위한 방한 의류까지 고려하면 생활비는 사방에서 치솟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리적 조건, 세금 구조, 공급망 불안, 기후 변화 등이 맞물리면서 생활비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앞으로도 많은 캐나다인들이 의식주는 물론 여가생활 전반에 걸쳐 물가 상승에 따른 과도한 부담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