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자연과학박물관서 공룡 화석 발견

   덴버 자연과학박물관(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에서 지난 1월에 발견된 새로운 공룡 화석이 덴버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깊이 묻혀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덴버 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9일 박물관 관계자에 따르면, 이 부분 뼈 화석은 천연개스에서 지열(geothermal) 에너지로 전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지열 시추 실험을 진행하던 중 박물관 주차장 수백 피트 아래에 묻혀 있던 것이 발견됐다. 동시에 진행되던 또 다른 연구 프로젝트는 덴버 분지(Denver Basin)의 지질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기반암까지 시추하던 중이었는데, 지표에서 763피트(약 232미터) 아래에서 채취된 암석 속에서 6,750만년전 초식 공룡의 뼈 일부를 발견한 것이다. 이 박물관의 지질학 큐레이터인 제임스 해가돈(James Hagadorn)은 성명을 통해, “이번 발견은 박물관과 덴버 지역사회 모두에게 과학적, 역사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다. 이 화석은 공룡을 멸종시킨 대량 절멸 사태 직전의 시대에서 온 것이며 오늘날 덴버 땅 아래에 존재했던 고대 생태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박물관 측은 이 화석이 백악기(Cretaceous period)에 살았던 초식 공룡의 척추뼈로, ‘테스켈로사우루스’(Thescelosaurus)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공룡은 10~12피트 길이에 두 발로 걷는 동물로 당시 덴버 지역은 열대 늪지와 숲, 범람원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덴버 도심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공룡 화석들도 대부분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드러났는데, 대표적으로는 2019년 하이랜즈 랜치에서 발견된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 부분 골격, 1994년 쿠어스 필드 공사 중 발견된 뼛조각 등이 있다. 후자는 메이저리그 팀 콜로라도 로키스의 보라색 공룡 마스코트 ‘딩거’(Dinger)의 영감이 됐다.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현재 박물관의 ‘틴 렉스 발견(Discovering Teen Rex)’ 일부로 전시되어 있다. 이 전시는 노스 다코타주에서 세 소년에 의해 발견된 어린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화석을 과학자들이 전시용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은혜 기자자연과학박물관서 공룡 공룡 화석들 덴버 자연과학박물관 초식 공룡

2025.07.15. 15:23

썸네일

자연과학박물관서 공룡 화석 발견

   덴버 자연과학박물관(Denver Museum of Nature & Science)에서 지난 1월에 발견된 새로운 공룡 화석이 덴버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깊이 묻혀 있던 것으로 밝혀졌다고 덴버 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9일 박물관 관계자에 따르면, 이 부분 뼈 화석은 천연개스에서 지열(geothermal) 에너지로 전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지열 시추 실험을 진행하던 중 박물관 주차장 수백 피트 아래에 묻혀 있던 것이 발견됐다. 동시에 진행되던 또 다른 연구 프로젝트는 덴버 분지(Denver Basin)의 지질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기반암까지 시추하던 중이었는데, 지표에서 763피트(약 232미터) 아래에서 채취된 암석 속에서 6,750만년전 초식 공룡의 뼈 일부를 발견한 것이다.이 박물관의 지질학 큐레이터인 제임스 해가돈(James Hagadorn)은 성명을 통해, “이번 발견은 박물관과 덴버 지역사회 모두에게 과학적, 역사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다. 이 화석은 공룡을 멸종시킨 대량 절멸 사태 직전의 시대에서 온 것이며 오늘날 덴버 땅 아래에 존재했던 고대 생태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박물관 측은 이 화석이 백악기(Cretaceous period)에 살았던 초식 공룡의 척추뼈로, ‘테스켈로사우루스’(Thescelosaurus)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공룡은 10~12피트 길이에 두 발로 걷는 동물로 당시 덴버 지역은 열대 늪지와 숲, 범람원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덴버 도심 지역에서 발견된 다른 공룡 화석들도 대부분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드러났는데, 대표적으로는 2019년 하이랜즈 랜치에서 발견된 트리케라톱스(triceratops) 부분 골격, 1994년 쿠어스 필드 공사 중 발견된 뼛조각 등이 있다. 후자는 메이저리그 팀 콜로라도 로키스의 보라색 공룡 마스코트 ‘딩거’(Dinger)의 영감이 됐다.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현재 박물관의 ‘틴 렉스 발견(Discovering Teen Rex)’ 일부로 전시되어 있다. 이 전시는 노스 다코타주에서 세 소년에 의해 발견된 어린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의 화석을 과학자들이 전시용으로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은혜 기자자연과학박물관서 공룡 공룡 화석들 덴버 자연과학박물관 초식 공룡

2025.07.15. 15:22

썸네일

[이 아침에] 공룡을 만들다가 든 생각

펜데믹 동안 집에 있는 무료한 시간에 뜨개질을 했다. 목도리, 가방, 수세미 등 큰 기술이 필요치 않은 소품들이었다. 아들아이에게 목도리와 수세미를 나눠줬더니 내가 뜨개질에 큰 취미가 있는 줄 알고 아들에게서 크리스마스 선물로 쥬라식 파크(Jurassic Park) 공룡 뜨기 세트가 왔다.   난감했다. 단순한 시간 보내기용 취미에 의미 부여할 일이 아닌데 쥬라기 공원에 나오는 갖은 공룡 인형이라니 말이다. 며칠째 뜨기 안내 책자만 들여다보고 머리 아파하고 있는데 아들이 전화했다. 잘 되고 있느냐고. 뭐라도 하나 만들어 보여줘야 될 입장이 되었다.   티라노사우루스, 블라치노사우루스, 딜로포사우루스 공룡 이름만으로도 골치 아픈데 그 인형들을 만들라니. 곰곰 생각하다가 무서운 쥬라기 공원 공룡보단 아기공룡 둘리 같은 귀여운 공룡을 만들기로 했다. 유튜브 한국 채널을 선생님 삼아.   가분수의 공룡을 만들어 머리통과 몸에 젓가락으로 솜을 밀어 넣었다. 점점 부풀어 오르는 공룡. 통통한 공룡으로 변신하는 중이다.   그걸 보고 있자니 오래전 남편의 유학생 시절, 유학생 부인들이 둥근 상에 둘러앉아 인형 만들던 추억이 소환되었다. 산타 인형 뱃속으로 솜을 넣었던 기억, 토끼털로 수염과 옷 가장자리 장식 붙이던 기억, 산타 자루에 넣는 손톱만 한 선물을 포장하고 가는 끈으로 묶던 기억이 새록새록 생각이 났다. 일을 주던 인형작가가 디테일에 뛰어난 한국 여성들 솜씨에 감탄하던 생각도 났다.   한국의 예전 달동네에서 하던 가내수공업을 멀리 미국까지 와서 하던 억척 부인들. 대학 선후배 이거나 고교 선후배이기도 했던 그녀들 덕에 남편들이 맘 편히 공부할 수 있었다. 지금도 기념품 가게에서 팔리는 컬렉션용 산타 인형들을 보면 비싼 가격이 그럴만하다고 생각된다. 그 어려웠던 공정을 알기에. 이런 인형 만들기 경력직인 내가 공룡에 꼬리와 팔다리를 붙이고 등과 머리에 뿔도 붙이니 그럭저럭 귀여운 공룡이 탄생하였다. 아들네에 아기가 생긴다면 첫 장난감으로 줘야겠다.   공룡 연구로 흰머리가 더 센 느낌이 들어서 공룡은 한 마리로 마감하기로 했다. 올해가 청룡의 해라며 이왕이면 청룡도 하나 만들어보지? 남편이 옆에서 말하길래 손사래를 쳤다. 청룡은 공룡보다 더 길고 구불거리며 산발한 뿔에 긴 수염, 불도 입에서 뿜어져 나오지 않는가 말이다. 여의주를 물고 화룡점정도 찍으려면 조수가 있어도 못 만들 일이다. 공룡이건 청룡이건 용은 사양하련다.   그리고 아들아 이런 말 하긴 쑥스러운데 앞으로 저런 선물은 싫어, 차라리 현금으로 주면 어떨까? 아니면 이 나이 되니 먹는 선물도 좋아.   누가 대신 말해 줬으면 좋겠다.   이정아 / 수필가이 아침에 공룡 생각 공룡이건 청룡이건 아기공룡 둘리 딜로포사우루스 공룡

2024.01.23. 20:09

썸네일

공룡 Sue의 앞발은 왜 짧을까?

시카고 필드박물관이 공룡 ‘수’의 앞발에 얽힌 미스터리를 푸는데 도전한다.    최근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은 소장하고 있는 티라노사우러스 공룡 화석 수(sue)의 앞발 뼈를 시카고대학측에 제공했다.     이 뼈는 전체 화석에 비하면 매우 작은 크기다. 그 동안 필드박물관측은 몸집에 비해 지나치게 작아 앙증스러운 이 앞발이 왜 이렇게 퇴화됐는지에 대해 정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보통은 날카로운 발톱을 이용해 먹이를 찢는데 사용했을 것이라고 믿었지만 필드박물관측은 새로운 가설을 제기했다. 즉 짝짓기를 하기 위해 수컷이 암컷을 붙잡아 두기 위한 용도라는 것이다.     이런 가설은 사자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수컷 사자가 암컷 사자의 뒷목을 무는 것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필드 박물관의 이러한 가설은 내년 2월이 되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카고대 방사선 연구소가 수의 앞발 뼈에 대한 조사를 한 뒤 결과를 밝힐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편 필드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티라노사우러스 화석 수는 전 세계에서 발견된 티렉스 공룡 화석 중에서 가장 크고 완벽한 상태로 알려졌다. 1990년 8월 12일 사우스다코타주의 페이스시 인근 지역에서 발견됐다.     6700만 년 전 살았던 이 포악한 공룡에 ‘수’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이 화석을 처음 발견한 조사원 수 헨드릭슨에서 따왔기 때문이다.  Nathan Park 기자공룡 sue 공룡 sue 공룡 화석 동안 필드박물관측

2022.12.14. 15:50

썸네일

공룡 동상 훔쳐간 남자... 도대체 왜?

 공룡 동상 공룡 동상

2022.01.03. 15:5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