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부채 급증에… 크레딧카드 과소비 사라진다

소비자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급증했던 크레딧카드 소비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가 제공한 최신 결제 데이터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1조 달러를 넘어섰던 크레딧카드 잔액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부터는 크레딧카드 사용 증가율이 데빗카드보다 낮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약 4년 만에 처음 감지된 변화로 크레딧카드 사용 자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최근 몇 년간 고물가 상황 속에서 크레딧카드 발급과 사용은 크게 늘었지만, 가계는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 높은 카드 금리 등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카드사들도 발급 대상을 선별적으로 좁히고 있으며, 소비자들 역시 신규 부채를 더 신중히 받아들이는 모양새다.     크레딧 점수 집계 회사인 트랜스유니온(TransUnion) 수석 부사장 찰리 와이즈는 “크레딧카드 부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이제 소비자들이 스스로 소비를 억제하는 단계에 들어섰다”고 말했다.   샌디에이고에 거주하는 해리 이(55)씨는 올해 2월 그동안 써오던 아메리칸익스프레스 골드카드를 잘라 버리고, 20장의 카드 대부분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지갑에서 빼놓았다.     그는 “크레딧카드를 마치 모노폴리 게임 화폐처럼 여기고 쓴 것이 화근이었다”며, “총 7만2000달러에 달하는 카드빚으로 월 최소 페이먼트가 2800달러까지 치솟았다”고 말했다. 해당 액수는 이씨의 주택담보대출과 자동차 할부금의 합보다 더 많은 액수였다.     그는 지난 6개월간 약 3만 달러를 상환했으며, 현재는 현금과 데빗카드만 이용하고 있다.   팬데믹 동안 비접촉 결제와 앱 기반 소비 확산으로 데빗카드 사용이 급증했으며, 정부의 경기부양금도 데빗카드를 통해 집행됐다.     크레딧카드 소비는 초기에는 감소했으나, 여행과 외식 등 재량 소비가 회복되면서 2022년에는 데빗카드 대비 7배 이상 빠른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기준, 데빗카드 사용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7% 증가한 반면 크레딧카드 사용액은 5.65% 증가에 그쳤다.   또한 트랜스유니온의 분석에 따르면 연체율 하락과 함께 크레딧카드 잔액 증가세 둔화는 소비자들이 부채를 적극 관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크레딧카드 빚을 통합 상환하기 위한 개인대출 발급이 1년 전보다 18% 늘어나며 총액 257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전문가들은 평균 22%에 달하는 크레딧카드 금리를 피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지만, 대출을 통한 상환 후에도 1년 반 안에 다시 카드를 채우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최인성 기자크레딧카드 과소비 크레딧카드 부채 데빗카드 사용액 크레딧카드 소비 박낙희 신용카드 부채 빚 데빗카드

2025.08.18. 20:21

썸네일

불황여파에 과소비 안하기가 틱톡서 유행

#. LA한인타운에 거주하는 J씨는 호텔, 오마카세, 명품, 좋은 화장품 등 인플루언서들을 따라하려다 4000달러의 카드빚을 얻었다고 했다. 그는 이런 생활을 더 이상 이어갈 수 없다고 판단했다. 소비를 줄이고 안입는 옷은 중고옷으로 판매하고 돈을 모으며 오히려 지금까지 느낄 수 없었던 뿌듯함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로 인해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틱톡에서 '과소비 안 하기' 운동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른바 '언더컨섬션 코어'로 과소비를 부추기는 인플루언서 문화에서 벗어나 간소한 삶을 추구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 인플루언서가 홍보하는 제품에 대한 반발로 생겨난 '디인플루언싱'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에 틱톡은 돈을 절약하고 물건을 아껴 쓰는 방법을 공유하는 다양한 영상이 인기를 얻고 있다. 오래된 수건으로 걸레를 만들어 쓰고, 직접 드라이샴푸를 만들어 사용하며, 가족에게 물려받은 가구를 활용하고, 최소한의 옷과 액세서리로 코디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 48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틱톡커 와이비는 작년 말 자신의 소비습관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그는 이러한 트렌드에 대해 "제품을 사도록 유도하는 인플루언서들 뒤에는 광고 회사들이 있고 소비자들은 이것을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때 동경받았던 부의 노골적인 과시가 이제는 현실 감각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유행하는 패션 아이템, 다양한 메이크업 제품 대신 '현재 가진 것을 사용하기', '물건 재활용하기' 등의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대규모 경제 침체 이후 소비자들이 필수적인 소비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있다며 역사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보복 소비'가 한창이었지만, 이후 경제 불안감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이 예산을 절약하고 필수적인 소비에 집중하는 '언더컨섬션 코어'로 변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에도 소비자들은 고가의 사치품 대신 실용적인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일부에서는 '필수적인 소비'의 기준이 개인마다 다르고, 때로는 '절약'이라는 명목 하에 또 다른 소비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친환경 제품'이나 '가성비 높은 제품'을 찾는 과정에서 오히려 불필요한 소비를 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불황여파 과소비 과소비 안하기 이후 소비자들 메이크업 제품

2024.07.26. 17:50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