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 자정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국제 소포에도 15% 관세가 부과되면서 한국에서 가족이나 지인으로부터 생활용품을 받아오던 한인들의 부담과 불편이 크게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 우정사업본부는 새 제도에 대응할 수 없어 미국행 EMS와 소포 접수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민간 특송사와 제휴한 ‘EMS 프리미엄’은 이용이 가능하지만, 소형 물품은 기존보다 10%가량 비싸고 배송 지연도 불가피해 한인과 소규모 업자들의 부담은 한층 커지게 됐다. 실제 한인 사회에서는 걱정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 한인업체에 취업한 조이 송씨는 “물가와 주거비가 너무 비싸 부모님이 보내주던 의류·식품으로 생활비를 줄였는데 이제 관세까지 내야 한다니 막막하다”고 말했다. USC에 입학한 케이 김씨도 “급하게 오느라 필요한 물품만 챙겨 왔는데 부모님이 보내시려던 생활용품마저 우체국 접수가 중단돼 현지에서 직접 마련하라고 했다”며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는 입장에서 마음이 무겁다”고 토로했다. 영세 한인업소도 직격탄을 맞는다. 아이컨BM 택배 제이 이 매니저는 “한국 화장품이나 생활용품을 소규모로 받아 판매하던 업자들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물량 감소는 물류업체와 수입업자, 소비자까지 연쇄적으로 피해를 주게 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관세 징수 체계를 악용한 사기 피해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다젠택배 제이크 황 대표는 “민간 특송사가 통관을 대행하고 현지 수취인에게 관세를 청구하는 구조를 악용해 가짜 청구 문자와 이메일 스팸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관세 미납’을 빙자한 스미싱·피싱 사기가 늘어날 경우 한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한인사회뿐 아니라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에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분석한다. 물류업체 스토드(Stord)는 최근 보고서에서 “소액 면세 기준 폐지로 국제 소포 물량이 최대 75%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자상거래 물류 플랫폼 플레버클라우드(FlavorCloud) 역시 “저비용 D2C(직접 판매) 모델에 의존해 온 해외 업체들은 미국 내 재고 확보 등 전략 전환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한인사회는 의류, 식품, 약품, 생필품 등 필수 생활용품은 물론 가족의 정성이 담긴 ‘작은 소포’까지 추가 비용 장벽에 가로막히게 됐다. 교민들의 생활 전반에 불편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향후 물류 구조 변화와 관세 사기까지 겹쳐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 미국행 EMS 소포 접수 중단…800불 이하도 15% 관세 영향 강한길 기자 [email protected]관세 한국 관세 징수 관세 미납 소포 접수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2025.08.21. 21:53
“태양광패널 관세 2년 면제” 조 바이든 대통령은 6일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한 관세를 2년 면제하는 내용의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이 발표가 주목되는 이유는 연방 상무부가 3월부터 이들 4개 국가에서 태양광 패널을 만들어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들이 중국산 부품을 사용해 중국에 부과한 관세를 우회한다는 혐의를 조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 4개국은 미국이 사용하는 태양광 패널의 절반 이상을, 수입의 약 80%를 차지한다. 상무부가 관세를 소급 적용할 가능성에 미국 기업이 태양광 패널 수입을 중단하면서 미국 내 태양광 사업 수백개가 지연되거나 중단됐다. 바이든 대통령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내건 재생에너지 확대가 차질을 빚는다는 우려까지 제기됐다. 소식통은 “태양광 사업을 살리고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관세 징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타임아웃’ 시간을 제공하는 게 (대통령령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미, ‘빚 대신 원유’ 거래 허용 미국이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고자 이탈리아와 스페인 기업이 베네수엘라 원유를 빚 대신 받도록 허용했다고 로이터통신이 5일 5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무부는 에너지 기업인 이탈리아의 에니(Eni)와 스페인의 렙솔(Repsol)이 이르면 다음 달부터 베네수엘라산 원유를 유럽으로 운송하도록 허가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다시 거래를 허용한 이유는 세 가지라고 소식통들은 로이터에 전했다. 유럽의 러시아 원유 의존도를 낮추고, 베네수엘라의 대중국 원유 수출을 줄이며, 마두로 정권에 상징적인 성과를 안겨줘 베네수엘라 야권과 대화를 독려하려는 것이다.브리프 태양광패널 관세 태양광패널 관세 베네수엘라산 원유 관세 징수
2022.06.06. 1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