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물 관세 강화로 한국으로부터 소포받기가 불편해질 전망이다. 한국의 우체국에서 국제 우편물 배송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29일 자정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국제 소포에도 15% 관세가 부과되면서 한국에서 가족이나 지인으로부터 생활용품을 받아오던 한인들의 부담과 불편이 크게 가중될 전망이다. 한국 우정사업본부는 새 제도에 대응할 수 없어 미국행 EMS와 소포 접수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민간 특송사와 제휴한 ‘EMS 프리미엄’은 이용이 가능하지만, 소형 물품은 기존보다 10%가량 비싸고 배송 지연도 불가피해 한인과 소규모 업자들의 부담은 한층 커지게 됐다.
실제 한인 사회에서는 걱정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 한인업체에 취업한 조이 송씨는 “물가와 주거비가 너무 비싸 부모님이 보내주던 의류·식품으로 생활비를 줄였는데 이제 관세까지 내야 한다니 막막하다”고 말했다. USC에 입학한 케이 김씨도 “급하게 오느라 필요한 물품만 챙겨 왔는데 부모님이 보내시려던 생활용품마저 우체국 접수가 중단돼 현지에서 직접 마련하라고 했다”며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는 입장에서 마음이 무겁다”고 토로했다.
영세 한인업소도 직격탄을 맞는다. 아이컨BM 택배 제이 이 매니저는 “한국 화장품이나 생활용품을 소규모로 받아 판매하던 업자들이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물량 감소는 물류업체와 수입업자, 소비자까지 연쇄적으로 피해를 주게 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관세 징수 체계를 악용한 사기 피해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다. 다젠택배 제이크 황 대표는 “민간 특송사가 통관을 대행하고 현지 수취인에게 관세를 청구하는 구조를 악용해 가짜 청구 문자와 이메일 스팸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실제로 ‘관세 미납’을 빙자한 스미싱·피싱 사기가 늘어날 경우 한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한인사회뿐 아니라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에도 큰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분석한다. 물류업체 스토드(Stord)는 최근 보고서에서 “소액 면세 기준 폐지로 국제 소포 물량이 최대 75%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자상거래 물류 플랫폼 플레버클라우드(FlavorCloud) 역시 “저비용 D2C(직접 판매) 모델에 의존해 온 해외 업체들은 미국 내 재고 확보 등 전략 전환을 서둘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한인사회는 의류, 식품, 약품, 생필품 등 필수 생활용품은 물론 가족의 정성이 담긴 ‘작은 소포’까지 추가 비용 장벽에 가로막히게 됐다. 교민들의 생활 전반에 불편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향후 물류 구조 변화와 관세 사기까지 겹쳐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