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간호사 수요 증가, 간호대학 입학 경쟁 치열

간호사 등 의료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하면서 간호대학 입시 경쟁률이 치솟고 있다. 특히 지원자들은 학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립대 간호학과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반면 비교적 입학이 수월한 사립대는 현장실습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9월 세리토스 칼리지 간호학과에 입학한 로버트 오(40) 씨는 요즘 학교 도서관에서 지내다시피 한다.     그는 “커뮤니티 칼리지는 학비가 정말 싸다”며 “어렵게 입학 허가를 받은 만큼 낙제되지 않으려 공부만 한다”고 말했다.   오씨가 다니는 세리토스 칼리지 간호학과의 한 학기 정원은 약 50명으로, 지원자는 10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6일 LA타임스에 따르면 2년 과정의 커뮤니티 칼리지 간호학과 학비는 졸업까지 약 5000달러 수준이다. 4년제 공립대 간호학과는 졸업까지 약 4만3000달러가 들어 학생들은 커뮤니티 칼리지를 선호하는 추세다.   오씨는 “사립대학으로 갈 경우 최소 10만 달러 이상을 내야 한다”며 “다들 어렵게 합격한 만큼 탈락하지 않으려는 마음이 크다”고 말했다.   간호사 인기는 높은 직업 안정성과 시간당 45달러 이상의 고임금, 그리고 인력난 등으로 크게 높아졌다. 캘리포니아주 간호사위원회(CBRN)에 따르면 2022~2023년 간호학과 지원자는 5만7987명으로, 이 중 3분의 1만 합격했다. 지난해 전국적에서도 간호학과에 지원했다가 낙방한 사람도 약 6만6000명에 이른다.   공립대 간호학과 입학에 실패한 학생들은 사립대로 눈을 돌린다. 사립대는 비교적 입학이 자유롭지만, 웨스트코스트대(WCU) 등 사립대의 4년 학비는 10만~15만 달러에 이른다.   지난 6월부터 한 사립 간호대에 다니고 있는 신모(43) 씨는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수업을 듣고 있다”며 “나이 들어 공부하려니 힘들 때도 많지만 실습과 졸업까지 꼭 완주하고 싶다”고 말했다. 간호학과 인기가 치솟으면서 교육기관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교육 수요가 급증하면서 교수진이 부족하고, 공립대와 사립대는 제한된 병원 실습 자리를 놓고 경쟁이 치열하다.   LA타임스는 2022~2023학년도 기준 가주 152개 간호학과 중 약 57%가 현장실습 자리 부족으로, 학생들이 졸업에 필요한 최소 500시간의 실습을 채우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공립대와 사립대는 실습 우선권을 두고 맞서고 있다. 공립대 측은 “병원이 정부 지원을 받는 만큼 공립대 학생에게 우선권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사립대 측은 “교육의 형평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일부 사립대는 병원 등에 사례비를 지급하고 실습 자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연방 보건복지부(DHHS)는 가주 간호사 부족 규모가 2025년 4만790명에서 2033년에는 6만149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교육시설 간호사 간호사 인기 공립대학 간호학과 캘리포니아주 간호사위원회

2025.10.06. 20:32

썸네일

‘교육시설도 브랜드 시대’…목동 프리미엄 입지 품은 학원 특화 상가 ‘맥캠퍼스’

 학원도 브랜드 경쟁의 시대다. 과거에는 단순히 자리를 확보하고 수요를 기다리던 상권 중심 상가들이 많았지만 이제는 학부모와 수강생이 선택하는 공간에도 기준이 생겼다. 입지와 시설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까지 고려하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교육시설에 대한 수요는 단순한 임대 수준을 넘어 ‘프리미엄 상가’를 요구하고 있다. 상가 자체가 특정 업종의 전문성과 신뢰도를 뒷받침해주는 기반이 돼야 하는 상황인 만큼 그에 걸맞은 상품 구성을 갖춘 공간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다.   이런 흐름에서 ‘맥캠퍼스’는 목동이라는 지역성과 맞물려 새로운 교육시설 입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단순한 상업시설이 아니라 교육 업종에 최적화된 기획과 설계를 반영한 점에서 기존 상가와는 명확한 차별성을 갖는다. 실제로 입주를 염두에 둔 상담자들 사이에서는 ‘교육시설용 브랜드 상가’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임대 수익뿐 아니라 향후 가치 상승까지 기대할 수 있는 대체 투자처로도 주목되고 있다.   ‘맥캠퍼스’는 오목교역과 양천구청역 사이의 생활 인프라 중심 구역에 위치해 있다. 초중고교가 고르게 분포된 통학 동선 중심에 놓여 있으며 반경 내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된 실거주 기반 생활권이다.     단지형 상가와 달리 거주지와 학교 사이의 실사용 동선에 위치해 있어 학원 운영자 입장에서도 접근성과 노출 효과가 뛰어난 조건이다. 특히 차량 접근성이 우수하고 주변에 공영주차장이 위치해 있어, 학부모나 수강생의 방문 편의성까지 확보한 점도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작용한다.   상품 자체의 완성도도 주목할 만하다. ‘맥캠퍼스’는 지하 1층부터 지상 14층까지 구성되며 4층부터 14층까지는 교육시설 전용으로 기획됐다. 동선과 운영 효율을 고려한 복도 설계, 층간 이동을 돕는 엘리베이터 3대, 외부 차량 진입을 고려한 진출입 동선까지 운영자와 이용자 관점 모두를 고려한 구조다.     공간 구성뿐 아니라 용도 특화도 철저하게 이뤄져 단순 수익형 상가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실질적인 운영 효율과 브랜드 학원에 적합한 구조가 동시에 확보된다는 점에서 교육시설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브랜드 학원 본원, 고급 보습학원 등 업종별 차별화 전략을 고려한 구성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제 입점 이후의 브랜드 가치 상승도 기대되는 상업시설로 평가된다. 학부모 입장에서도 선호도 높은 교육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는 점에서 신뢰감이 높다.     브랜드 학원들이 입지를 까다롭게 선택하는 상황에서 맥캠퍼스는 이를 충족시킬 입지 조건과 설계 기준을 갖췄다는 점에서 경쟁력 있는 상업공간으로 손꼽힌다. 일반 상가 대비 운영 효율성과 공간 특화성이 확보돼 있어 교육시설에 최적화된 상품으로 평가된다.   맥캠퍼스 분양 홍보관은 양천구 일대에 위치해 있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교육시설 프리미엄 교육시설용 브랜드 교육시설 입지 프리미엄 상가

2025.06.08. 18:18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