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연방 교정시설에서 외국인 수감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반면 캐나다 시민권자 수감자는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외국인 수감자의 출신국 정보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정부의 관리 부실이 지적되고 있다. 외국인 수감자 10년 새 30% 늘어 연방 공공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2024/25 회계연도 기준 연방 교도소 수감자는 총 1만4,837명으로, 팬데믹 시기보다 늘었지만 10년 전과 큰 차이는 없었다. 캐나다 국적 수감자는 1만3,943명으로 줄었고, 외국인은 655명에서 857명으로 30% 증가했다. 출신국 모르는 수감자 36% 외국인 및 복수국적 수감자 894명 중 319명(36%)의 출신국이 ‘미상’이었다. 국적이 확인된 이들 중 자메이카(63명), 인도(44명), 미국(38명), 필리핀(20명), 소말리아·중국(각 16명) 순이었다. 보수당 미셸 렘펠 가너 의원은 “기초 정보조차 없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외국인 범죄자에 대한 규제 강화를 주장했다. 주요 범죄는 마약·살인 외국인 수감자의 주요 범죄는 1급 마약 범죄(479명)와 2급 살인(157명)이었다. 콘도형 시설인 비버크리크 교도소(온타리오)가 외국인 수감자 76명으로 가장 많았고, 위니펙의 스토니마운틴(37명) 등이 뒤를 이었다. 관리비용도 35% 상승 연방 수감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2016/17년 11만6,500달러에서 2024/25년 15만6,700달러로 35% 증가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외국인수감자 교정시설 범죄 외국인
2025.11.11. 7:50
LA카운티 트윈타워 교정시설에 수감 중이던 22세 공군 출신 남성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해 유가족이 카운티 셰리프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사망자는 몇 주 전에도 자살을 시도한 바 있으며, 당시 교도관들의 관리 소홀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퍼블릭 프레스 보도에 따르면, 사건 당일 교도관들은 수감자 점검 의무를 소홀히 한 채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고 음식을 먹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유가족 변호인은 기자회견에서 “사망 전 한 시간 동안 교도관들이 여러 차례 수감자 점검을 놓쳤다”며 “이들은 등을 돌린 채 TV 화면에 몰두해 있었다. 이는 명백한 의무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고인의 아버지 역시 “이들은 공공을 위해 봉사하겠다고 선서했지만 이를 저버렸다”며 사임을 촉구했다. AI 생성 기사la카운티 교정시설 la카운티 교정시설 가족 셰리프국 공군 출신
2025.10.02. 14:06
기존의 샌디에이고 소년원 시설을 점차 대체하게 될 새로운 청소년 교정시설인 ‘유스 트랜지션 캠퍼스’가 문을 열었다. 샌디에이고 카운티 수퍼바이저위원회의 네이션 플렛처 위원장을 비롯한 카운티 정부와 유스 트랜지션 캠퍼스의 주요 관계자들은 지난달 28일 완공식을 갖고 이 캠퍼스의 오픈을 알렸다. 세라메사에 소재한 기존 소년원의 남쪽 부지에 들어선 유스 트랜지션 캠퍼스는 기존의 소년원이 미성년 범죄자들을 수감하는 교도소라는 이미지에서 탈피, 이들을 선도하고 건전한 사회복귀를 적극적으로 돕는 재활 교육하는 기능을 강화한 시설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샌디에이고 교정시설 샌디에이고 소년원
2022.02.01.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