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항공기 운항 정상화…FAA, 감축조치 해제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정지)이 40여 일 만에 종료되면서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도 함께 해제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방항공청(FAA)은 “17일 오전 6시를 기해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셧다운에 따른 관제사 부족으로 FAA가 지난 7일부터 항공사들에 항공편 감축을 요구한 지 열흘 만이다. 브라이언 베드포드 FAA 청장은 “인력 수급 우려가 줄어든 덕분에 감축 종료 조치를 내릴 수 있게 됐다”며 “곧 정상 운영으로의 복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연방정부 셧다운 기간 무급으로 근무한 교통안전청(TSA) 직원과 항공관제사들에게는 보너스 1만 달러가 지급된다.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DHS) 장관은 “셧다운 기간 엄청난 업무를 수행한 TSA 직원들에게 보너스 1만 달러를 지급하겠다”며 “TSA 직원들은 미국이 셧다운에 빠지지 않도록 책임을 다했고, 그 애국심은 인정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셧다운은 지난달 1일 시작돼, 43일째인 지난 13일 종료되며 역대 최장기 기록을 세웠다. 강한길·윤지혜 기자국내선 정상화 국내선 항공편 국내선 운항 항공편 감축

2025.11.17. 20:43

국내선 항공 운항 정상화…FAA, 주요 공항 운항 감축 종료

연방정부 셧다운이 40여일 만에 종료됨에 따라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도 끝나게 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연방항공청(FAA)은 16일 성명을 내고 “17일 오전 6시를 기해 국내선 항공편 감축 조치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셧다운에 따른 관제사 부족으로 지난 7일부터 항공사에 항공편 감축 조치를 부과한 지 열흘만이다. 감축 조치에 따라 이 기간 5500여편이 취소되고 2만3000편이 지연되는 등 국내선 운항에 차질이 잇따랐고 시민 상당수가 불편을 겪었다.   브라이언 베드포드 FAA 청장은 “인력 수급 우려가 지속적으로 줄어든 덕분에 이번 감축 종료 조치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정상적 운영으로의 복귀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상당수 항공사는 감축 조치의 종료를 예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몇몇 주요 항공사 관계자들은 익명을 전제로 17일자 항공편을 취소하지 않았으며 그럴 계획도 없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16일 항공편 취소율은 40개 주요 공항에서 0.25%에 불과했다. 셧다운 여파가 없던 평소보다도 낮은 취소율이다.   FAA는 당초 10%까지 점진적으로 항공편 감축 비율을 늘리려다가 셧다운이 종료 수순을 밟으면서 6%에서 멈췄다.   셧다운은 지난달 1일 시작돼 43일째인 지난 13일 역대 최장기 기록을 쓰며 종료됐다.   셧다운으로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된 관제사들이 출근하지 않으면서 당국은 항공편 감축 조치를 단행했고 11월말 추수감사절 연휴에 시민들이 고향을 찾을 항공편을 구하지 못해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일었다.  윤지혜 기자운항 국내선 국내선 항공편 국내선 운항 항공편 감축

2025.11.17. 20: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