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중가주 사적지 탐방 재개합니다"

"2세들에게 역사의식과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는 프로그램 확대에 노력하겠습니다."   올 한해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을 끌어갈 클라라 원 신임 이사장은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중가주 역사탐방을 다시 시작한다. 또 삼일절이 있는 3월 한 달 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청소년들을 위한 뿌리교육 현장학습을 운영할 것"이라며 "이미 2주 예약이 완료됐다. 관심을 갖는 한인들이 많아 든든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원 이사장은 이어 "대한인국민회관은 유일한 역사교육의 현장이다. 앞으로 이 현장을 알리고 계승시켜 나가는 일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를 위해 다음 세대를 연결하는 브리지 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세대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전문직에 종사하는 이사들을 다수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신임이사들은 미셸 윤(총무이사), 최미경(교육분과위원장), 최만규(행사분과위원장), 김혜자 변호사(학술편찬위원장), 이현주(사업분과위원장)씨다. 특히 김 신임이사는 증조할아버지가 한국에서는 공주에서 만세시위 운동을 선도하고 하와이에서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도왔던 독립유공자 안창호 목사(1884~1969)로 알려져 이번 활동에 의미를 더했다.   김 신임이사는 "증조할아버지가 독립유공자인 건 알았지만 대한인국민회에서 만날 줄은 몰랐다"며 "그동안 밖에서 지켜봤는데 앞으로는 내적 성장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배국희 전 이사장이 신임 이사들과 대한인국민회를 연결해줄 역할을 위해 부이사장으로 흔쾌히 합류했다. 배 부이사장은 "대한인국민회의 역사적 배경과 사명을 다음 세대에 잘 전달되도록 중간 다리 역할을 감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원 이사장은 오는 3월 1일 삼일절에 대한인 국민회관에서 흥사단, 광복회, 3.1여성동지회, 도산안창호기념재단과 LA한인회와 연합해 삼일절 행사를 갖는다고 알리고 "앞으로도 동포사회의 단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한인 사회의 지원과 후원을 부탁했다.   한편 대한인국민회는 1909년 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설립한 단체다. 1938년 한인들이 몰려 살던 LA의 현 위치(1368 W. Jefferson Blvd.)에 총회관을 세워 한인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1991년 LA시가 '한국 독립기념관'으로 사적지(548호)로 지정했다. 2002년 대한인국민회관 복원위원회가 구성돼 활동을 다시 시작하면서 운영을 맡을 기념재단을 설립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장연화 기자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관 복원위원회 대한인국민회의 역사적

2023.02.14. 14:42

썸네일

대한인국민회관 찾은 도산사업회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이사장 클라라 원)은 지난 4일 미주도산기념사업회(회장 데이빗 곽)이사진들에게 대한인국민회의 역사와 함께 기념회관을 안내하고 초기 미주 한인의 이민역사와 독립운동정신 계승사업에 협력을 다짐했다.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제공]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의 역사 독립운동정신 계승사업

2023.02.07. 17:13

썸네일

‘한국전 고아들의 아버지’ 위트컴 장군 추모 세미나

‘한국전쟁 고아의 아버지’로 불리는 리처드 위트컴 장군을 기념하고 추모하는 세미나가 열린다.   위트컴 희망재단은 오는 27일(금) 오후 2시 육군협회 사무실(4060 W. Washington Bl. #K, LA)에서 6·25전쟁의 영웅 위트컴 장군과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친모인 한묘숙 여사가 위트컴 장군과 재혼하면서 의붓딸이 된 민태정 위트컴 희망재단 이사장은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더 의미 있는 행사”라며 “6·25전쟁 이후에도 부산에 남아 50만 명 이상 전쟁고아들의 지원에 헌신하심을 기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군 제2군수사령관이었던 위트컴 장군은 전쟁 후유증으로 어려움을 겪던 한국인을 위해 군법을 어겨가면서까지 군수물자를 나눠줬다가 연방의회 청문회에서 추궁당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전쟁은 총칼로만 하는 게 아니다. 그 나라 국민을 위한 것이 진정한 승리”라는 명언을 남겼다.   이번 행사를 돕게 된 육군협회 미서부지회 최만규 지부장은 “장군님의 공헌을 우리가 기억하고 기념하는 게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길”이라며 “지난해 11월 11일 대한민국 정부도 위트컴 장군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 1등급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위트컴 장군 기념 세미나에는 미 육군협회 LA 지부의 피트 사이츠, 김회광 목사 등 5명의 패널이 나와 장군의 발자취 등을 연설한다.   또 이 행사를 통해 부산에 위치한 유엔평화공원 내에 위트컴 장군 동상 건립을 위한 미국 동포 모금도 이뤄질 계획이다. 주최 측은 이번 세미나 참석 여부를 오는 24일까지 알려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위트컴 장군을 기리고 널리 알리기 위한 위트컴 여성 합창단의 음악회도 오는 3월에 열릴 예정이다.     ▶문의: (714)403-8610, (310)938-8785   글·사진=김예진 기자기념재단 한미동맹 기념재단 한미동맹 세미나 개최 한미동맹 70주년

2023.01.20. 13:58

썸네일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원클라라 신임 이사장 선출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은 지난 19일 국민회관에서 개최한 정기 총회에서 클라라 원 이사를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원 이사장은 이날 임기 동안 동포사회의 단합을 우선시해 국가의 기념행사들을 관련 단체들과 함께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독립운동가들의 애국정신이 살아있는 흥사단, 도산기념사업재단 등과 함께 차세대들에 도산 정산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과 관련 사업을 진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원 이사장은 이어 국민회 총회관을 잘 보존하고 기념재단이 건강한 비영리단체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기념재단은 신임 이사들을 선임해 1월 셋째 주에 신년하례식을 가질 예정이다. ▶문의: (323)733-7350   장연화 기자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신임 이사장 신임 이사들

2022.12.30. 15:36

고 최규혁 하사 기념재단 장학금 수여식

고 최규혁 하사 기념재단은 지난달 30일 웨스트체스터카운티 시드학원에서 2022년 장학금 수여식을 개최했다. 올해는 한인 고교생과 대학생 등 8명에게 1000달러씩 총 8000달러의 장학금이 제공됐다. 2006년 아프가니스탄 근무 중 전사한 최 하사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재단은 매년 장학생을 선발해오고 있다.   [최규혁 하사 기념재단]기념재단 최규혁 장학금 수여식 최규혁 하사 웨스트체스터카운티 시드학원

2022.05.02. 18:37

썸네일

3·1절 기념식·강연회 연다…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이사장 윤효신·이하 기념재단)이 오는 3월 1일(화) 103주년 3.1절 행사를 개최한다. 기념재단은 제 97주년이었던 2016년부터 한인단체들을 대표해서 3.1절 행사를 개최해왔다.   3대 행사는 이민선조를 기리는 워싱턴불러바드 인근 로즈데일 애국지사 묘역에 헌화 및 참배를 시작으로 3.1주년 기념식, 독립운동 강연회로 이어진다.     윤효신 이사장은 “특히 올해는 독립운동 강연회에서 도산선생이 3.1만세 운동 후 어떻게 독립운동을 전개했는지에 대한 강연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강연은 국가보훈처 이명화 연구팀장이 화상으로 강연하게 된다.     민병용 부이사장은 “3.1운동 후 상해, 한성, 연해주에서 세워졌던 임시정부가 도산을 중심으로 통합돼 힘을 모을 수 있었다”면서 “미주 이민 선조들의 피와 땀으로 임시정부가 세워졌고 임시정부가 망명정부 역할을 하면서 한반도 내 합법정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당시 상해 임시정부의 건물과 활동자금은 오렌지 농장에서 일한 한인 노동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이다.     임시정부의 주춧돌이 됐던 한인 이민선조들의 피땀은 오는 4월 개관하는 4층짜리 임시정부기념관(구 서대문교도소 자리)의 한 층을 미주 한인섹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통해 돌아오게 됐다.     한편 기념재단은 오는 3월 초 일반에 리모델된 국민회관도 공개하고 4월초에는 임시정부 기념행사도 가질 계획이다.   행사는 3월1일 오전 10시 로즈데일 헌화에 이어, 오전11시 3.1절 기념식(나성한인연합장로교회)이 열리고  같은 장소에서 정오부터 3.1절 기념 독립운동 강연회가 열린다.     ▶문의:(213)440-0033 장병희 기자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 독립운동 강연회 기념식 독립운동

2022.02.23. 19:3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