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영 OC한미시민권자협회(회장 써니 박) 이사장이 전국 단체인 한국계 미국시민협회(회장 박상원, 이하 LOKA)의 새 이사장을 맡는다. 지난 17일 가든그로브의 본지 OC사무실을 방문한 박상원 회장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박 회장의 위촉을 받았으며, 지난 10월 LOKA 전국 모임에서 추인도 받았다. 김 이사장은 내달 4일 메릴랜드주 엘리콧시티에서 열릴 전국 모임에서 24대 이사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박 회장은 “올해 1월 취임 이후부터 이사장을 맡을 적임자를 물색한 끝에 LOKA의 오렌지카운티 챕터인 OC한미시민권자협회 김도영 이사장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LA의 박 회장에 이어 OC의 김 이사장이 취임하면 지금까지 미 동부 지역에 있던 LOKA의 무게 중심은 미 서부 지역으로 옮겨올 전망이다. 김 이사장은 “박 회장을 도와 미 서부지역 중심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내년 말까지인 24대 임기 중 한인 후세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한인 이민 4세, 5세가 한국말과 한글을 모르는 상태에선 정체성을 깨닫기 어렵다. 한국어와 한글을 쉽게 배울 수 있는 온라인 툴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LOKA는 전국 단체이므로 각 지역 챕터들이 큰 목표 아래 자체 활동을 활발히 전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며 OC한미시민권자협회에선 K-컬처 홍보에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이젠 많은 미국인이 K-컬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K-컬처를 널리 알리는 것은 후세들의 뿌리 교육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LOKA는 1980년 4월 한국계 미 시민의 정치력 신장과 주류사회 진출을 목표로 창립됐으며, 메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해 왔다. OC와 LA, 메릴랜드, 뉴욕, 라스베이거스, 필라델피아에 지부를 두고 있다. OC한미시민권자협회는 1996년 설립됐다. 박 회장은 “내년 4월 7일에 OC챕터 30주년을 맞아 오렌지카운티에서 LOKA 전국 대회를 개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임상환 기자미국 시민협회 한국계 시민협회 김도영 oc한미시민권자협회 oc한미시민권자협회 김도영
2025.11.19. 19:00
오렌지카운티 한인회(회장 조봉남)가 미 시민권 시험을 한국어로 볼 수 있는 자격 조건 완화를 연방의회에 청원한다. 조 회장을 비롯한 한인회 임원들은 지난 5일 가든그로브의 OC한인회관에서 김도영 OC한미시민권자협회 이사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청원 운동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향후 진행 계획을 설명했다. 조 회장은 “앞으로 시민권 시험에 그림을 보고 영어로 설명하는 항목이 추가되고, 미국 역사 관련 질문도 단답형에서 객관식으로 바뀌기 때문에 영어를 잘 못하는 한인의 시민권 취득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본지 7월 6일자 A-1면〉 통역과 함께 한국어로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을 완화한다면 더 많은 한인이 더 쉽게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민국(USCIS)은 55세 이상이며, 영주권을 취득하고 미국에 산 지 15년이 지난 이에겐 통역을 대동해 모국어로 시민권 시험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인회 측은 영주권 취득 후 미국에 거주한 기간을 현행 15년에서 10년으로 낮춰줄 것을 연방의회에 청원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김도영 시민권자협회 이사장은 “영어에 자신이 없어 한국어로 시험을 볼 수 있을 때까지 시민권 취득을 미루는 이가 꽤 많다. 결국 이들이 시민권자로서 권리와 혜택을 누릴 시기가 늦춰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회장은 “미셸 박 스틸, 영 김 연방하원의원에겐 이미 취지를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동부의 앤디 김, 매릴린 스트릭랜드 의원을 포함해 내가 알고 있는 연방하원의원 10명에게 이민국 규정 변경을 도와 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낼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인회는 한인 단체들을 중심으로 청원 지지 서명 운동을 벌이는 것도 검토 중이다. 조 회장은 “이 문제는 한인뿐만이 아니라 모든 소수계 이민자에게 영향을 주는 일이다. 앞으로 베트남계, 중국계, 인도계 등 타인종 단체들과도 연계해 활동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글·사진=임상환 기자시민권 한국어 시민권 시험 김도영 oc한미시민권자협회 시민권 취득
2023.07.06.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