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하트 김 씨, 신인문학상으로 시인 등단

뉴저지주 팰리사이드파크에 거주하는 하트 김(하야트 김·사진) 씨가 한국의 유수 문예 전문지 ‘다시올 문학’ 2025년 가을호에서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동포사회에 또 한 명의 시인이 탄생했다.     김 시인은 충북 제천에서 태어나 1988년 도미해 미용업에 종사하면서 예술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고 틈틈이 시와 그림에 전념했다.     김 시인은 ‘붉작문학회’ 회원으로 다년간 김은자 시인의 지도를 받으며 습작해 오던 중 2025년 ‘다시올 문학’ 가을호에서 신인상을 받음으로써 등단하게 됐다.     등단 작품은 ‘고목화’ 외 4편으로 심사위원 중에는 한국의 저명 시인이며 서울대 국문과 교수인 오세영 시인도 포함됐다.     심사평을 쓴 김은자 시인은 하트 김씨의 시 ‘고목화’ 등에 대해 ‘일상과 자연에서 길어 올린 서정적 아포리즘’이라는 제목으로 “‘시는 감정을 묘사하지 않고 감정이 머무는 장소를 보여줄 뿐’으로 김 시인의 이번 등단 작품은 무심코 지날 수 있는 일상과 자연 속에서 언어를 소환하여 서정적 아포리즘을 이루어 냈다”고 평했다.     김 시인은 당선소감에서 “이민생활에서 뿌리 앓이를 하며 채울 수 없는 그 무언가 때문에 그림을 그리고 시를 배우기 시작했고, 어느 날 결핍과 황폐의 해결책이 시였다는 것을 깊게 깨닫게 되었다”며 “이제는 시가 삶의 단비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한편 김 시인은 뉴욕·뉴저지 일원에서 활동하는 한인 예술가 모임인 예사모 USA 회장을 역임했으며, 김은자 시인에게 일상의 익숙함의 발견을 통한 따뜻한 서정적 휴머니즘의 시를 쓴다는 평을 받은 바 있다. 박종원 기자하트 김 씨 신인문학상으로 시인 등단 하트 김 하야트 김 다시올 문학 하트 김 시인 김은자 시인 오세영 시인

2025.10.28. 17:59

썸네일

김은자 시인 ‘아름다운 도둑님’ 출간

시인이자 방송인인 김은자(사진) 씨가 10년 만에 두 번째 산문집 ‘아름다운 도둑님(책사진)’을 도서출판 상상인에서 출간했다.     이번 산문집 출간은 지난달에 발간한 그의 네 번째 시집 ‘그해 여름까지가 수선화(책사진)’에 이어 한 달 간격으로 이루어진 출간이다.     이번 산문집에는 ▶제1부: 조금씩 미쳐가는 시간을 위하여 ▶제2부: 바람이 지나고 간 자리 위의 여름꽃 ▶제3부: 내 생애 가장 절절한 절규 엄마라는 이름 ▶제4부: 슬로우모션으로 꽃을 읽다 등에 걸쳐 총 50편이 실렸다.       김 작가는 미국과 한국 등에서 시뿐만 아니라 산문 독자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산문집 ‘아름다운 도둑님’의 추천서를 쓴 이정록 시인은 “김은자의 산문은 독자에게 이해와 감동을 강요하지 않는다. 포대기처럼 감성의 아기를 폭 감싸 안으며 귓바퀴에 꽂은 목수의 연필처럼 인생 설계도를 그려 나눠준다. 그의 글은 ‘지성의 깊이’를 끌어올려 ‘지혜의 연대’를 선물한다.”고 평했다.     김 작가는 “나는 시를 쓸 때 행복해지고 산문을 쓸 때 고독해진다. 산문은 나의 체험과 사유의 길목에서 가장 구석에 숨겨진 연인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 작가는 숙명여대를 졸업했고, 82년 도미해 2004년 ‘시문학’으로 등단했다.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재외동포문학상 시 부문 대상, 윤동주 해외동포문학상, 제1회 해외풀꽃시인상, 영화진흥위원회 시나리오 당선, 환태평양 기독영화제 최우수 시나리오상 등을 수상했으며 시집으로는 ‘외발노루의 춤’, ‘붉은작업실’, ‘비대칭으로 말하기’(세종우수도서 선정), ‘그해 여름까지가 수선화’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는 ‘슬픔은 발끝부터 물들어 온다’ 등이 있다. 그는 미주중앙일보 ‘문학산책’을 다년간 연재했는데, 현재는 미주 시낭송문화예술원 원장, 붉작문학교실과 뉴저지 AWCA 시창작교실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박종원 기자김은자 김은자 시인 아름다운 도둑님 그해 여름까지가 수선화 이정록 시인 외발노루의 춤 붉은작업실 비대칭으로 말하기 슬픔은 발끝부터 물들어 온다

2025.04.23. 20:51

썸네일

김은자 시인 신간 출간

뉴욕·뉴저지에서 활동하는 김은자 시인의 네 번째 시집 〈그해 여름까지가 수선화〉(사진)가 출간됐다.     이번 시집은 ▶1부: 소리의 앞 고름을 풀다 ▶2부: 틈에서 소리를 건지다 ▶3부: 불손한 바이링구얼 ▶4부: 여섯 개의 촛불에 불을 댕기며 ▶5부: 화가의 정원으로 구성됐다.   김 시인은 “미국 땅으로 이민 와서 둥지를 튼 사람은 다 자기 나름의 이야기보따리를 갖고 있다. 시집을 통해 친구들, 이웃들의 이야기보따리를 풀어 하나하나 들려주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한 김 시인은 1982년 도미해 현재 뉴저지주 에머슨에 거주 중이다. 2004년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됐고, 이후 미주중앙일보 〈문학산책〉 칼럼을 연재했다. 재외동포문학상 시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윤동주 해외동포문학상, 제1회 해외풀꽃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윤지혜 기자김은자 시인 김은자 시인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 이후 미주중앙일보

2025.03.09. 17: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