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골프칼럼] <2294> 손목 꺾기로 스윙을 리드하라

‘시작이 반이다’   볼을 치기 위한 최초의 몸 동작, 즉 좋은 스윙의 결정체는 어드레스(set up)라고 일컫지만 스윙의 유연함과 궤도를 바르게 하는 것은 테이크 백(take back)에 달려 있다.   즉 백스윙의 초기단계를 뜻하며 이 초기 단계가 전체 스윙의 흐름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어드레스가 끝나고 테이크 백을 시작, 탑 스윙(top swing)에 완전히 오른 후에는 본인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스윙은 빠르게 진행된다.   스윙궤도(swing plane)란 의도적인 것이 아니며 자세와 테이크 백에서 이미 결정 난다는 뜻이다. 또한 테이크 백의 순서와 그 방법에 따라 장타와 단타를 가늠하기도 하며 구질을 결정하기도 한다.   흔히 테이크 백은 ‘왼손으로 밀어 빼라는 식의 이론이 지배적이다. 이 같은 이론의 근원은 아마도 스윙아크, 즉 궤도확장이 그 목적일 것이다.   그러나 보약도 과용하면 독약으로 변하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백 스윙을 길게 뺀다는 의식이 앞서면 중요한 오류들이 발생한다.   볼을 멀리 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손목 꺾기(cocking)가 미흡하거나 이 꺾임의 타이밍을 놓쳐 스윙의 본래 궤도를 벗어나는 경우다.   백 스윙에서 일단의 손목 꺾기 타이밍을 놓치면 스윙에 악(惡) 요소인 오버스윙(over swing)이나 왼팔의 팔꿈치가 심하게 굽어지는 현상도 생겨난다.   또는 양팔을 길게 빼내며 백 스윙을 유도하면 손목 꺾기의 둔화 현상과 함께 탑 스윙에 오를 때 왼팔의 팔꿈치가 굽어지고, 오른쪽 겨드랑이가 심하게 벌어지며 극한 오버스윙도 발생한다.   특히 백스윙으로의 왼쪽등판이 따라 돌지 않아, 어깨 돌림(shoulder turn)의 부족현상까지 생겨나고 자신의 머리가 우측으로 딸려가는 스웨이(sway) 현상도 일어난다.   테이크 백에서 손목 꺾기 타이밍을 놓치면 스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함과 동시에 다운스윙에 필요한 기초동작과 근본을 흐트러 놓기도 하여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모든 스윙 동작은 순간순간 필요한 타이밍에 유효 적절하게 이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어깨높이 위치에서 손목이 꺾여서도 안되지만 테이크 백도 없이 손목만 일찍 꺾어 올림도 스윙에 결격사유다.   이상적인 손목 꺾임의 위치는 자신의 양손이 오른쪽 허벅지를 통과함과 동시에 서서히 꺾이기 시작, 오른쪽 허리에 도달하면 90% 완료, 오른쪽어깨 높이에 도달하면 완전한 꺾기가 완성되어야 한다.   실수하는 스윙의 대부분은 손목 꺾기가 너무 늦거나 빠를 때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스윙을 흉내 내는 것에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손목 꺾기 때 왼팔꿈치를 펴도록 노력하고 손목 꺾기가 이루어지기 시작할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체중 이동에도 유념해야 한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손목 꺾기 손목 꺾기 극한 오버스윙 스윙 동작

2024.05.30. 20:22

[골프칼럼] <2224> 손목 꺾기, 오른쪽 가슴 높이 전에 끝내야

테이크 백(take back)은 백 스윙을 시작하는 초기동작으로 유연함이 없다면 손목 꺾기(cocking)와 탑 스윙까지 영향을 미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좋은 탑 스윙 위치는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며 강한 임팩트를 만들기도 하지만 고무줄이 당겨질수록 탄력이 좋아지듯 테이크 백 때 왼팔의 팔꿈치가 굽어지지 않아야 왼팔근육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의 기본인 팔과 클럽의 일체감이 생기고 클럽헤드에 가중되는 힘과 속도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으며 자연히 스윙궤도도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한곳(클럽헤드)에 힘이 모아진다.     이를 위해서는 어드레스부터 오른팔은 약간 굽어지고 테이크백 때도 계속 굽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탑 스윙까지 도달해야 한다.     만약 어드레스부터 오른팔이 굽어지지 않은 상태라면 백 스윙 과정에서 왼팔보다 오른팔이 먼저 백 스윙을 시작하여 완전히 다른 백 스윙궤도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탑 스윙에서 오른팔의 팔꿈치가 심하게 들리는 이른바 플라잉 엘보(flying elbow) 현상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왼손 대신 오른손이 다운스윙을 주도하여 아웃사이드인(outside in)궤도로 볼을 깎아 치거나 덮어 치는 샷도 빈발한다.     이것은 곧 백 스윙 중간지점(허리부분)에서 꺾였던 손목이 다운스윙도 시작하기 전, 오른쪽 어깨 높이에서 양 손목이 바로 풀리면서 체중이동이 없는 무의미한 스윙으로 전락한다.     이때 아이언샷은 뒤땅을 찍고, 드라이버 샷은 탑핑(topping)을 유발한다. 따라서 백 스윙이 시작되면 유연한 손목 꺾기가 관건으로 만약 손목을 급각, 즉 수직으로 꺾어 올리면 더욱 큰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자연스러운 행동에 초점을 둬야 한다.     문제는 어디서부터 손목 꺾기를 시작해야 하는가이다. 신장이나 체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왼손이 오른쪽허벅지를 지나 허리를 통과하면서 꺾기의 70% 이상이 마무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30%는 탑 스윙으로 들어가기 직전인 오른쪽 가슴높이 정도에서 완성되어야 오버스윙(over swing)이나 왼팔의 굽어 짐도 예방할 수 있다.     오버스윙이 자주 발생하는 대다수의 골퍼는 오른쪽허리 부위에서 손목 꺾기의 타이밍을 놓쳐 오른쪽어깨 위에서 실행한다.     오버스윙이 발생하면 왼팔이 굽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클럽헤드가 탑 스윙에서 흔들려 다운스윙궤도를 벗어나고 만다.     정상궤도로 진입할 수 있어야 탑 스윙에서 클럽섀프트(shaft), 즉 클럽헤드(head)가 목표선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스윙 중 클럽헤드 무게를 느껴야 올바른 스윙이 만들어지고 나아가 강력한 힘을 볼에 전달할 수 있다.     무게를 느끼기 위해서는 백스윙을 시작해서 탑 스윙에 올랐을 때 반(1/2) 박자 쉼과 동시에 양손에 악력(쥐는 힘)을 부드럽게 한 후, 임팩트를 지나 팔로우스루(follow through)까지 지켜야 좋은 구질은 물론 장타도 기대할 수 있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손목 꺾기 손목 꺾기가 클럽헤드 무게 스윙 중간지점

2022.12.13. 19: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