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 총기 난사범, 남가주 풋볼 유망주였다

뉴욕 맨해튼 중심부 고층 빌딩에서 총기를 난사한 범인이 과거 남가주 지역에서 촉망받던 고등학교 풋볼 선수였던 사실이 드러났다.     사법당국은 현재 건물에 입주해있는 내셔널풋볼리그(NFL) 본부가 주요 표적이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29일 뉴욕타임스, CNN,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범인은 라스베이거스에 거주하던 27세 흑인 남성 셰인 데본 타무라(Shane Devon Tamura)로 밝혀졌다. 타무라는 지난 28일 오후 6시 28분쯤 맨해튼 미드타운의 ‘345 파크 애비뉴’ 빌딩에 들어가 무차별 총격을 가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사망한 타무라의 바지 뒷주머니에서 3쪽 분량의 메모가 발견됐다. 해당 쪽지에는 타무라 자신이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을 앓고 있다는 사실과 NFL이 선수들의 머리 부상 위험성을 축소·은폐하고 있다는 주장이 적혀 있었다. 그는 NFL이 수십 년 동안 선수 건강을 희생시키면서도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사후 자신의 뇌를 연구해달라는 요청도 쪽지에 남겼다.   타무라는 과거 샌타클라리타 카운티의 골든밸리 고등학교와 샌퍼난도밸리의 그라나다힐스 차터스쿨에서 풋볼 선수로 활약한 바 있다. 고교 시절 뛰어난 기량으로 주목받았지만, 대학이나 프로 무대 진출에는 실패했다. CNN 보도에 따르면, 당시 동료와 지도자들은 그를 “집중력 강한 선수였지만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면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수사를 진행 중인 뉴욕경찰국(NYPD)은 타무라가 정신 질환 이력이 있었음을 확인하기도 했다.     아울러 그의 부친은 과거 LA경찰국(LAPD) 소속 경관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LA타임스는 29일 타무라의 부친 테렌스 타무라가 지난 1967년 LAPD에 합류해 풋힐, 데본셔 등 지역에서 근무했다고 보도했다.     범행 당일 타무라는 NFL 본부가 입주한 5층을 목표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그가 엘리베이터를 잘못 탑승해 NFL이 아닌 건물 관리업체 루딘 매니지먼트 사무실이 있는 층으로 이동했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엉뚱한 장소에서 총격을 시작했고, 루딘매니지먼트 직원 1명이 희생됐다.     이번 사건으로 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중 사망자는 4명으로 루딘매니지먼트 직원을 포함해 NYPD 소속 비번 경관 디다룰 이슬람(36), 건물 로비 경비원 알랜드 에티엔(37), 세계 최대 사모펀드사 블랙스톤 소속 부동산 부문 임원 웨슬리 르파트너(41) 등이 숨졌다. 부상자는 NFL 직원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한편, 타무라는 지난 26일 네바다주를 출발해 콜로라도, 네브래스카, 뉴저지 등을 경유하며 동부로 이동했고, 사흘 뒤인 사건 당일 오후 뉴욕 맨해튼에 도착했다. 이후 자신이 몰고 온 검은색 BMW 차량을 범행 건물 앞에 주차한 뒤, M4 소총을 소지한 채 로비로 진입해 총기를 난사하기 시작했다.   김경준 기자난사범 남가주 풋볼 선수 뉴욕 맨해튼 고등학교 풋볼

2025.07.29. 21:45

썸네일

총기난사 위협 허위 전화…LA동부 4개교 폐쇄 소동

최근 남가주 학교 캠퍼스를 겨냥해 총기를 난사하겠다는 협박 전화가 잇따르면서 학교가 폐쇄되는 등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7일 LA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최소 4곳 이상의 학교에 총기 난사와 관련된 협박 전화가 걸려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두아테 고등학교와 캘리포니아 예술학교에서 총기 난사 위협 신고가 접수돼 학교가 폐쇄됐다. 같은 날 온타리오 지역 채피 고등학교 역시 이로 인해 락다운됐다.   온타리오-몽클레어 교육구는 전국적으로 여러 학교가 이런 장난 전화 피해를 보고 있다며 “경찰국 지시에 따라 예방 차원에서 소속 학교 중 일부는 일시적으로 폐쇄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이날 랜초쿠카몽가 지역의 알타 로마 중학교와 고등학교, 샌 버나디노 지역의 샌 안드레아스 고등학교와 아일랜드 퍼시픽 고등학교에도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이들 학교에 폐쇄 조처가 내려졌지만, 장난 전화로 판명됐다.     샌버나디노 카운티 셰리프국 관계자는 “당국은 신고를 받고 신속히 학교로 출동했으며 캠퍼스를 검사하고 안전을 확보했다”며 “총기 난사에 관한 어떠한 증거도 찾지 못했지만 만일에 사태에 대비해 캠퍼스에 요원들이 배치됐다”고 전했다.     폐쇄 조처가 내려진 학교들은 위협이 없다는 경찰 측의 확인 후 신속히 폐쇄 조치를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런 총기 난사 위협은 지난달 몬터레이 파크 총기 난사 사건으로 시민들의 두려움이 채 가라앉지 않은 시점에서 공포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abc7뉴스는 팬데믹이 끝난 후 학교 대면 수업이 정상화되면서 전국 학교 캠퍼스를 대상으로 한 허위 총격 위협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전했다.   장수아 [email protected]치안기관 난사범 소동 치안기관들 가짜 총기 지역 치안기관들

2023.02.08. 20:53

아담스 시장, 전철 총기 난사범 체포에 기여한 시민·경찰관에 감사패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이 20일 원 폴리스플라자에서 선셋파크 36스트리트역 총기 난사범 체포에 기여한 시민·경찰관들에게 감사패를 수여했다. 아담스 시장은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었던 흉악범죄를 막기 위해 용기를 내어준 이 시민, 경찰관들은 뉴욕시의 영웅들이다”라며 감사를 표했다. [뉴욕시장실] 아담스 난사범 시민 경찰관들 아담스 시장 총기 난사범

2022.04.21. 20:52

썸네일

뉴욕 총기 난사범 체포 테러 혐의 기소

뉴욕시 전철 총격 사건의 용의자가 사건 발생 하루 만에 붙잡혔다.   뉴욕경찰국(NYPD)은 13일 용의자 프랭크 제임스(62)가 맨해튼 이스트빌리지에서 체포됐고 테러 혐의로 기소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날 이스트빌리지의 맥도날드 매장에서 용의자를 목격했다는 제보를 받고 해당 일대를 순찰하던 중 인근에서 용의자를 발견해 체포했다고 밝혔다.   연방검찰 뉴욕 동부지검은 대중교통 시스템 이용자들에 대한 테러 행위를 금지하는 연방법 조항을 적용해 용의자가 기소됐으며, 유죄 판결이 날 경우 최대 종신형에 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수사당국은 용의자의 정확한 범행 동기는 아직 조사 중이라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제임스는 유튜브 채널에 미국 내 만연하고 있는 폭력과 인종차별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을 비방하는 내용의 영상을 게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는 현재 해당 채널을 삭제한 상태다.     CNN 보도에 따르면 용의자는 14일 브루클린 연방법원에 출두할 예정이다.   경찰에 따르면 제임스는 12일 오전 8시24분 브루클린 선셋파크 36스트리트역을 향하던 열차에서 2개의 연막탄을 터뜨린 뒤 승객들을 향해 총탄 33발 이상을 발사했다. 제임스의 총격에 놀란 승객들이 대피하는 과정에 최소 29명이 다쳤다. 직접 총을 맞은 10명 중 5명은 중태다.   지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뉴욕주에서 강도와 성범죄, 절도 등으로 9번 체포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인근 뉴저지주에서도 3번 체포된 전과가 드러났다. 심종민 기자난사범 체포 체포 테러 테러 혐의 뉴욕 총기

2022.04.13. 20:5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