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뒷채 건설 사기, 피해자 1000명

뒷채(ADU) 건설 전문회사를 표방한 기업이 선수금 등을 받아 가로채고 연락이 두절돼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ABC와 NBC 등은 북가주 페어옥스 소재 회사 ‘앵커드 타이니 홈스(Anchored Tiny Homes)’가 남가주 주민들 수천여명과 ADU 공사 계약을 맺고 공사 시작 전에 또는 공사 중간에 선수금 또는 계약금을 받은 후 연락이 두절됐으며 이후 회사가 파산 신청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고 22일 보도했다.   해당 회사는 ADU로 추가 소득을 기대하던 주민들에게 적게는 1~2만 달러, 많게는 30만~40만 달러의 계약금 또는 착수금을 받은 뒤 자취를 감췄으며 대부분의 피해자들 중에는 노후 생계를 이어가려던 시니어들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타이니 홈스 회사 웹사이트는 삭제된 상태이며 전화 연락도 불가능한 상태다.   해당 회사 폴 허스 대표는 회사 홍보 유튜브에서 “가주 ADU 건축 비즈니스는 1억 달러에 달하는 큰 사업”이라며 “내 아버지와 내 형이 만든 가족 비즈니스”라고 소개했다. 현재는 해당 영상도 삭제된 상태다.   작업이 중단된 경우엔 그나마 여유가 있는 주택 소유주들은 추가로 수십만 달러를 들여 공사를 마무리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대부분 목자재 등이 노화되어 다시 철거를 해야 할 상황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주 건축라이선스보드(cslb.ca.gov)는 현재 피해자들의 제보를 받고 있으며 타이니 홈스의 계약 불이행 내용을 조사 중에 있다. 부당한 계약 내용이 발견되면 조만간 해당 회사의 라이선스는 박탈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000여 명이 넘는 피해자들은 2달 전 페이스북에 ‘타이니 홈스 피해자 모임(Scammed by anchored tiny homes)’을 만들고 추후 대책과 현황을 공유하고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건설회사 남가주 남가주 주민들 남가주 주요 홈스 회사

2024.09.22. 19:51

튀르키예처럼 가주도 ‘빅원’ 올 수 있다

‘진도 7.8.’     이 평범한 숫자가 지진의 강도로 표기된다면 상상하기 힘든 광경이 우리 눈 앞에 펼쳐질 수 있다.     지난 주말 터키에서 발생한 강진의 수치가 남가주에 대입된다면 가주민들의 일상에는 끔찍한 ‘치명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질학자들과 관련 전문가들은 남가주에 최대 진도 8.2의 지진이 가능하며 샌앤드레아 단층이 깔린 티후아나부터 페블비치까지 상상하기 힘든 참사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그 사이의 모든 건물과 환경은 온전하지 못하리라는 것이다.     연방지질조사국(USGS)은 2008년 보고를 통해 ‘만약 이런 높은 진도의 강진, 즉 ’빅원‘이 발생한다면 모든 가주민들의 생활이 바뀔 것이며, 준비하지 않는다면 이는 곧 참사를 의미한다’고 밝힌 바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약 1800명이 사망하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자연재해 인명 손실 ▶LA카운티에 1000여 명, OC에 350여명 사망 ▶5만여 명 부상 ▶라스베이거스, 피닉스로 향하는 고속도로 파괴 ▶50만~100만 명 이재민 발생 ▶상당 기간 남가주 고립 ▶개스, 전기, 셀폰 서비스 등 두절 등이 예상 가능한 피해의 규모다.     ‘올 수도 있다’는 가정을 현실화해보려면 과거 재해 기록을 봐야 한다.     7.8의 지진은 지난 190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한 바 있다. 남가주에는 1857년에 유사한 규모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이 남아있다. 최근 들어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된 것은 1971년 실마 지진과 1994년의 노스리지다.     한인들도 다수 기억하는 노스리지 지진은 6.7이었다. 다만 이 지진은 작은 규모인 샌퍼낸도 밸리 단층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피해는 분명히 발생했지만, 다행히 비교적 지엽적인 피해로 그쳤다.   그렇다면 막을 수 없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방편은 없나.     결국 인명 피해는 빌딩의 붕괴와 파손으로 가중된다. 가주와 남가주 주요 정부들은 이를 위해 8000여 건의 지진대비 증·개축 공사를 무려 13억 달러 들여 진행해왔다. 하지만 아직도 수천 개의 건물이 공사를 하지 않은 상태라 위험 요소는 남는다. 특히 LA타임스는 2018년 보도를 통해 샌앤드레아 단층이 지나는 리버사이드, 포모나, 샌버나디노 등에 640여 개의 벽돌 건물이 여전히 지진 보강공사가 이뤄지지 않은 채 남아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동시에 전문가들은 다른 지역의 지진 소식에 놀라기보다는 지진 보강 공사가 지속해서 이뤄지도록 예산 편성과 주민 계몽 활동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남가주 고립 인명 피해 남가주 주요

2023.02.06. 21:04

남가주 주요 지역 중소규모 산불로 몸살

 고온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남가주 일대에 중소규모 산불이 발생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A소방국에 따르면 오늘 정오 LA북쪽 케스테익 호수 인근에서 산불이 발생해 오후 4시 현재 250 에이커를 태우고 있다. 이 불로 인근 노스레이크 초등학교에 학생들이 대피를 준비했으나 실제 대피 명령이 내려지지는 않았다.   이 산불로 인근 파커로드와 만나는 5번 프리웨이 양방향이 한때 통제됐다. 현재까지 화재로 1 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동시에 오늘 오후 1시 쯤 한센댐 인근에서 조그만 산불이 발생해 대원들이 출동해 진화했다. 건물이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인랜드 지역인 엔시노의 웨스트 채플린 애비뉴 16600번지에서도 정오에 화재가 발생해 건물 한 채가 불에 탔다.    당국은 주말 내내 고온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고, 나들이 행렬이 이어지면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주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디지털본부 뉴스랩  중소규모 남가주 중소규모 산불 남가주 일대 남가주 주요

2022.08.31. 14: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