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네브래스카주, 연방대법원에 콜로라도주 제소

   네브래스카주가 ‘퍼킨스 카운티 운하’(Perkins County Canal) 건설과 관련해 콜로라도주를 상대로 연방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덴버 가제트가 보도했다.필 와이저(Phil Weiser) 콜로라도 주법무장관은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이번 소송은 수년간의 법정 공방과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네브래스카 측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네브래스카 지도자들이 정치적 이해를 지역 농업경제와 농가 공동체보다 우선시한 것이 유감이다. 합리적인 해법을 찾기보다 예측 가능한 소송에 의존한 것은 매우 잘못된 결정”이라고 지적했다. 와이저 장관은 이어 “이번 소송은 수십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며 궁극적으로 법원이 네브래스카의 무모한 사업 추진을 허가한다면 콜로라도의 물 사용자들은 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수자원 개발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결국 먼지가 가라앉고 나면 소송비용만 수백만달러가 소요되고 총사업비는 1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며 네브래스카나 콜로라도 어느 쪽도 더 나은 상황이 되지 않을 것이다. 양측이 협력과 협의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현실적인 해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네브래스카주 짐 필렌(Jim Pillen) 주지사와 마이크 힐거스(Mike Hilgers) 주법무장관은 같은 날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소송 제기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필렌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그동안 콜로라도와의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미래 세대를 위한 수자원 확보를 위해 이번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면서 “퍼킨스 카운티 운하는 2032년 완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네브래스카 측이 대법원에 제출한 소장에 따르면, “사법적 개입 없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실패했으며 현재로선 연방대법원만이 시의적절하고 실질적인 구제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제러드 폴리스 콜로라도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이번 소송은 아무런 실익도 없으며 양 주가 시간과 돈을 낭비하게 될 것이다. 콜로라도는 사우스 플랫 강 협정 및 관련 협약을 항상 준수해왔고 네브래스카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성실히 협상에 임해왔다”고 반박했다. 그는 “네브래스카의 불필요한 공세에 대해 콜로라도는 주내 물 사용자와 토지 소유주, 농촌 경제를 지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하 건설 예정지는 콜로라도 세지윅 카운티의 오비드 동쪽에서 시작해 네브래스카 퍼킨스 카운티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네브래스카는 이미 해당 사업에 약 5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총사업비는 6억 2,800만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운하 사업은 1923년 체결된 콜로라도-네브래스카 간 사우스 플랫 강 수자원 협정에 따라 100년 전부터 추진 가능했던 것으로, 협정 제6조에 따르면 네브래스카는 비관개 기간(10월 15일~4월 1일) 동안 초당 500 큐빅피트(cubic feet)의 물을 운하로 끌어올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협정은 또한 운하 건설을 위한 토지 수용권과 연방법원 제소 권한도 보장하고 있다. 올해 초 네브래스카는 콜로라도내 6명의 토지 소유주에게 토지 매각 요구 서한을 보냈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수용 절차에 들어간다는 경고를 담았다. 기한은 4월 17일까지였다. 그러나 토지 소유주 측 변호인인 도널드 오스트랜더는 3월 7일 서한을 통해 이를 거부했다. 또한 “북부 콜로라도의 40여개 도시의 상수도 공급망에 포함된 우물에도 영향을 미쳐 주민, 학교, 병원, 소방서 등의 운영에 치명적일 수 있다”면서“네브래스카가 운하 건설을 강행한다면, 우리는 영향권에 있는 모든 토지 소유주를 대신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이은혜 기자네브래스카 연방대법원 네브래스카 퍼킨스 네브래스카 지도자들 콜로라도 주법무장관

2025.07.22. 15:55

썸네일

'틱톡 370만뷰' 한인 청년 농부 화제…네브래스카주 노아 허바드씨

소셜미디어 ‘틱톡(TikTok)’에서 28만 팔로워를 보유한 젊은 한인 청년 농부가 화제다.   4일 네브래스카주 라디오방송 ‘KNEB’는 틱톡에서 ‘코리안 콘파머(The Korean Kornfarmer)’란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노아 허바드(Noah Hubbard)씨를 소개했다.     네브래스카주 엘름크릭이란 시골 지역에서 옥수수 농사를 짓고 있는 허바드씨는 틱톡에 농업 관련 콘텐츠를 올리는 농부 겸 크리에이터다.     매체는 ‘코리안 콘파머’가 단순히 옥수수를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의 영상은 소소한 농부의 일상에 유머와 재치를 담아 소개하거나 농업 관련 상식을 전하거나 소수계인 아시안에 대한 고정관념을 풍자하는 등의 다소 뼈있는 메시지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있다.     특히 한 시청자가 “그러나 당신은 아시안이다”라며 아시안 농부에 대해 비꼬는 댓글에 장난감 트랙터를 몰며 “조용히 해라. 그건 비밀이다”라며 유쾌하게 받아치는 영상은 370만 뷰를 기록하며 이목을 끌었다.     허바드씨에게 농부는 단순히 ‘직업’이 아니다. 유치원에서 트랙터를 스케치할 때부터 평생의 ‘꿈’이었다.     그는 네브래스카-링컨 대학교에서 농업 및 농경학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SNS에 발을 들이며 농부로서의 사명이 구체화됐다고 그는 전했다.     그는 또 “세상에는 (농업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거나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의견을 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았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농기구를 소개하는 콘텐츠로 시작한 허바드씨는농업에 무지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는 농업의 현실을 조명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를 이어갔는데 이는 농업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던 수많은 시청자의 관심을 끌었다.     허바드씨는 유아 시절 한국에서 이곳으로 입양됐다. 그는 한인 농부로서 농업계의 소수민족을 옹호하는 것이 그의 사명 중 하나라고 전했다.     그는 “믿거나 말거나 세상에는 다른 종류의 농부도 있다”고 재치있게 전했다. 이어 “(농부로서) 진정성을 유지할 것이다. SNS가 나의 자존감을 부풀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허바드씨는 “흙에 묻힐 때까지 이 일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당신이 열정적인 일을 찾았다면 당신이 할 수 없을 때까지 이어나가라”라고도 조언했다. 장수아 기자네브래스카 틱톡 한인 농부 청년 농부 아시안 농부

2024.01.04. 21:12

썸네일

네브래스카서도 원주민 학교 비극…아동 87명 사망 확인

  캐나다에 이어 미국에서도 원주민 아동들이 기숙학교에서 사망한 사실이 확인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8일 네브래스카주 제노아에서 1884년부터 1934년까지 운영된 원주민 기숙학교에서 최소 87명의 아동이 사망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앞서 캐나다에선 전국의 원주민 기숙학교 부지에서 1200구 이상의 아동 유해가 발굴됐다.   미국도 캐나다처럼 원주민 아동을 백인 사회에 동화시키겠다는 목적으로 기숙학교를 운영했다. 관련법이 제정된 1819년 이후 29개 주에서 정부나 교회 주도로 최소 367개의 기숙학교를 설치했고, 수십만 명의 원주민 아동이 입소했다.   제노아 기숙학교의 실상을 연구한 네브래스카 링컨대의 마거릿 제이컵스 교수는 "학교라는 단어는 긍정적인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실제로 기숙학교는 원주민 아동을 가족이나 원주민 사회와 단절시키는 기관이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전국적으로 기숙학교에 입소한 원주민 아동의 수와 사망자의 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연방 내무부는 원주민 기숙학교의 실상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내무부는 기숙학교 설치와 운영에 대한 과거 정부 자료들을 분석한 뒤 원주민 단체들과 협의해 학교 운영 실태와 희생자 추모 등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내년 4월 발표할 예정이다.   내무부 수장인 뎁 할랜드 장관은 뉴멕시코주 지역의 라구나 푸에블로 원주민 부족 출신으로, 원주민 출신 첫 미국 각료다.  네브래스카 원주민 원주민 기숙학교 원주민 아동들 원주민 학교

2021.11.18. 14:3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