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고용시장이 갈수록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월에도 대체로 부진한 고용 추세를 이어갔으며, 의료 산업 일자리는 급증했지만 나머지 산업은 일자리가 순감소세를 보인 곳들도 많았다. 19일 뉴욕시 예산관리국(OMB)이 연방 노동데이터를 분석해 내놓은 결과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뉴욕시의 민간 부문 일자리는 순 5079개 증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 뉴욕시는 약 6만8100개 일자리를 늘렸다. 2023년에는 4만1600개, 2022년에는 17만3000개 늘어난 바 있다. 팬데믹 충격 이후 뉴욕시 일자리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증가폭을 줄이고 있는 것이다. 업종별로 채용 상황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의료 서비스 일자리는 올해 7월까지 약 4만1000개가 증가했는데, 이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이와 같은 의료 서비스 일자리 증가세는 저임금 간병 일자리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건설 및 소매업 부문은 올해 들어 각각 2900개 일자리가 감소했고, 교육 부문 일자리는 1만1000개 줄었다. 로펌부터 청소까지 모든 직종을 포함하는 ‘전문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은 1만3400개 일자리가 줄었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순 일자리 감소를 보고한 다른 산업으로는 도매업으로, 약 2200개 일자리가 사라졌다. 여가 및 호텔업에선 600개 일자리를 잃었고, 제조업에선 500개가 감소했다. 부동산과 은행업에서는 각각 100개, 400개 일자리가 늘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일자리 뉴욕 일자리 감소 뉴욕시 고용시장 의료 산업
2025.08.19. 20:57
뉴욕시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 급감했던 일자리 약 100만개를 모두 되찾았다. 이에 따라 뉴욕시 일자리 수는 팬데믹 직전 수준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20일 뉴욕주 노동국(DOL)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뉴욕시 일자리 수는 470만9400개를 기록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팬데믹 직후 잃었던 민간부문 일자리 94만6000개도 모두 회복됐다. 이에 따라 뉴욕시 일자리 수는 팬데믹 직전이었던 2020년 1월 세웠던 기록(470만2800개)도 넘어섰다. 민간부문 일자리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10만9500개(2.7%) 추가됐다. 앞서 뉴욕시 독립예산국(IBO)은 뉴욕시의 고용시장이 내년 후반께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는데, 시 독립예산국의 예상보다도 1년가량 고용시장 회복 시점을 앞당긴 셈이다.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은 “팬데믹 이후 급증한 범죄 문제를 해결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과 인재확보에 투자해 경제 회복을 가속화하는 목표에 집중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아담스 시장은 “이날 발표된 뉴욕시 일자리 수 데이터는 뉴욕시 경제 회복의 분수령과도 같다”며 “이러한 모멘텀을 통해 끊임없이 기본에 집중하고, 뉴욕시 5개 보로 전체에서 뉴요커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고용시장에서도 부문별 격차는 있었다. 지난달 뉴욕주 일자리 데이터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교육·건강서비스 분야 일자리는 12만300개(5.7%), 접객산업 분야 일자리는 3만6700개(4.1%) 늘어난 반면 정보(-2만4300개, -8.2%) 부문과 무역(-2만8100개, -1.9%) 분야 일자리는 줄었다. 뉴욕시 고용시장이 크게 회복됐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마리아 토레스-스프링어 뉴욕시 경제 및 인력개발부시장은 “렌트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뉴요커들의 임금이 더 올라야 한다는 점, 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점 등은 해결해야 할 사안”이라고 전했다. 최근 급증한 망명신청자들에게 신속하게 취업허가를 발급, 이들이 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도 시 정부의 과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고용시장 뉴욕 뉴욕시 고용시장 뉴욕시 일자리 뉴욕주 노동국
2023.10.20.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