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뉴욕시 소매절도 전년대비 12% 감소

팬데믹 이후 기승을 부렸던 뉴욕시 소매절도가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26일 할렘 소기업 업주들을 방문한 자리에서 “올해 들어 지난 24일까지 뉴욕시에서 발생한 소매절도 건수는 3만4761건으로 전년대비 12%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뉴욕주 전체에서 발생한 소매절도 건수는 5% 줄었다“고 밝혔다.     팬데믹 이후 물가는 오르고 치안은 불안해지면서 뉴욕시에선 소매절도가 기승을 부렸다. 뉴욕시경(NYPD)에 따르면 소매점 도난 사건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64%나 급증했으며, 2022년에는 2021년 대비 45%나 늘어나며 심각한 상황이었다.   호컬 주지사는 본인이 취임한 2022년 소매절도가 가장 극심했다고 전하고, 그간 주정부에서 소매절도를 줄이기 위해 내놓은 여러가지 조치가 효과를 거둔 결과라고 평가했다.   호컬 주지사는 지난해 소매절도를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주 예산에 포함시킨 바 있다.     우선 한 소매 절도 조직이 여러 매장에서 물건을 훔쳤을 경우, 훔친 상품의 가치를 합산해 피고인에게 더 무거운 혐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소매절도를 반복해서 저지르는 이들이 그룹으로 움직이는데다, 조직적으로 소매점을 턴 뒤 이익을 나누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고려한 조치다.     또한 조직적으로 소매절도를 저지르는 집단을 추적하기 위해 4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뉴욕주에서도 단속 인력을 100명 투입해 NYPD 단속 인력에 보탰다. 각 소기업들이 감시카메라나 긴급 알림장치 등 보안 강화에 투자할 경우, 해당 소기업에 세액공제를 해 주는 방안도 마련했다. 해당 세액공제를 위한 예산은 500만 달러를 배정했다. 이외에 소매업체 직원을 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경우, 이들에 대한 처벌도 강화했다.     한편 뉴욕주정부는 이와 같은 소매절도 단속 등에 힘입어 뉴욕시 주요 범죄도 덩달아 감소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제시카 워커 맨해튼상공회의소 회장은 ”많은 사업체들이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강한 단속을 당부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소매절도 전년대비 뉴욕시 소매절도 소매절도 단속 소매절도 건수

2025.08.27. 20:47

뉴욕시 소매절도 전년대비 12% 감소

팬데믹 이후 기승을 부렸던 뉴욕시 소매절도가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26일 할렘 소기업 업주들을 방문한 자리에서 “올해 들어 지난 24일까지 뉴욕시에서 발생한 소매절도 건수는 3만4761건으로 전년대비 12%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뉴욕주 전체에서 발생한 소매절도 건수는 5% 줄었다“고 밝혔다.     팬데믹 이후 물가는 오르고 치안은 불안해지면서 뉴욕시에선 소매절도가 기승을 부렸다. 뉴욕시경(NYPD)에 따르면 소매점 도난 사건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64%나 급증했으며, 2022년에는 2021년 대비 45%나 늘어나며 심각한 상황이었다.   호컬 주지사는 본인이 취임한 2022년 소매절도가 가장 극심했다고 전하고, 그간 주정부에서 소매절도를 줄이기 위해 내놓은 여러가지 조치가 효과를 거둔 결과라고 평가했다.   호컬 주지사는 지난해 소매절도를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주 예산에 포함시킨 바 있다.     우선 한 소매 절도 조직이 여러 매장에서 물건을 훔쳤을 경우, 훔친 상품의 가치를 합산해 피고인에게 더 무거운 혐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소매절도를 반복해서 저지르는 이들이 그룹으로 움직이는데다, 조직적으로 소매점을 턴 뒤 이익을 나누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고려한 조치다.     또한 조직적으로 소매절도를 저지르는 집단을 추적하기 위해 4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뉴욕주에서도 단속 인력을 100명 투입해 NYPD 단속 인력에 보탰다. 각 소기업들이 감시카메라나 긴급 알림장치 등 보안 강화에 투자할 경우, 해당 소기업에 세액공제를 해 주는 방안도 마련했다. 해당 세액공제를 위한 예산은 500만 달러를 배정했다. 이외에 소매업체 직원을 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경우, 이들에 대한 처벌도 강화했다.     한편 뉴욕주정부는 이와 같은 소매절도 단속 등에 힘입어 뉴욕시 주요 범죄도 덩달아 감소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제시카 워커 맨해튼상공회의소 회장은 ”많은 사업체들이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강한 단속을 당부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소매절도 전년대비 뉴욕시 소매절도 소매절도 단속 소매절도 건수

2025.08.27. 20:33

뉴욕시 소매절도 갈수록 기승

뉴욕시 소매점 절도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소형 업체들의 타격은 물론, 일부 지역에선 사설 경비원을 고용하며 버티던 대형 업체들까지도 영업을 재고해야 할 수준이 됐다.   27일 대형 소매업체 타겟(Target)은 보도자료를 내고, 맨해튼 이스트할렘점을 포함한 전국 9개 매장의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상습적인 절도와 범죄 위험이 주된 이유다.     타겟은 “매장 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전했다. 앞서 타겟은 지난달 실적발표 당시에도 올해 들어 매장에서 도난 사건이 120% 늘어났다고 전하기도 했다.     월그린스, CVS 등도 보안 강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인파가 몰리는 지역 매장에선 고가 제품 뿐 아니라 치약·샴푸 등 생활용품도 직원이 열쇠로 진열장을 열어줘야 살 수 있도록 했으며, 사설 경비원도 고용했다. 그러나 지난여름 엘름허스트 월그린스 매장에선 토치로 진열장을 부순 후 448달러 상당의 스킨케어 제품을 훔쳐간 사건도 발생했다. 이렇게 절도를 하다 발각될 경우 직원 폭행으로 이어진 경우도 빈번하다.   맨해튼에 거주하는 한인 여성 김 모씨는 “CVS 매장에 갔다가 한 남성이 배낭에 샴푸 수십 개를 쓸어담는 모습을 목격했지만, 다른 손님들은 물론 직원들도 별다른 조치를 하지 못하고 도둑을 보내야 했다”며 “좀도둑에 대한 처벌도 강하지 않다보니 갈수록 문제가 심각해지는 것 같다”고 전했다. 퀸즈 일대에서 그로서리를 운영하는 한인들도 “아예 절도는 디폴트로 생각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전날 플러싱 다운타운에선 그로서리에서 물건을 훔치다 적발된 일당이 주인·직원을 폭행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들 일당은 플러싱 소매점을 여러 차례 털어 수배사진이 붙었지만, 체포된 후엔 금세 풀려나는 일이 잦았다고 인근 주민들은 전했다.   실제로 뉴욕시경(NYPD) 통계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소매절도 사건 청정지역이었던 플러싱 일대(109경찰서 관할지역)에서 올해 들어 발생한 소매절도 건수는 2101건으로, 전년대비 3.3% 늘었다. 엘름허스트를 관할하는 110경찰서 소매절도 건수도 2072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722건) 대비 20.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소매절도 기승 뉴욕시 소매절도 110경찰서 소매절도 소매절도 건수

2023.09.27. 20: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