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에 한바탕 휩쓸린 뉴욕시가 또 한 번 낡은 인프라의 민낯을 드러냈다. 14일 밤, 뉴욕시에는 단 1시간 만에 2.7인치의 기록적 폭우가 쏟아졌다. 이는 2021년 9월 허리케인 아이다 당시 시간당 3.15인치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시간당 강수량이다. 이로 인해 뉴욕시 전철 플랫폼까지 빗물이 쏟아졌고, 특히 맨해튼 28스트리트 역에서는 열차 안까지 빗물이 쏟아져 들어오는 장면이 목격됐다. 폭우로 인해 1번부터 6번 전철과 메트로노스 열차, 주요 고속도로 일부 구간 운행도 일시 중단 또는 통제됐다. 폭우로 또다시 드러난 문제는 뉴욕시 하수 인프라의 취약성이다. 뉴욕시 환경보호국(DEP)에 따르면, 뉴욕시 통합 하수도 시스템은 시간당 1.75인치 강우량까지 처리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이번처럼 시간당 2~4인치에 달하는 폭우가 내리면 전철, 도로 침수는 피할 수 없다. 시 비상관리국에 따르면 이날 하루 동안 ▶하수 역류 78건 ▶배수구 문제 52건 ▶맨홀 침수 10건 등 민원이 폭주했다. 재노 리버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회장은 전철 시스템의 침수 원인이 뉴욕시의 ‘오수 겸용 하수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하수도는 생활 오수와 빗물을 한꺼번에 처리하도록 설계됐으며, 이로 인해 폭우가 쏟아질 때는 하수관 용량이 초과돼 오염된 물이 강이나 도심으로 역류한다. 리버 회장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도시 전체의 빗물 및 하수 관리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제는 이 근본적인 해결책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것이다. DEP는 “하수도와 빗물 관리에 연간 1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있다”고 밝혔으나, 전문가들은 관련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려면 하수도 현대화에 360억 달러 이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뉴욕시 연평균 강수량이 매년 약 1인치씩 늘어나고, 도시 주변 해수면은 세계 평균보다 두 배 빠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보다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폭우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뉴저지주는 건축 고도 규제 강화에 나섰다. 14일 뉴저지 환경보호국은 ‘건축 고도’를 연방재난관리청(FEMA) 기준보다 4피트 더 높게 올리는 규제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때 건축 고도란 건물의 1층 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두는 높이 기준을 의미한다. 또 홍수 위험 지역(건축 고도 규정이 적용되는 지역)을 기존 주 전체 면적 16%에서 17%로 확대하는 내용도 개정안에 포함됐다. 뉴저지주정부는 오는 21일 관보에 개정안을 게재한 후, 60일 동안 공공 의견 수렴 기간을 거칠 계획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인프라 폭우 뉴욕시 하수 뉴욕시 환경보호국 뉴욕시 전철
2025.07.16. 20:45
뉴욕시 환경보호국(DEP)이 새로운 홍수 위험 지역 지도를 공개했다. 6일 공개된 지도는 시간당 2인치 이상의 폭우가 쏟아질 경우 4인치 이상, 일부 지역의 경우 1피트 이상 물이 잠길 수 있는 일대를 표시하고 있다. 홍수 위험지역으로는 퀸즈 북동부 한인 밀집 지역도 다수 포함됐다. 플러싱 메인스트리트, 유니온스트리트 등을 포함한 루스벨트애비뉴 일대와 리비츠 공원 인근, 한인 상권도 다수 집중돼 있는 머레이힐 162스트리트 샌포드 애비뉴와 43애비뉴 사이,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어번데일역 인근 등이 위험 지역에 속했다. 지도는 웹사이트(experience.arcgis.com/experience/6f4cc60710dc433585790cd2b4b5dd0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릭 아담스 행정부는 지난해 허리케인 아이다로 뉴욕시에서 13명이 사망하고 수만 가구가 침수피해를 받은 만큼, 올해부터라도 철저히 홍수피해를 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위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뉴욕시 비상사태관리국(NYCEM)이 운영하는 ‘Notify NYC’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트위터를 팔로하면 실시간 경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비상 대피 지역을 웹사이트(maps.nyc.gov/hurrican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5월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올해 대서양 일대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 중 65%가 ‘평균 이상’ 규모일 것으로 내다봤다. 25%는 평균 정도, 나머지 10%는 평균 이하로 전망했다. 한편, 허리케인 아이다 피해로 인한 사망자 대부분(13명 중 11명)이 불법 반지하 주택에서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시 한번 추진됐던 반지하 주택 합법화 법안은 2021~2022회계연도 회기 중 처리되지 못하고 결국 폐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법안(S8783·A9802)은 뉴욕시정부에 ‘사면 프로그램’을 만들고 기존 불법 개조 지하 주택을 금지하는 뉴욕주의 다세대 주택법(multiple-dwelling law)을 준수하지 않고도 주택법상의 안전 표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7일 아담스 시장은 “뉴욕시는 허리케인으로 인한 홍수에 대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올버니(주의회)의 도움도 필요하다”며 지하 주택의 합법화가 지난 회기 내 이뤄지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위험지역 뉴욕 홍수 위험지역 뉴욕시 비상사태관리국 뉴욕시 환경보호국
2022.07.07. 21:33
뉴욕시의 수도요금이 2014년 이후 최대폭으로 인상될 수도 있을 전망이다. 22일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의 보도에 따르면 뉴욕시 환경보호국(DEP)은 지난 4월 수도요금 4.9% 인상안을 제안한 상황이다. 매년 수도요금을 책정하는 뉴욕시 수도요금위원회(NYC Water Board)는 인상안을 놓고 오는 25일과 26일 공청회를 가져 주민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며, 오는 6월 중 인상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하게 된다. 인상안이 가결되면 오는 7월 1일부터 적용된다. 올해 제시된 4.9% 인상안은 5.6%의 인상안이 적용됐던 2014년 이후 최대 인상폭이다. 뉴욕시 사상 수도요금 가장 인상폭이 높았던 것은 2009년(14% 인상)이다. 최근 2017년과 2018년, 2021년에는 수도요금이 동결됐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인상안이 적용될 경우 1인 가구일 경우 평균 4달러, 다인 가구일 경운 평균 3달러의 수도요금 인상이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인 주택 소유주들에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다가구 주택 소유주에게는 경제적 압박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심종민 기자수도요금 뉴욕 뉴욕시 수도요금위원회 수도요금 인상 뉴욕시 환경보호국
2022.05.23.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