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의 원조,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흥미로운 다큐멘터리 2편이 10월 15일, 16일 연이어 LA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UCLA 한국학 연구소 (Center for Korean Studies, 소장 이남희 교수)는 올해 2월 한국에서 개봉되어 화제가 되었던 다큐멘터리 영화 〈정돌이〉를 10월 15일(수) 오후 3시에 UCLA Campus, Royce Hall, Room 314, Humanities Conference Room(주소: 10745 Dickson Ct, Los Angeles, CA 90095)에서 상영한다. 1987년 격동의 시기에 대학가에 흘러 들어온 14살 가출 소년 정돌이가 대학생 형, 누나들의 보살핌을 통해 장구 명인으로 성장하는 감동스토리를 다룬 〈정돌이〉는 따뜻한 휴먼 다큐멘터리이면서 동시에 1980년대 한국 학생운동에 대한 역사를 다루고 있다. 1987년 4월 초, 아버지의 상습적인 주취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경기도 연천에서 무작정 기차를 탔던 소년은 청량리 역전을 배회하다 수배중인 운동권 학생을 만난다. 청량리 심야만화방에서 하룻밤을 같이 보낸 이들은 고려대로 이동한다. 소년을 만난 운동권 학생이 바로 고대 행정학과에 다녔기에 이들은 정경대 학생회실로 가게 되고, 소년은 운명처럼 이곳에 정착한다. 정경대에 온 소년은 이날부터 정돌이로 불리게 된다. 김대현감독은 이렇게 말한다. “ 정돌이는 가끔씩 생각났어요. 1980년대 제 대학시절을 돌이켜 보면 정돌이는 고대의 마스코트 같은 존재였으니까요.” 김대현감독은 이 시기에 잠잘 데 없는 정돌이를 재워주고 밥을 사줬던 수많은 고대 형,누나들 중의 한 명이었다. 세월은 흘러 1980년대는 민주화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시기로 자리매김했지만 한편으로는 소위 ‘386들의 위선’이라는 키워드 역시 만만찮게 퍼져 나갔다. 감독은 궁금했다. 과연 이 시기를 우리는 어떻게 규정해야 할까? “ 이때 정돌이가 다시 생각났어요. 정돌이는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정돌이를 따뜻하게 보살펴줬던 그 때의 형,누나들은 지금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그렇게 해서 감독은 정돌이를 다시 만나게 됐고 카메라를 앞에 두고 대화를 시작했다. 정돌이가 보고 싶어했던 많은 형과 누나들의 이름도 나오기 시작했다. 영화 〈정돌이〉를 통해 잊고 있었던 이들의 이름을 다시 불러내어 지나간 시간의 의미를 다시 한번 따져 묻는다. 아, 정돌이의 이름은 송귀철이다. 〈정돌이〉 상영 후에는 김대현감독이 참석하여 관객과의 대화를 가질 예정이다. 상영은 무료로 진행되며 선착순 입장이다. 행사 당일 주차는 UCLA내 주차장의 방문객 구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차 요금은 $5.00 - $13.00 (1 Hour - 3 Hours), $17.00 (All Day)이다. 주차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UCLA Parking page (https://transportation.ucla.edu/campus-parking/visitor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영회 관련 문의: [email protected] 채프먼대학교 닷지영화미디어대학과 윌킨슨인문사회과학대학 공동주최로 한류의 원조이자 한국 최초의 걸그룹 김시스터즈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방의 푸른꿈〉을 10월 16일(목) 오후 7시에 Chapman University DMAC Screening Room (주소: 220 N Cypress St, Orange, CA 92866)에서 상영한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다방의 푸른 꿈〉은 국내 최초 걸그룹 김시스터즈의 음악을 향한 열정과 가슴 벅찬 성공 신화를 다룬 음악 다큐멘터리이다. ‘목포의 눈물’을 부른 국민 가수 이난영과 ‘오빠는 풍각쟁이야’ 등을 작곡한 천재 작곡가 김해송의 딸들인 김숙자, 김애자와 함께 이난영의 조카인 김민자로 구성된 국내 최초 걸그룹 김시스터즈의 일대기를 담은 작품으로 제11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개막작으로도 선정되어 영화 팬, 음악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받은 바 있다. 〈다방의 푸른 꿈〉에서는 김시스터즈의 어린 시절부터 1953년 미 8군 공연으로 정식 데뷔하고, 그 뒤 라스베이거스에 진출해 본격적인 미국 활동에 나서는 활약상들을 만날 수 있다. 이후 비틀스,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스톤즈 등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섰던 에드 설리번 쇼에 약 22번이나 출연하며 원조 K-POP 스타로 발돋움하는 김시스터즈의 미국 진출기는 뜨거운 감동을 전한다. “전쟁이 끝나고 아무 것도 가진 게 없어 밥을 먹고 살아야했죠. 미 8군 무대에서 노래하기 시작했는데 돈 대신 위스키를 받아 그걸 팔아 살림에 보탰어요.” 김민자는 김시스터의 출발을 이렇게 회상했다. 〈다방의 푸른꿈〉은 세 자매 중 막내인 민자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의 고향’인 로스앤젤레스에 정착해 살던 김민자는 헝가리계 미국인인 남편 토미빅과 함께 20여년 전에 로스앤젤레스에서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이주했다. 〈다방의 푸른꿈〉 상영 이후에 김대현감독과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제작과 관련된 다양한 뒷얘기들을 듣고 감상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선착순 무료 입장이다. 행사에 대한 문의는 [email protected] 으로 하면 된다.다큐영화 한국학연구소 걸그룹 김시스터즈 채프먼대학교 닷지영화미디어대학 상영회 관련
2025.10.10. 13:06
북한인권 실태를 생생히 다룬 다큐영화 ‘비욘드 유토피아’ 시사회가 미주통일연대 워싱턴(회장 김유숙) 주최로 오는 21일(일) 오후3시에 한인커뮤니티센터 1층 대강당에서 열린다. 비욘드 유토피아는 지난해 선댄스영화제 관객상 수상을 시작으로 오스카 영화제 예비후보, 영국 아카데미 최종 후보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영화제의 주목을 받았다. 더불어 대한민국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회, 국가인권위원회 등 주요 정부기관과 교회 등지에서 상영되며 북한의 인권 실태를 가감없이 담아냈다는 점에서 다큐영화로 업계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김유숙 회장은 “‘비욘드 유토피아’는 탈북 과정에서 겪는 고난과 위험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북한의 인권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단순히 ‘통일’이라는 남북의 하나됨을 넘어선다”면서 “영화의 메세지가 휴머니즘 문제로 더 확대 돼 북한 동포들의 자유와 인권에 봄바람이 불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영화 상영 후에는 공동제작자인 수미테리(미외교협회 선임연구원) 박사와 다큐 속 주요 인물인 갈렙선교회 김성은 목사가 참석해 관객과의 만남 시간이 마련되며 간단한 저녁식사도 제공된다. 장소: 6601 Little River Turnpike, Alexandria VA 한인커뮤니티센터 1층 대강당 문의: 202-577-3284 (김유숙 회장)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다큐영화 유토피아 비욘드 유토피아 지난해 선댄스영화제 오스카 영화제
2024.04.19. 14:23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고 백남준(1932~2006)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달은 가장 오래된 TV(The Moon is the Oldest TV)’ 특별 상영회가 열린다. LA한국문화원(원장 정상원)은 오는 30일 오후 6시 30분 문화원 아리홀에서 KAM(Korean American Muse, 회장 제인 이)과 함께 영화상영회를 개최하고 연출한 아만다 김 감독과 Q&A 시간을 갖는다고 밝혔다. ‘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한국계 할리우드 배우 스티븐 연이 내레이션과 총괄 프로듀서를 맡고 2023년도 선댄스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분에 진출하며 큰 화제를 낳았다. 이 영화는 비디오 아트계의 거장이자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백남준의 작품 ‘달은 가장 오래된 TV(The Moon is the Oldest TV)’를 활용한 첫 다큐멘터리 영화로 그의 예술적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작품 ‘달은 가장 오래된 TV’는 백남준 작가가 1965년 뉴욕의 보니노 갤러리에서 처음 소개한 TV 모니터 12대에 변화하는 달의 영상을 담은 대표작이다. 동 제목의 이 영화는 미디어 아트 거장인 백남준의 작품 세계를 통해 미래를 내다본 천재 아티스트의 혜안을 담고 있으며, 그의 전위적 예술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던 스승 존 케이지, 평생 예술 동지였던 독일 거장 요셉 보이스, 함께 연주 퍼포먼스를 벌였던 단짝 첼리스트 샬럿 무어만, 교분이 깊었던 후배 예술가 오노 요코, 전위파 시인 앨런 긴즈버그, 팝아티스트 앤디 워홀 등과의 인터뷰가 담겼다. 문화원 홈페이지(www.kccla.org) 통해 반드시 예약해야 한다. ▶주소:5505 Wilshire Blvd, LA ▶문의:(323)936-3018 이은영 기자다큐영화 백남준 선댄스영화제 다큐멘터리 백남준 다큐영화 선댄스 영화제
2023.06.25.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