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 이리 운하 개통 200주년

1825년 10월 26일 이리 운하(Erie Canal)가 개통됐다. 총 363마일 길이의 이리 운하는 뉴욕주 알바니와 버팔로를 연결하는 물길이다. 시카고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것도 아닌 500마일 동쪽에 있는 이리 운하는 시카고의 현재를 규정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200년 전에 개통한 이리 운하는 시카고가 어떻게 중서부의 주요 도시가 됐고 위스콘신이 아니라 일리노이 주에 속하게 됐으며, 오대호를 통해 미국 동부와 연결됐는지를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지도를 보면 시카고는 오대호의 하나인 미시간호수의 가장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오대호는 물길이고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남쪽 끝인 시카고에서 배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가지 난관이 있다. 바로 나이아가라 폭포다. 이리호와 온타리오호를 연결하는 나이아가라 폭포로 인해서 물은 오대호가 모두 연결되지만 사람의 이동과 물자 수송은 끊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운하다. 나아이가라 폭포를 우회해서 운하를 연결하면 오대호와 허드슨강, 즉 오대호와 뉴욕시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중서부 지역에서 생산되는 곡식이 가장 큰 시장인 뉴욕까지 보다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저렴하게 수송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이리 운하가 개통된 후 시카고에서 뉴욕까지 수송비가 최대 90%까지 싸진 것으로 확인된다.     이런 의미로 인해 현재까지 시카고에서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 이리 운하 개통이라고 언급되는 것이다. 물론 시카고가 사실상 건설될 수 있었던 포트 디어본의 등장과 1871년 시카고 대화재, 1893 콜럼버스 만국박람회 등과 같은 굵직굵직한 이벤트들이 많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시카고가 도시로 발전하고 중서부 최대 도시로 성장했으며 뉴욕에 이은 두번째 도시, Second City로 설 수 있었던 것은 이리 운하의 개통이다.     사실 이리 운하 이전 시카고 인구는 수백명 수준이었고 세인트루이스는 이보다 100배가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만 해도 시카고강과 미시간 호수가 만나는 곳에 위치한 습지대였으며 목재를 보관하고 있던 조그만 항구 도시가 시카고였다. 반면 중서부의 다른 도시들인 신시내티와 세인트루이스가 훨씬 컸다. 특히 세인트루이스는 서부 지역으로 출발하는 시작점으로 서부의 로마로 통했다. 당시 시카고 인구는 갈레나 인구보다도 적었다. 갈레나는 광물 채취로 인해 한창 도시가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이리 운하는 착공도 못할 수 있었다. 당시 토마스 제퍼슨 대통령이 운하를 위한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제퍼슨 대통령은 미친 짓이라며 실현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뉴욕 주지사 드윗 클린턴이 취임 직후 강하게 밀어부쳤기 때문에 대형 토목 공사가 성사될 수 있었다.     또 한가지 이리 운하와 관련된 중요한 사실은 일리노이주 경계다. 일리노이는 1787년 노스웨스트 협정에 따라 현재 주 경계보다 60마일 남쪽이 주 경계였다. 이로 인해 일리노이 주는 오대호와 연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리 운하의 발전 가능성을 알아본 나다니엘 포프 연방 하원에 의해 현재와 같이 미시간 호수까지로 확장됐다. 만약 일리노이가 미시간 호수와 연결되지 못했다면 남부의 미시시피강으로만 수로 운송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렇게 됐다면 지금처럼 도시가 성장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시카고 다운타운의 아름다운 호변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시카고가 일리노이가 아닌 위스콘신에 속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리 운하가 시카고에 끼친 영향은 이렇게 막대하다. 그래서 현재 다운타운에 이리 운하를 가능케 했던 뉴욕 주지사의 이름을 딴 도로명이 생긴 것이다. 시카고강 서쪽에 위치히나 클린턴길이 바로 그것이다. 카날길 역시 이리 운하에서 연유한 이름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후 시카고는 1848년 일리노이 미시간 운하를 개통해 미시간 호수와 일리노이강, 미시시피강을 연결했다. 이를 통해 현재도 시카고 다운타운에서 보트를 타고 뉴올리언스까지 내려갈 수 있게 됐다. 시카고는 동쪽으로는 뉴욕, 남쪽으로는 뉴올리언스까지 이어지면서 명실상부하게 대서양과 멕시코만까지 연결이 됐다.     같은해인 1848년 시카고 거래소가 창설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운하를 통해 미시시피강 연안의 곡창지대에서 시카고로 곡식이 이동된 후 거래되는 시스템이 갖춰졌기 때문이다. 시카고 거래소는 곡식 거래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기 위한 방편이었고 이를 통해 선물거래도 파생됐다.     이리 운하는 362마일 길이로 675피트에 달하는 지대 높낮이를 뚫고 건설됐다. 총 83개의 수문(lock)도 필요했다. 그만큼 어려운 공사였다. 이리 운하의 성공으로 시카고가 추진했던 일리노이 미시간 운하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그 힘든 공사는 이민자에게 돌아갔다. 당시로는 아일랜드계 이민자였다. 일리노이 미시간 운하 공사의 시작점이었던 브릿지포트가 아일랜드 이민자 타운이 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이 지역에서 시작돼 일리노이 정치를 호령하던 리차드 데일리 가문이 배출된 것 역시 이런 배경에서 가능한 일이었다.     운하는 곧 철도에 주요 수송 능력을 넘긴다. 1848년 킨지역이 들어서면서 운하의 장점은 점차 쇠퇴한다. 더군다나 철도는 운하와 달리 겨울철에도 운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리 운하는 1903년, 일리노이 미시간 운하는 1933년 화물 수송을 중단하기에 이르렀고 역사의 뒤안길로 조용히 사라졌다. (편집국)       Nathan Park 기자시사분석 nathan 운하 이전 시카고 대화재 당시 시카고

2025.10.29. 13:28

썸네일

시카고 주차미터기 회사, 해마다 ‘앉아서 떼돈’

시카고서 주차 미터기를 운영하는 민간 기업이 지난해 사상 최고 수준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법인 KPMG의 감사 기록에 따르면 ‘시카고 파킹 미터스’(Chicago Parking Meters LLC)사는 지난 2024년 무려 1억6090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     이 회사의 연간 수익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지난 2008년부터 총 19억70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애초 시카고 시가 직접 운영하던 주차 미터기는 지난 2008년 당시 시카고 시장 리처드 M 데일리 시절 11억5700만 달러를 받고 운영권을 민간 기업에 넘겼다.     시카고 파킹 미터스사는 대신 2083년까지 75년동안 3만6000개 이상의 주차 미터기의 대한 수익을 갖게 됐다.     KPMG에 따르면 시카고 파킹 미터스 사는 임대 계약 첫 10년 만에 투자금을 전부 회수한 것으로 기록됐다.     이와 관련 32지구 시의원 스캇 웨규스팩은 “미국 그 어디서도 다시는 재연돼서는 안 되는 계약이다”며 “시카고는 당시 최소 50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는 받았어야 했고, 결정만 제대로 했었더라면 시카고 시의 재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Kevin Rho 기자주차미터 시카고 시카고 파킹 애초 시카고 당시 시카고

2025.05.09. 12:55

썸네일

시카고, '안전한 도시' 최하위권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안전한 도시'(Safest City) 설문조사에서 시카고 시가 최하위권으로 평가됐다.     여론조사업체 '갤럽 폴'(Gallup Poll)은 최근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대도시 16곳의 안전 수준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대상자들에게 "해당 도시에 가 봤던 안 가봤던, 그 도시를 안전하다고 생각하느냐?"고 질문했을 때 시카고는 27%만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이는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26%)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평가였다.     갤럽 폴이 지난 2006년 동일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을 당시 시카고에 대해 47%의 응답자가 안전하다고 응답했다. 시카고 시의 안전에 대한 평가가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응답자 가운데 스스로를 민주당이라고 여기는 사람들 가운데 41%는 시카고를 안전하다고 대답했지만, 자신을 공화당으로 여기는 사람들 중에는 단 11%만 시카고를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지지 정당에 따라 전혀 다른 평가가 나온 것이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텍사스 주 댈러스(74%)가 가장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보스턴이 72%로 바로 뒤를 이었다.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은 41%로 공동 13위에 올랐다.     이번 설문조사에 포함된 16개 대도시의 순위는 댈러스, 보스턴, 시애틀(63%), 라스베거스(61%), 마이애미(59%), 미니애폴리스(58%), 휴스턴(57%), 뉴올린스(55%), 애틀란타(54%), 샌프란시스코(52%), 워싱턴 DC(52%), 필라델피아(47%), 로스앤젤레스, 뉴욕, 시카고, 디트로이트 등의 순이었다.     Kevin Rho 기자최하위권 시카고 도시 최하위권 안전 수준 당시 시카고

2023.08.24. 14:29

썸네일

[시카고 사람들] 이희겸 시카고 산악회장

“산악인은 무궁한 세계를 탐색한다. 목적지에 이르기까지 정열과 협동으로 온갖 고난을 극복할 뿐 언제나 절망도, 포기도 없다.”   노산 이은상 선생의 ‘산악인의 선서’를 인용하며 시카고 한인 산악회를 소개한 이희겸 회장(59•사진)   올 한해의 무사고 안전 산행을 기원하는 시산제를 지난 10일 마쳤다는 그는 “산악회는 안전 산행을 위해 엄격한 규율과 철저한 협동을 동반해야 하는 건강한 단체”라고 강조한다.   그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걸을 수 있는 의지가 있다면 가족적 분위기에서 훈련하고 준비하며 안전 산행을 위해 함께 하는 매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투철한 책임감을 필요로 한다는 산악인, 그가 부모님과 함께 가족이민으로 시카고에 온 것은 지난 1983년 1월.   부친 고(故) 이규환씨는 한국에서 친환경 사업이라 불리는 연탄재 재활용 발명가였다. 그러나 선구적 일은 사업적으로는 어려움이 많던 시절이었다.   2남2녀 중 맏이로 한양공고를 졸업하고 미국에 온 그는 “아버지가 저희들에게 600달러를 보여 주면서 전 재산이라고 말씀하셨어요. 우리 가족은 그렇게 시작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     작은 세탁소를 운영했던 부모님을 돕고 저녁에는 커뮤니티 칼리지를 다녔다.   세탁소 서플라이 회사를 다닐 때 지도책을 보며 당시 시카고 일원 동서남북, 안 가 본 데가 없을 정도였다고 그는 기억한다.   뉴욕에서 잠시 생활하며 만난 아내와 시카고로 돌아 와 지난 1989년 4월 결혼식을 올렸다. 주례는 불타사 홍선스님이 맡아 주셨다고.   이후 운송업(Forwarding Business) 회사에 취직해 업무를 배우던 그는 지난 1995년 회사를 직접 설립하고 독자적인 사업을 시작했다. 밤낮없이 일하는 그의 성실함과 책임감은 고객들에게 신뢰를 얻으며 한국의 국방부 운송 물자를 거래처로 확보하는 등 국제 운송까지 사업이 성장했다.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08년부터 한동안 비즈니스에 어려움을 겪었던 그는 건강을 위해 2012년 시카고 산악회에 가입해 오랫동안 총무로 봉사하다가 올해 회장을 맡았다.     그는 ”2001년 고 심지로 초대회장이 만든 산악회 책임자로서 모두의 안전 산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013년 9월 워싱턴 주에 있는Mount Adams 정상(12,281 feet)에 도전했던 등정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는 그는 “함께 도전하며 고락을 같이 하고 안전하게 돌아 오면 ‘흐뭇한 피로감’이라고 표현하는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오랜 지기 최은주 현 시카고 한인회장의 요청으로 한인회 이사로 참여하고 있는 그는 아내 Diane Lee(55)와의 사이에 Sharon(딸), Joshua(아들) 남매를 두었으며 시카고 북 서버브 노스브룩에 거주한다.  박우성 위원시카고 사람들 산악회장 시카고 시카고 산악회장 시카고 한인회장 당시 시카고

2022.04.22. 13:51

썸네일

"시카고 범죄 급증, 라이트풋 시장 실정 탓"

미국 3대 도시 시카고의 살인사건 발생 건수가 2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치안이 악화일로를 걷는 가운데 시카고 911대원이 전국 방송에서 시장의 실정을 정면 비난하며 직격했다.   시카고 경찰 소속 911대원 키스 손튼은 지난 28일 폭스뉴스에 출연해 "사건 신고가 들어와도 출동할 인력이 태부족"이라면서 "강력사건 현장에 혼자 나가야 하는 대응요원들은 서로 '두렵다'는 문자메시지를 나누기도 한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어린아이•청소년•성인•노인 구분 없이 수많은 이들이 총에 맞아 죽고 있다. AK-47(자동소총) 위협 아래 차를 빼앗기기 일쑤"라면서 "주민이든 출장자든 여행객이든 안전을 보장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상황의 원인을 로리 라이트풋 시장(59•민주)의 실정 때문으로 돌렸다. 그는 "당국은 범죄 통제력을 상실했고, 도시 전체가 생지옥 같은 상황"이라며 "시장의 실정이 시카고를 치안 부재 상황으로 몰아넣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라이트풋 시장은 이달 초 메릭 갈랜드 연방 법무장관에게 "범죄 급증으로 시민들이 두려워하고 있다. 불법 무기 거래 및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법무부 산하 총기단속국(ATF) 요원들을 시카고에 배치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뉴스 진행자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 당시 "시카고 범죄 억제를 위해 연방 차원의 도움을 주겠다"고 했으나 민주당 소속인 라이트풋 시장이 "문제만 일으키게 될 것"이라며 거부한 사실을 상기했다.   그러자 손튼은 당시 시장이 정치적 입장만 앞세워 연방 차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도, 원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치안 문제는 민주•공화 정파 문제가 아니고 흑•백 인종 문제도 아니다. 모두가 힘을 합쳐 풀어야 할 과제다. 내가 목소리를 내고 나선 이유"라고 설명했다.   손튼은 앞서 지난 24일 페이스북에 "라이트풋 시장이 경찰 예산을 삭감하고 인력을 대폭 감축해 시카고를 '죽음의 지대'로 만들었다"며 도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끈 바 있다.   이와 관련, 뉴욕포스트는 "라이트풋 시장은 지난해 미국을 휩쓴 BLM(흑인 목숨도 소중하다)의 경찰 예산 삭감 요구 시위 이후 시카고 경찰 예산 8천만 달러를 삭감하고 법집행 인력을 대폭 감축했다"고 지적했다.   이후 시카고 총기 범죄율은 지난해보다 9% 더 증가했고, 살인 사건 발생 건수는 25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금까지 시카고에서 4천514명이 총에 맞아 791명이 사망했다. 총기 외 폭력을 포함하면 살인사건은 841건에 달한다. 미국 최대 도시 뉴욕(480건)의 1.8배에 가깝다.   선타임스는 29일자 보도를 통해 도심 번화가를 포함하는 니어노스 지구의 성범죄 사건이 지난해 77건에서 올해 151건으로 95%나 급증하며 20년래 최다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미국 경제•문화의 중심지이자 범죄 안전지대로 간주돼오던 시카고 도심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2020년 5월 흑인 사망 사건 항의 시위가 촉발한 폭동•약탈 사태 이후 치안이 급격히 나빠졌다.   선타임스에 따르면 시카고 도심 총격 사건은 2019년 25건에서 2020년 54건, 2021년 10월까지 77건으로 2년 전보다 3배 이상으로 늘었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시카고 라이트 시카고 경찰 도시 시카고 당시 시카고

2021.12.30. 14:5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