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국대사관이 유학 신청자의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 진행을 잠정 중단했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28일부터 온라인 비자 신청 시스템에서 F(학생), M(직업훈련), J(교류)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 일정 선택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이미 잡힌 인터뷰 일정은 계속 유효하며, 세 종류 비자 외의 비이민 비자와 이민 비자 절차도 진행 중이다. 비영리단체 국제교육연구소(IIE)에 따르면 미국 내 유학생 중 한국인 비율은 인도와 중국에 이어 세번째에 위치한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모든 비자 심사는 국가안보 사항이고 연방국무부의 비이민 비자 인터뷰 예약 일정은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이같은 조치는 연방국무부가 유학생의 SNS 계정 심사 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판단된다. 연방당국은 미국 유학생에 대한 SNS 심사를 의무화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태미 브루스 연방국무부 대변인은 “미국에 오길 원하는 모든 외국인을 심사하기 위해 우리는 모든 도구를 사용한다”며 “모든 주권국가는 누가 오려고 하는지, 왜 오고 싶어하는지, 그들이 누구인지, 어떤 일을 해왔는지를 알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비영리단체 국제교육자협회(NAFSA)에 따르면 작년 미국 내 유학생 110만여 명미국 경제에 기여한 경제적 규모가 430억달러로, 학비와 주택 렌트비, 식비, 생활비 등이 포함돼 있다. 미국의 이같은 유학 비자 규제 분위기 속에 유럽과 홍콩, 일본 등이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대사관 주한 주한 대사관 대사관 유학 유학생 유치
2025.05.28. 12:22
LA 연방지방법원이 2019년 스페인 주재 북한 대사관 습격 사건에 가담한 크리스토퍼 안(사진) 씨를 범죄인 인도조약에 따라 스페인으로 송환해야 한다고 결정했다고 북한 전문매체 NK뉴스가 10일 보도했다. 다만 법원은 실제 인도가 이뤄질 때 안 씨가 스페인에서 북한에 암살당할 위험을 고려해 상급심이 이 명령을 취소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을 함께 제시했다. 보도에 따르면 LA 연방지방법원 진 로젠블루스 판사는 안 씨의 혐의가 범죄인 인도 대상에 포함된다고 판단했다. 안 씨가 스페인 당국으로 인도될지는 최종적으로 국무부가 결정하게 된다. 판례에 따르면 범죄인 인도조약을 근거로 법원이 송환을 결정한 범죄 용의자는 국무장관이 인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안 씨는 2019년 2월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관에 침입한 반북한단체 ‘자유조선’(옛 천리마 민방위) 소속의 일원이다.북한 대사관 법원 스페인 대사관 습격 범죄인 인도조약
2022.05.10. 19:14
주미 한국대사관은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을 위한 별도의 빈소를 설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국정부가 장례 절차와 관련한 국가장 등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사관의 한 관계자는 “전 전 대통령에 대한 예우와 관련한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국가장으로 예우했던 노태우 전 대통령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 국가장의 장례위원장을 맡았던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달 언론 인터뷰에서 “노 전 대통령은 합법적 절차로 국민 손에 뽑혀 대통령이 됐고 추징금도 완납했으며 유족들이 광주에 진정성 있게 참회해왔다”며 “국가장은 국민 수용성 여부를 중요하게 판단해 결정되는 사안”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한국의 국무총리실 관계자도 “절차상으로는 유족들의 의견을 고려해 국무회의를 거쳐 대통령이 결정하면 국가장이 가능하다”면서도 “그러나 전 전 대통령의 불법적 정권탈취와 광주에 대한 책임 등에 대해 끝까지 사과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급작스런 사망 소식에 따라 장례절차와 예우 등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내부 논의가 먼저 진행될 필요가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의 조문과 조화 여부 등 모든 관련 절차 역시 논의가 이뤄진 뒤에 구체적 방식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에서는 국가장을 결정했던 노 전 대통령 때와는 달리, 전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의 예우를 하지 않는 방향의 결정이 이뤄질 거란 기류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노 전 대통령과 전 전 대통령은 완전히 다른 케이스”라고 했다. 지금까지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으로 치러진 것은 김영삼, 노태우 전 대통령 등 두차례다. 앞서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장으로, 최규하,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는 국민장으로 진행됐다. 이승만, 윤보선 전 대통령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렀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대사관 전두환 주미 한국대사관 주미 대사관 대통령 국가장
2021.11.23.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