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머스크가 처음은 아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며 제3당 창당을 선언했으나, 미국에서 시도됐던 제3당은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었다. 제26대 대통령(1901-1909년)이었던 시어도어 루즈벨트는 1912년 공화당 대선 경선에서 패배한 후 ‘진보당’을 창당해 1912년 대선에 출마했으나 민주당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루즈벨트는 27.4%를 득표해  현직 대통령이었던 윌리엄 태프트(23.2%)를 이기는데 만족해야 했다.    조지 왈러스 앨라배마 주지사는 민주당의 1960년대 흑백통합 정책에 반발해 탈당한 후 1968년 ‘아메리칸 독립당’을 창당했다. 왈러스는 이 당의 후보로 대선에 나섰으나 13.5% 득표에 그쳤다. 당시 선거에서 리차드 닉슨이 승리했다. 아메리칸 독립당은 아직도 살아남아 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작년 이 정당의 대선후보로 출마했었다.     테크 기업가 로스 페로는 1992년 총기규제와 자유무역협정에 반발해 ‘개혁당’을 창당하고 대선에 출마했다. 페로 18.9%를 득표하며 선전했으나 아버지 부시 대통령의 재선을 막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당시 민주당의 빌 클린턴이 43%를 득표하고도 어부지리로 당선됐다. 1971년 창당한 자유당은 1972년 이후 계속 대선 후보를 내며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나 의미있는 득표를 하지 못하고 있다.     유럽에서 강세를 보이는 녹색당은 미국에서 그다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2000년 대선에서 랄프 네이더 녹색당 후보가 2.74%를 얻어 아들 부시(공화) 대통령 당선을 도왔다. 당시 민주당의 앨 고어 후보는 막판 재검표 소동 끝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머스크 시도 일론 머스크 대통령 당선 대선 후보

2025.07.08. 11:45

썸네일

[J네트워크] 백악관 소통법을 배우고 싶으면

지난 9일 치른 제20대 한국 대통령 선거는 2020년 미국 대선과 닮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각각 역대 최다 득표 낙선자로 기록됐다. 이 후보는 1614만 표를 얻어 문재인(1342만 표), 박근혜(1577만 표) 대통령 당선 때보다 더 많은 표를 얻고도 윤석열(1639만 표) 당선인에게 패했다. 역대 대선 득표수 2위다.     트럼프는 7422만 표를 얻어 조 바이든 대통령(8128만 표)에게 졌지만, 미국 대선 역사상 바이든 다음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이는 바이든과 윤 당선인에게 적극적으로 반대한 유권자가 국민의 절반가량 된다는 뜻이다. 노련한 바이든은 민심을 정확히 읽고 통합과 치유를 당선 첫 메시지로 내세웠다. ‘미국의 영혼’ 회복과 ‘중산층 재건’을 약속했다. 평범한 미국인의 욕구를 짚었다. 정권 인수 기간 70여일 동안은 취임 후 실시할 정책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데 집중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문가들이 임기 첫날부터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예고했다. 자신을 뽑지 않은 절반의 국민을 끊임없이 의식하는 언행을 보였다.   윤 당선인 앞에 놓인 여건도 당시 미국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득표율 차가 0.73%포인트에 불과할 정도로 두 동강 난 민심 통합이 급선무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를 기록 중이다. 문재인 정부가 손 놓다시피 한 방역과 치료 체계를 제대로 갖추는 게 시급하다. 제로 금리 시대의 종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커진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모습이 더 많은 국민을 안심시키지 않을까.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백악관을 모델로 언급했다. 참모들, 기자들과 한 건물을 쓰고, 주변을 공원화해 국민과 물리적 거리를 좁히겠다는 게 골자다.     하지만 미국 대통령의 소통 능력이 건물 배치도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면 사안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이다. 대변인 정례 브리핑을 없앤 트럼프도 이 건물에서 지냈고, 취임 1년 차 인터뷰 횟수(22회)가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적은 바이든도 여기 살고 있다.   바이든의 백악관은 전임 행정부보다 의견을 충분히 주고받는 과정을 중시한다. 공개·비공개 브리핑이 부처마다, 주요 사안마다 수시로 열린다. 공론화와 절차적 정당성이 민주주의의 기본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윤 당선인이 당선된 지 불과 11일째 되는 날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결정했다고 발표한 것은 충분한 소통이라고 보기 어렵다. ‘겸손하게 국민의 뜻을 받들겠다’는 표어와도 어긋난다. 이 문제에 대해 국민은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없었다. 박현영 / 워싱턴특파원J네트워크 백악관 소통법 대통령 당선 역대 대통령 대통령 집무실

2022.03.22. 18: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