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오~필승 코리아” 목청껏 외쳤다…내슈빌 한국-멕시코전 응원

음악의 도시 내슈빌에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멕시코는 자국 이민자 인구가 많은 이곳에서 일방적 응원을 등에 업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예상밖의 붉은 물결과 함성이 기대 이상의 경기를 만들어 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9일 테네시주 내슈빌의 지오디스 파크에서 열린 난적 멕시코와의 평가전에서 2-2 무승부를 거뒀다.   당초 500여명이 운집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경기장에는 1500여명의 한인이 자리를 채웠다. 애틀랜타·내슈빌·테네시 한인회 등 동남부 한인단체가 판매한 단체 응원 입장권만 경기장 4개 섹션 내 1078석이다. 이날 전체 관중수가 2만7604명이었음을 고려하면 멕시코와 한국이 17대 1에 이르는 수적 열세였지만 실제 관중석 분위기는 달랐다. 한인회가 원정 응원단의 이동을 돕기 위해 조지아주 둘루스에서 50인승 단체버스 두 대를 운행해 팬들을 실어나르고, 단체 제작한 응원복을 손태극기와 함께 배포하는 등 조직적인 응원을 보여줬다.   응원단장을 맡은 내슈빌의 류승한(38)씨는 “애틀랜타 뿐만 아니라 앨라배마주, 인디애나주 등 전국 각지에서 팬들이 모였다”며 “10년째 미국에서 살면서 목놓아 대한민국을 외칠 기회가 없었는데 오늘 선수들이 열심히 뛰어준 덕에 신명나게 노래를 불렀다”고 했다. 한국 축구대표팀 공식 응원단 ‘붉은악마’로 활동한 전력이 있는 한인 다섯명이 북과 징을 치며 ‘아리랑’, ‘오 필승 코리아’를 선창했다. 이들은 경기를 앞두고 3번의 연습을 거쳐 합을 맞췄다. 밤 10시쯤 경기가 끝나고도 팬들은 퇴근하는 선수들의 버스를 자정까지 기다려 배웅했다.   한인 응원단 공식 후원사로 나선 한국타이어 테네시공장의 윤정록 고문은 자사 및 협력사 직원 15여명과 경기장을 찾았다. 그는 “늘 현지화 전략에 관심이 많은데, 축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더욱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2026 북중미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대표팀이 월드컵 공동 개최국인 미국과 멕시코를 상대로 밀리지 않는 저력을 보여주면서 내년 대회에 대한 기대가 더욱 커진다. 한국에서 뉴욕을 거쳐 이번 경기를 보러왔다는 이종명씨는 “17시간 비행을 거친 힘든 여정이었지만, 대표팀이 이전보다 한층 나아진 경기력을 보여줘 만족을 느꼈다”며 “다가올 월드컵에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것 같다”고 기대했다.   경기 뒤 취재진과 만난 손흥민은 “강팀과 맞붙는다는 것 자체가 좋은 경험이다. 한국, 일본, 유럽에서 (미국으로) 온 친구들이 좋지 않은 컨디션에도 팀을 위해 하나로 뭉쳤다”며 “교훈을 얻을 수 있는 경기였다”고 했다. 홍명보 감독 또한 기자회견에서 “경기뿐 아니라 환경과 잔디, 날씨 등 여러 가지를 경험할 수 있어 좋았다”고 월드컵 준비를 위한 현지 적응 중요성을 높게 평가했다.   권오석 조지아대한체육회장은 “이번 응원전 준비 경험을 발판삼아 내년 6월 애틀랜타에서 열릴 월드컵도 흥행시키겠다”고 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영상 내슈빌 북중미 테네시주 내슈빌 도시 내슈빌 난적 멕시코

2025.09.10. 15:12

썸네일

[살며 생각하며] 컨트리 뮤직이 넘치는 내슈빌

음악의 도시 내슈빌(Nashville)에 다녀왔다. 평일 오후인데도 시내 투어 버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에 따라 탑승객들이 열창한다. 교차로에서 마주치는 서너 대의 다른 관광 차량에서도 노랫소리가 울려 나온다. 진기한 광경이다.   다운타운 브로드웨이에서 70여년이나 성업 중이라는 ‘혼키톤키(Honky Tonky)’라는 바(Bar)에 들어갔다. 무대에선 4인조 밴드가 연주하고 있었다. 출력 좋은 마이크 시스템으로 생음악이 건물 안을 쿵쿵 울린다. 같은 건물이라도 층마다 별도의 무대와 밴드가 연주한다. 입장료는 없고 맥주 한 병 사는 서민적인 가격으로 취향에 맞는 밴드를 찾아 생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내슈빌에 처음 간 것은 7년 전이었다. 청소년을 위한 복음송 컨트리 뮤직 전도 집회가 있었다. 대형 콘서트장인 ‘브리지스톤 아레나(Bridgestone Arena)’에서 안내를 돕는 600명 자원봉사자 중 한명이었다.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 대략 1만3000여명이 모였는데 한인 교회에서도 수백 명이 참석했다. 복음송 가수인 크리스틴 스탠드필이 이끄는 패션 밴드(Passion Band)는 모두를 열광케 했다.     친구와 유명하다는 그랜드 올 오프리(Grand Ole Opry)라는 곳을 함께 구경을 갔다. 높은 천장 유리의 큰 건물 속에 동화 속에 나오는 예쁜 쇼핑몰과 커다란 분수를 보았다. 제대로 시내 구경도 못 하고 귀가해야 했다.   다시 한번 내슈빌에 오겠다는 염원이 7년 만에 이루어졌다. 지난 10월 차를 렌트해 도시를 둘러보았다. 100주년 공원에는 1897년 박람회 때 그리스 에덴의 파르테논 실제 크기의 복제 신전이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세계에서 단 하나뿐이라고 하는데 사진이 멋있게 나온다. 내부에  42피트의 황금 여신상도 있다.     저녁 7시, 낭만적인 ‘음악 도시의 영혼 투어’라는 밤 투어 코스에 참가했다. 투어버스 안에 즐겨 듣던 음악이 퍼지자 야경을 구경하면서 자연히 따라 부르게 된다. 내가 아는 노래라고는 존 덴버의 ‘테이크 미 홈(Take Me Home)’과 ‘애니스 송(Annie’s Song)‘밖에 몰랐지만 그래도 흥겨웠다.     교회 건물로 복음 컨트리송을 많이 만든 라이먼 오디토리엄(Ryman Auditorium)을 지났다.  16가와 17가에 있는 뮤직 로우(Music Row) 지역은 역사적 음악 산실이었다. RCA, 컬럼버스 레코드 회사와 수많은 연주가를 배출한  벨몬트 대학이 보였다.     다음날 컨트리 뮤직 명예 전당 박물관에 갔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열정적인 연주 모습이 대형스크린에 보였다. 원형 홀 벽에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145명의 가수 명패가 걸려있었다. 연주가의 기타며 의상들도 전시되어 있다.     내슈빌에 도착해서 차로 켄터키의 방주와 창조박물관을 보고 그레이트 스모키공원에서 단풍 구경을 했다. 남은 2박3일로 내쉬빌을 구경하면 되겠지 생각했다. 하지만 조니 캐쉬(Johnny Cash) 박물관이나 못 본 게 많아 매우 아쉬웠다. 매력적인 도시에 다시 찾아오겠다고 다짐했다. 윤덕환 /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컨트리 내슈빌 도시 내슈빌 복음송 컨트리 뮤직 로우

2023.01.19. 17:43

[삶의 뜨락에서] 컨트리 뮤직이 넘치는 내슈빌

음악의 도시 내슈빌(Nashville)에 다녀왔다. 평일 오후인데도 시내 투어 버스에서 흘러나오는 노래에 따라 탑승객들이 열창한다. 교차로에서 마주치는 서너 대의 다른 관광 차량에서도 노랫소리가 울려 나온다. 진기한 광경이다.   다운타운 브로드웨이에서 70여년이나 성업 중이라는 ‘혼키톤키(Honky Tonky)’라는 바(Bar)에 들어갔다. 무대에선 4인조 밴드가 연주하고 있었다. 출력 좋은 마이크 시스템으로 생음악이 건물 안을 쿵쿵 울린다. 같은 건물이라도 층마다 별도의 무대와 밴드가 연주한다. 입장료는 없고 맥주 한 병 사는 서민적인 가격으로 취향에 맞는 밴드를 찾아 생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내슈빌에 처음 간 것은 7년 전이었다. 청소년을 위한 복음송 컨트리 뮤직 전도 집회가 있었다. 대형 콘서트장인 ‘브리지스톤 아레나(Bridgestone Arena)’에서 안내를 돕는 600명 자원봉사자 중 한명이었다.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 대략 1만3000여명이 모였는데 한인 교회에서도 수백 명이 참석했다. 복음송 가수인 크리스틴 스탠드필이 이끄는 패션 밴드(Passion Band)는 모두를 열광케 했다.     친구와 유명하다는 그랜드 올 오프리(Grand Ole Opry)라는 곳을 함께 구경을 갔다. 높은 천장 유리의 큰 건물 속에 동화 속에 나오는 예쁜 쇼핑몰과 커다란 분수를 보았다. 제대로 시내 구경도 못 하고 귀가해야 했다.   다시 한번 내슈빌에 오겠다는 염원이 7년 만에 이루어졌다. 지난 10월 차를 렌트해 도시를 둘러보았다. 100주년 공원에는 1897년 박람회 때 그리스 에덴의 파르테논 실제 크기의 복제 신전이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세계에서 단 하나뿐이라고 하는데 사진이 멋있게 나온다. 내부에  42피트의 황금 여신상도 있다.     저녁 7시, 낭만적인 ‘음악 도시의 영혼 투어’라는 밤 투어 코스에 참가했다. 투어버스 안에 즐겨 듣던 음악이 퍼지자 야경을 구경하면서 자연히 따라 부르게 된다. 내가 아는 노래라고는 존 덴버의 ‘테이크 미 홈(Take Me Home)’과 ‘애니스 송(Annie’s Song)‘밖에 몰랐지만 그래도 흥겨웠다.     교회 건물로 복음 컨트리송을 많이 만든 라이먼 오디토리엄(Ryman Auditorium)을 지났다.  16가와 17가에 있는 뮤직 로우(Music Row) 지역은 역사적 음악 산실이었다. RCA, 컬럼버스 레코드 회사와 수많은 연주가를 배출한  벨몬트 대학이 보였다.     다음날 컨트리 뮤직 명예 전당 박물관에 갔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열정적인 연주 모습이 대형스크린에 보였다. 원형 홀 벽에는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145명의 가수 명패가 걸려있었다. 연주가의 기타며 의상들도 전시되어 있다.     내슈빌에 도착해서 차로 켄터키의 방주와 창조박물관을 보고 그레이트 스모키공원에서 단풍 구경을 했다. 남은 2박3일로 내쉬빌을 구경하면 되겠지 생각했다. 하지만 조니 캐쉬(Johnny Cash) 박물관이나 못 본 게 많아 매우 아쉬웠다. 매력적인 도시에 다시 찾아오겠다고 다짐했다.  윤덕환 / 수필가삶의 뜨락에서 컨트리 내슈빌 도시 내슈빌 복음송 컨트리 뮤직 로우

2023.01.13. 20:3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