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일원 렌트 내년에도 급등 전망

내년에도 뉴욕 일원 렌트가 크게 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39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뛴 물가상승률이 렌트에 반영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로 뉴욕으로 돌아온 유학생·직장인이 많아져 수요도 늘었기 때문이다. 이미 뉴욕시민들이 식료품과 기름값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임대료도 당분간 안정되기 어려워 암울하다는 전망이다.   14일 더글러스 엘리먼 보고서에 따르면, 11월 맨해튼 렌트 중간가격은 3450달러로 작년 같은달(2957달러) 대비 16.7% 올랐다. 임대 할인까지 포함한 중간가격은 3369달러로 전년대비 22.8% 뛰었다. 팬데믹 초반 집주인들이 임대계약시 1~2개월 가량 렌트를 보너스로 제공했는데, 요즘은 이런 혜택도 찾아보기 어렵다.     한인 밀집 지역이자 아시안 수요가 큰 퀸즈 북서부지역 임대할인포함 중간가는 2504달러로 10.1% 상승했다. 특히 11월 신규계약 건수(369건)가 전년 동월(183건) 대비 101.6%나 늘었다. 2020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이다. 브루클린 신규계약도 1361건으로 21.3% 늘며 13년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에 같은 매물을 구하려면 가격을 높여야 집을 구할 수 있는 상황인 셈이다.   코로나19 사태로 한국으로 갔다가 최근 뉴욕으로 돌아온 한 유학생은 렌트 상승세를 체감하고 있다. 그는 “같은 매물이라도 최소 500달러 이상 더 써야 집을 구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작년 초 브루클린 베드포드 2베드룸을 월 2550달러에 구했던 한 가정은 최근 집주인으로부터 “같은 건물 다른 아파트가 3778달러에 임대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특히 스튜디오 매물이 품귀 현상”이라며 “팬데믹 이전 2500달러에 구하던 매물이 3000달러가 넘었고, 그마저도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부동산 정보업체들은 해외유입자들이 많아져 뉴욕 렌트가 계속 오를 수 있다고 봤다. 낸시 우 스트릿이지닷컴 애널리스트는 “내년 봄까지 계속 오를 것”이라며 “공급이 일정해 수요가 높으면 임대료가 뛸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레그 맥브라이드 뱅크레이트닷컴 수석 재무분석가는 “많은 임차인이 계약 갱신 때 충격을 받을 것”이라며 “물가상승률이 계속 높다면 임대료도 이를 반영해 올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렌트 급등과 재택근무 활성화로 밀레니얼 세대가 아예 집을 사는 트렌드도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일원 렌트 렌트 상승세 맨해튼 렌트 가량 렌트

2021.12.14. 17:54

뉴욕시 렌트 다시 고공행진

물가 급등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뉴욕 도심 렌트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당분간 진정되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13일 부동산 정보업체 밀러 새뮤얼·더글러스 엘리먼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맨해튼 렌트 중간값(첫 달 무료 등 할인을 포함한 실효가격)은 3382달러로 1년 전보다 18% 올랐다. 코로나19 직전 가격(3409달러)엔 소폭 못 미치지만 지난 10년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집주인이 렌트 계약시 무료로 제공하는 개월 수도 작년 2.1개월에서 1.7개월로 줄었다. 렌트 공실률도 지난 2월 11.79%에서 2.11%까지 떨어졌다.     다만 맨해튼 내에서도 렌트는 상당히 양극화한 모습이었다. 도어맨이 있는 건물 렌트 중간값은 4398달러로 전년비 18.3% 급등했지만, 도어맨이 없는 렌트는 2650달러로 3.9% 오르는 데 그쳤다. 이외에 브루클린 지역의 렌트 중간값은 2731달러로 오히려 1.2% 하락했고, 퀸즈 북서부 지역 렌트 중간값은 2612달러로 8.2% 뛰었다.     한편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이날 코로나19로 여전히 여러움을 겪는 이들을 돕기 위해 연방정부에 10억 달러 규모 추가 긴급렌트지원프로그램(ERAP) 자금을 요청했다. 뉴욕주는 이미 24억 달러 규모 ERAP 자금을 소진해 오는 14일 오후 10시부터 신규 신청 접수를 중단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고공행진 렌트 뉴욕시 렌트 렌트 중간값 렌트 공실률

2021.11.12. 20:32

샌타애나, OC 첫 ‘렌트 컨트롤’…월세 인상 폭 연 3% 제한

 샌타애나 시가 오렌지카운티 도시 중 최초로 렌트 컨트롤을 적용한다.   샌타애나 시의회는 지난 19일 회의에서 찬성 4표, 반대 3표로 렌트 컨트롤 조례안을 최종 승인했다. 투표 결과는 지난달 28일 1차 투표와 같았다.   내달 19일부터 발효될 조례에 따르면 렌트비 인상 폭은 연 3% 또는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상승분의 80% 중 적은 쪽으로 제한된다.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했을 경우엔 렌트비를 올릴 수 없게 된다.   렌트 컨트롤 조례 적용 대상은 1995년 2월 1일 이전에 건립된 건물과 1990년 1월 1일 이전 조성된 모빌홈 공원이다.   시 당국은 내달부터 매년 11월 웹사이트(santa-ana.org/renterprotections)에 렌트비 인상 상한선을 공개한다.   새 조례엔 최소 30일 이상 거주한 세입자의 경우, 건물주가 정당한 사유(just cause)에 의해서만 퇴거 권한을 행사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건물주가 세입자에게 퇴거 통지를 할 때, 렌트 계약 당시 양측이 사용한 언어를 써야 한다는 규정도 마련됐다.컨트롤 렌트 렌트비 인상 렌트 컨트롤 월세 인상

2021.10.25. 17:54

“’집구입’ 보다 ‘렌트’가 좋아요”

 워싱턴 메트로 지역이 LA, 마이애미와 함께 렌트살이하는 세입자들의 비율이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조사됐다. 내 집 구입보다는 ‘렌트’를 선호하는 멜레니얼 세대가 급증하면서, 워싱턴 지역에 ‘주택소유’보다 ‘렌트’ 비율이 높아진 것이다. 온라인 아파트정보업체 렌터카페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워싱턴 지역에서 렌트 거주자가 자가소유 주택 거주자보다 많은 지역은 버지니아 페어팩스 카운티와 메릴랜드 프린스 조지스 카운티였다. 워싱턴 한인들의 주요 거주지인 페어팩스 카운티의 경우, 아파트나 주택을 임대하는 세입자들의 비율이 자가소유 보다 훨씬 많다. 이중 2010년 당시 세입자 비율이 44%였던 메리필드의 경우, ‘모자이크 디스트릭’의 성공적 재개발 이후 2019년 현재 64%까지 늘었다. 메릴랜드 이스트 리버데일의 경우도 38%에서 56% 늘었다. 버지니아 아이들리우드, 헌팅턴, 링코니아 페어옥스의 주민들 중에도 주택이나 아파트를 렌트하는 세입자들이 대세가 됐다. 메릴랜드 로럴, 칼리지 파크, 그린벨트 지역도 사정은 같다. 부동산 전문가 더그 레슬러 씨는 “밀레니얼은 렌트를 무조건 선호한다”고 말한다. “직장의 이동이 잦고, 타주 이사에 거침없는 특성이 가장 큰 이유”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결혼한 30~40대 부부들도 정원관리나 리모델링 및 주택관리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 도심지의 고급 아파트 렌트로 눈돌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대적인 노후 아파트들의 리모델링과 최고급 아파트들의 건설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메릴랜드 베데스다 지역과 버지니아 그로브턴, 알링턴 지역의 경우, 세입자들의 비율이 조만간 주택소유자들의 그것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워싱턴 지역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수입으로 주택 평균 가격이 55만 달러인 주택을 구입할 여력이 부족한 현실적인 원인도 있다. 자료에 따르면 45세 미만의 워싱턴 지역 세입자 평균 연수입은 5만달러다. 고임금 밀레니얼 세대가 집중된 북버지니아의 경우, 메리필드 지역 렌트 세입자들의 연평균 수입은 9만8,000달러로 전국 평균의 두 배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돈이 없어서 월세살이를 한다는 소리는 옛 말”이라면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인한 렌트 세입자들의 숫자는 앞으로도 고공행진 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김현수 기자

2021.10.15. 18:0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