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로즈힐 묘지

누구나 서있는 자리가 있지 서로를 바라보다 떠나게 되는 자리가 있지 누군가의 자리로 걸어오는 저녁 깃털의 날림같이 공기를 밟고 오네   잎사귀 위 흐르는 푸른 핏줄 따라 가지마다 꾹꾹 찍어 쓴 편지 채우지 못한 빈자리를 남겨두고 서둘러 떠날 차비를 하고 있었지   호흡은 거칠었지만 향기로와서 저녁 햇살 되어 녹아져 오네 벽 하나 사이 아픈 소리가 되어 오네   손을 스치는 들풀의 이야기 소리내 우는 강 너의 자리에 서면 들리는 노래 물방울처럼 모아지는 그 깊은 울음을 누가 알아차릴 수 있었을까   누구나 누운자리가 하나 있지 서로를 부르다 사라지는 자리가 있지 비껴간 그림자는 허공에 달려 저녁이 되면 로즈힐 묘지로 오네 마음 한 구석 걸친 노을마져 떠나간 누이의 뒷 모습 같아서   저녁 노을이 곱게 물든 Ross Hill 묘지에는 정겨운 묘비 세걔가 있다. 시카고에서 10년 전 이곳에 먼져 누우신 어머니의 작은 묘가 있고 그 오른쪽으로 한국 선산에서 이장해온 아버지의 묘가 있다. 그 옆에 또 하나의 묘는 큰 누이의 묘이다. 누이의 묘는 가장 늦게 한국의 교회묘지에서 이장되어 이곳에 안치되었다. 세개의 작은 묘비가 나란이 새소리에 잠을 깨고 한낮의 햇살에 일광욕을 하고 어쩌면 서로의 안부를 묻는 옆자리의 정다운 하루를 맞이하고 있으리라. 배고픔도 잊은채 바람에 눕는 풀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꽃봉오리의 개화를 조용히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곳에 들릴 때마다 마음이 참 좋다. 한꺼번에 보고싶은 부모님과 큰누이까지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오늘은 큰누이 묘 앞에서 오래 서 있었다. 누이 얼굴이 바람결에 정겹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자꾸 쓰러지셨다. 그때 누이는 고등학생 3학년이었지만 스스로 대학 진학을 포기하셨다. 약한 어머니를 도와야 했다. 아래로 여동생 셋과 남동생 하나를 위해 생활 전선으로 뛰어들어야 하는 중압감에 잠못 이루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서울대 문리대 교수로 재직중 2대 국회 도서관장으로 발탁되셨다. 청렴결백 하셨던 성품의 아버지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돈을 사과궤짝 밑바닥에 넣어 청탁 온 사람을 꾸짖어 돌려보냈다 하셨다. 물질에 관심이 없으셨기에 모아둔 돈도 없었고 그저 집 한채 남겨 놓으신 게 다였다. 큰누이는 대전역전에 큰 병원을 운영하시는 큰아버지에게 대학 진학을 상의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도와줄 수 없다는 냉냉한 반응이었다. 누이는 정신적으로 큰 상처를 받게되었다. 큰 용기를 내어 찿아간 마지막 희망이 좌절되었다. 누이를 다독여주고 위로해줄 사람은 없었다. 누이는 힘든 세상에 홀로 내몰려 끝내 피지못하고 스스로 꺾여진 꽃봉오리가 되었다.   나는 이런 생각을 종종 했다. 내가 조금만 더 나이를 먹어 그 때 누이의 마음을 알았더라면 누이의 소매를 붙잡고서라도 막았을 것이라고. 대전 큰 아버지를 찿아가 눈물로 호소했을 것이라고. 이제 환하게 피어날 나이에 아버지의 부재로 한 가정의 무거운 짐을 안고 힘든 나날을 보냈으리라. 어느날 짧은 편지 한통을 남기고 스스로 꽃대를 꺾어버리고 말았다. 그 짐이 얼마나 무거웠을까. 얼마나 쓸쓸했을까. 오랜 시간이 흘렀다. 이제 나는 초등학생이 아닌 노년이 되어 스무살 누이를 마주하고 있다. 누이는 내 마음을 알기라도 한 듯 바람에 풀잎을 흔들었다.누이는 아마 힘들고 어려운 사람들의 처진 어깨를 따뜻이 안아줄 천사가 되었을 것이다. 누이의 묘위에 걸친 노을이 천사의 큰 날개가 되어 내게로 온다. (시인, 화가)   신호철신호철 로즈힐 로즈힐 묘지 아버지 이야기 누이 얼굴

2025.07.28. 14:16

썸네일

로즈힐 묘지 관리부실…삽으로 파서 묘비찾아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위티어 로즈힐 공원묘지 내 일부 묘소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NBC4 뉴스는 로즈힐 공원묘지에 가족을 안장한 주민들 제보를 바탕으로 일부 묘소, 묘비가 흙과 잔디에 덮인 채 방치됐다고 보도했다.   실제 로즈힐 공원묘지 일부 구역 묘소는 묘비가 보이지 않은 채 잔디로 뒤덮인 모습이다. 성묘를 온 일부 주민은 가족의 묘소를 찾지 못해 망연자실한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가족의 묫자리 위치를 어렵사리 찾아내 1~2인치 깊이를 파고 나서야 흙과 잔디에 가려졌던 묘비명을 찾았다.   지난봄 삼촌의 묘소를 찾았던 조 스키비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수백여 묘소가 있던 자리가 잔디로 뒤덮였고 어디에 묘비가 있는지 찾지 못했다”면서 “이렇게 방치한 것은 정말 역겨운 일”이라고 분개했다.   로즈힐 공원묘지 내 무슬림 묘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야사민 파르하드는 할아버지 묘소를 찾았다가 어디가 어딘지 분간할 수 없었고, 직접 삽으로 땅을 파고 나서야 묘비를 찾았다고 한다.   파르하드는 “이곳에 묻힌 분들은 존중받아야 하는 삶을 사신 분들”이라며 로즈힐 공원묘지 측의 부실관리 행태를 지적했다.   NBC4 뉴스팀은 제보 후 금속탐지기 등을 동원하고 삽으로 잔디를 파내고 나서야 덮인 묘비를 찾았다고 전했다.   뉴스팀은 전국 최대 공원묘지 업체인 서비스 코퍼레이션 인터내셔널(SCI)에서 이 같은 문제는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19년 SCI가 소유한 웨스트우드 피어스브라더스 공원묘지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 바 있다.   한편 23일 로즈힐 공원묘지 측 한 한인 직원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한인은 주로 중앙(main) 공원 묘역에 안치돼 있다”면서 “이번에 문제가 발생한 곳은 게이트 9 구역이지만 묘소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오래된 묘소의 묘비가 잔디 등에 덮여서 안 보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직원은 이어 “공원묘지 측은 일주일에 한 번씩 잔디를 깎고 있다. 만약 자라난 잔디로 묘비가 안 보일 경우 서비스센터에 관리 요청을 하면 2주 안에 조처한다”고 덧붙였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공원묘지 로즈힐 로즈힐 공원묘지 공원묘지 측은 위티어 로즈힐

2024.10.23. 20:3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