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엔진 고장 가능성 이유…당국, 혼다·아큐라 조사

안전 당국이 혼다 차량의 엔진 고장 가능성을 이유로 대규모 조사에 착수했다.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지난 11일 웹사이트를 통해 3.5L V6 엔진이 장착된 차량의 커넥팅로드 베어링에 문제가 발생해 엔진이 완전히 고장 날 수 있다며 혼다 및 아큐라 차량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고 CNN이 보도했다.   조사 대상은 2016~2020년형 혼다 파일럿(사진)과아큐라 MDX, 2018~2020년형 혼다 오디세이와 아큐라 TLX, 2017~2019년형 혼다 리지라인으로 최대 140만대에 달한다.   커넥팅로드는 피스톤을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하고 수직 운동을 변환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혼다는 이와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11월 25만여대를 리콜한 바 있다.   혼다측에 따르면 해당 베어링 문제와 관련해 부상자는 없었으며 딜러에서 1450건의 워런티 수리가 진행돼 필요할 경우 엔진 수리 또는 교체가 제공됐다.   NHTSA의 이번 조사는 리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차량 소유주로부터 커넥팅로드 베어링 고장으로 충돌 사고 1건 등 불만이 173건 접수됨에 따라 리콜되지 않은 차들의 문제 심각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혼다는 NHTSA의 이번 조사에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박낙희 기자엔진 엔진 고장 혼다 차량 리콜 NHTSA 아큐라 혼다 Auto News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2024.11.12. 21:36

썸네일

복스왜건, 11만4500대 리콜 다카타 에어백 탑재된 차량

복스왜건이 에어백 인플레이터 문제로 11만4500대에 이르는 비틀과 파사트 모델에 대한 리콜 조치를 단행한다.     리콜 대상 차량은 2017~2019년형 비틀, 2012~2014년형 파사트, 2017년형 파사트 왜건, 2006년형과 2007년형 파사트 세단이다. 복스왜건 측은 “높은 습도와 기온에 장기간 노출되면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폭발할 수 있다”고 리콜의 이유를 밝혔다.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에어백 인플레이터 폭발로 날카로운 금속 파편이 튀면서 운전자나 다른 탑승자에게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에 리콜대상이 된 복스왜건의 차들은 모두 다카타 에어백이 탑재된 것으로 드러났다. 업체 측은 “아직 에어백과 관련해 피해 사례는 보고 되지 않았지만, 안전에 대한 최선의 조처를 하기 위해서 리콜을 시행한다”고 전했다. 조원희 기자에어백 리콜 에어백 인플레이터 리콜 조치 리콜 대상

2024.11.11. 17:00

영원한 맞수 현대차-기아 맞대결 승자는…

  미국 시장서 경쟁 브랜드로 영원한 맞수인 현대차와 기아의 신뢰도를 비교 평가한 결과가 발표돼 화제다.   자동차전문매체 카버즈가 최근 JD파워 브랜드/모델별 신뢰도 순위를 비롯해 리페어팰과카엣지의 유지 비용, 카컴플레인의 소비자 불만건수,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리콜 이력 등을 토대로 현대차와 기아의 신뢰도 맞대결을 펼친 것.   우선 JD 파워 신뢰도 평가에서 양 브랜드의 최우수 모델 3개씩을 선정해 최근 5년간 모델별 신뢰도 점수를 집계해 평균을 산출한 결과 기아 포르테가 100점 만점에 86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 싼타크루즈와 기아 스포티지가 각각 85점, 현대 투싼과 기아 K5가 각각 83점, 현대 엘란트라 81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21~2025년형 브랜드별 상위 3개 모델의 품질 및 신뢰도 평가 평균 점수는 기아가 85점으로 83점에 그친 현대차에 2점 앞섰다.   평균 연간 유지 관리 비용 비교에서는 현대차가 468달러로 기아 474달러보다 6달러 저렴했으며 10년간 비용에서도 현대차가 7167달러로 기아 7254달러보다 87달러 낮은 것으로 나타나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장 비싼 일반 수리를 살펴보면 현대차는 휠교체(724~735달러), 백업경고시스템 센서 교체(562~592달러), 시동모터 교체(208~564달러)였으며 기아는 라디에이터팬 어셈블리 교체(589~626달러), 휠허브 어셈블리 교체(416~450달러), 라디에이터 호스 교체(398~407달러)다.   카컴플레인에 보고된 소비자 불만이 가장 많은 모델은 현대차에서는 2011, 2013, 2015년형 쏘나타로 엔진 고장(2011년형) 및 과도한 오일 소모(2015년형) 등이 문제였다.   기아는 구형 쏘렌토가 문제가 많았는데 특히 2013~2016년형의 경우 역시 10만 마일 직전 엔진 고장이 최악으로 전해졌다.   리콜 건수에서는 두 브랜드 합계 448건 가운데 현대 263건, 기아 185건으로 현대차가 17.4% 더 많았다.   카버즈는 현대차가 유지비에서 기아보다 약간 저렴하지만 품질 및 신뢰도 평가와 리콜 항목에서는 기아가 현대차에 앞선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는 기아가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두 브랜드 모두 JD파워 평가에서 톱 10에 선정됐고 신뢰도와 수리비용이 업계 전체에서 우수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차 맞대결 신뢰도 맞대결 기아 맞수 경쟁 한국차 NHTSA 리콜 Auto News

2024.11.10. 18:57

썸네일

BMW, X1·X3·X5 등 72만대 리콜…전기 워터 펌프 화재 위험

  전기 워터 펌프 결함에 따른 화재 위험으로 BMW가 차량  72만 대 이상을 리콜했다.   연방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전기 워터 펌프의 플러그 연결부가 제대로 밀봉 처리되지 않아서 누전 또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며 지난 20일 리콜 사유를 공개했다. BMW는 관련 고객 불만 18건을 접수했으며, 사고 및 부상 보고는 받지 않았다고 전했다. 해당 모델은 2012~2015년형 X1· 2013~2017년형 X3(사진)·2016~2018년형 X5 등을 포함한 총 72만796대다.   차량 소유주는 가까운 딜러를 방문하면 전기 워터 펌프와 플러그 연결부 점검 및 교체, 별도의 보호장치 설치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업체는 10월 4일부터 소유주에게 관련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전화(800-525-7417) 또는 NHTSA 웹사이트(nhtsa.gov/) 방문 후 리콜번호(24V-608)를 기입하면 확인할 수 있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전기 전기 워터 리콜 사유 화재 위험

2024.08.21. 19:49

썸네일

냉동치킨 16만 파운드 리콜…퍼듀푸드, 쇳줄 포함 가능성

치킨냉동 제품에서 쇠줄(metal wire)이 발견돼 식품업체 퍼듀푸드가 16만 파운드의  치킨 너깃과 텐더를 리콜했다.   연방 농무부 산하 식품안전검사국(FSIS)은 쇠줄이 제품에서 발견됐다는 불만 신고를 받고 퍼듀푸드에 알렸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리콜 대상은 생산일자가 3월 23일인 냉동 치킨너깃과 텐더 제품이다. 22온스 글루텐 프리 치킨브레스트 너깃·29온스 치킨 브레스트 텐더·22온스 부처박스 치킨 브레스트 너깃 등이 포함됐다. 유통기한은 2025년 3월 23일이며, 포장지 뒷면에 적힌 제조번호 ‘P-33944’를 확인하면 된다.   FSIS는 해당 제품을 즉시 폐기하거나 반품하라고 권고했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냉동치킨 리콜 치킨냉동 제품 냉동 치킨너깃 리콜 대상

2024.08.19. 19:23

보어스헤드 육류 리콜…700만 파운드로 확대

최근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햄 등 20만 파운드를 회수조치〈중앙경제 7월 30일자 3면〉를 결정했던 보어스헤드가 700만 파운드로 리콜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달 30일 연방 농무부(USDA)에 따르면, 보어스헤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인해 델리 및 가금류 품목 700만 파운드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지난달 25일 발표했던 20만7528파운드 제품에 대한 확대 조치다.     리콜 대상 품목에는 버지니아 햄(사진), 올리브 로프, 올 내추럴 트래디셔널 햄, 스모크마스터 비치우드 스모크드 블랙 포레스트 햄, 스킨리스 비프 프랭크, 로즈마리 선드라이 토마토 햄 등이 포함됐다. 제조번호는 ‘EST. 12612’, ‘P-12612’이다. 올해 5월 10일부터 7월 29일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유통기한은 7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13개 주에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입원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유산, 조산, 신생아 감염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USDA는 리스테리아균은 냉장·냉동 상태에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리콜 제품을 보관했던 냉장고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리콜 대상 제품을 발견하면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800-352-6277)해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보아스 헤드, 육류제품 리콜…리스테리아균 감염 우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육류 리콜 육류 리콜 리콜 제품 리콜 규모

2024.08.01. 21:34

썸네일

보어스헤드 육류 리콜...700만 파운드로 확대

최근 리스테리아균 오염 우려로 햄 등 20만 파운드를 회수조치〈7월 30일자 중앙경제 3면〉를 결정했던 보어스헤드가 700만 파운드로 리콜 규모를 확대했다.     지난달 30일 연방 농무부(USDA)에 따르면, 보어스헤드가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으로 인해 델리 및 가금류 품목 700만 파운드를 추가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지난달 25일 발표했던 20만7528파운드 제품에 대한 확대 조치다.     리콜 대상 품목에는 버지니아 햄, 올리브 로프, 올 내추럴 트래디셔널 햄, 스모크마스터 비치우드 스모크드 블랙 포레스트 햄, 스킨리스 비프 프랭크, 로즈마리 선드라이 토마토 햄 등이 포함됐다. 제조번호는 'EST. 12612', 'P-12612'이다. 올해 5월 10일부터 7월 29일 사이에 생산된 제품으로, 유통기한은 7월 29일부터 10월 17일까지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13개 주에서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으로 인해 2명이 사망하고 34명이 입원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리스테리아균에 감염되면 근육통, 구토, 설사, 두통,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유산, 조산, 신생아 감염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USDA는 리스테리아균은 냉장·냉동 상태에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리콜 제품을 보관했던 냉장고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리콜 대상 제품을 발견하면 섭취하지 말고 구매처에 반품하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업체 전화(800-352-6277)해 문의하면 된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확대 리콜 확대리스테리아균 리콜 제품 리콜 규모

2024.07.31. 15:32

썸네일

비셀 스팀청소기 330여만대 리콜...사용중 열수 분사·가열 위험

  진공청소기 제조업체 비셀이 330만 대가 넘는 진공청소기를 리콜한다. 지난 18일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진공청소기 사용 중 제품이 고온의 물을 분사하거나 가열될 수 있다”고 밝혔다.   스팀 샷 핸드헬드 스팀 클리너스(사진) 중 39N7과 2994 모델이 리콜 대상에 해당한다. 제품 측면엔 ‘STEAM HOT’ 또는 ‘POWER STEAMER’라고 적혀있다.   CPSC는 183건의 관련 불만을 접수했다고 밝혔으며 이 가운데 150건 이상이 화상 관련 부상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업체는 해당 제품의 사용을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소비자는 60달러의 크레딧 적립 또는 40달러 환불을 선택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www.bissell.com) 또는 전화(855-417-7001)로 알아볼 수 있다. 서재선 기자스팀청소기 리콜 진공청소기 제조업체 리콜 대상 진공청소기 사용

2024.07.19. 17:43

썸네일

[자동차 리콜 2제] BMW 3…에어백 폭발 위험·지프…안전벨트 센서 오류

BMW 3…에어백 폭발 위험     독일 자동차 업체 BMW가 에어백 결함으로 차량 39만대 이상을 리콜한다고 로이터 통신이 1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에어백을 부풀게 하는 장치인 인플레이터 폭발 가능성을 리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NHTSA는 인플레이터가 폭발할 경우 금속 파편이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튀어 사망 또는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상 차량은 특정 2006~2012년형 BMW 3 시리즈(사진)와 스포츠 왜건이다.   해당 에어백을 공급한 업체는 품질 결함으로 연이은 리콜사태에 휩싸이며 2017년 파산을 신청한 일본의 다카다로 드러났다. 2009년 이후 다카다가 생산한 에어백 관련 미국에서만 26명이 사망했으며, 수백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     지프…안전벨트 센서 오류     스텔란티스가 안전벨트 센서 결함으로 차량 33만2000여대에 대한 리콜을 실시한다.   9일 스텔란티스는 전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전달한 서한을 통해 “안전벨트 센서의 연결 결함으로 차량 앞 좌석의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월 26일 기준 센서 결함 관련 578건의 신고를 접수했다고 스텔란티스 측은 전했다.   해당 모델은 2017~2024년형 알파 로메오 줄리아·2018~2025년형 알파 로메오 스텔비오·2024년형 피아트 500E·2019~2023년형 피아트 500X·2019~2023년형 지프 레니게이드(사진)다.     해당 차량 소유주들은 8월 22일까지 리콜 관련 서한을 받게 되며, 이미 수리를 마친 경우에는 비용 청구 영수증을 스텔란티스 측에 보내면 환불받을 수 있다.  서재선 기자 [email protected]자동차 리콜 자동차 리콜 자동차 업체 에어백 인플레이터

2024.07.10. 18:47

썸네일

[리콜] 코스트코 휴대용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에

코스트코가 휴대용 보조배터리 56만7000개를 리콜했다.     20일 업체에 따르면, 충전 중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으로 보조배터리 ‘마이차저 파워업 올인원’(사진)을 회수조치한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의 모델 번호는 AO10FK-A, AO10FK-B, AO10FK-C이며 2022년 1월~ 2023년 11월까지 코스트코 매장과 온라인에서 40달러에 판매됐다.   최근, 이 제품 사용과 관련해 과열로 인한 주택 화재 2건을 포함한 총 5건의 관련 사고가 보고됐다. 또한, 제품에서 연기가 나거나 스파크가 발생한다는 소비자들의 불만도 115건에 달했다.     코스트코는 해당 제품의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마이차저’에 연락(888-251-2026)해 교환하라고 권했다.     정하은 기자리콜 코스트코 휴대용 코스트코 휴대용 휴대용 보조배터리 코스트코 매장

2024.06.23. 19:00

썸네일

[리콜] 그랜드하이랜더·렉서스 커튼 에어백 작동 이상 탓

도요타자동차는 에어백 문제로 그랜드하이랜더 및 렉서스 TX 등 2개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2024년형 모델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한다고 20일 밝혔다.   도요타는 “운전석 창문이 내려가 있는 경우 측면 커튼 에어백이 의도대로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며 리콜 사유를 설명했다.   이번 리콜이 적용되는 국내 차종은 총 14만5000대이며 현재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개발 중이라고 도요타 측은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해당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도요타가 2개 차종의 생산 및 인도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랜드하이랜더와 렉서스 TX는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된 대형 SUV다.리콜 그랜드하이랜더 렉서스 렉서스 커튼 에어백 문제 렉서스 tx

2024.06.23. 19:00

썸네일

제네시스 3만1440대 리콜…연료펌프 문제로 동력 상실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가 주행 중 동력 상실 가능성으로 4개 모델에 대해 리콜을 단행했다.   컨수머리포트는 제네시스의 2022~23년형 GV70, GV80, G80(사진), G90이 연료펌프 문제로 인해 주행 중 동력을 잃게 될 수 있다며 3만1440대를 리콜된다고 24일 보도했다.   제네시스는 지난해 9월에도 동일 문제로 1만9000대를 리콜한 바 있다.   제네시스가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제출한 문서(리콜번호 24V282)에 따르면 이 문제와 관련해 463건의 불만 신고가 접수됐으며 인명피해, 사고, 화재 등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증상으로는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비정상적인 엔진 작동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딜러에서 해당 연료펌프를 무상으로 교체 받을 수 있다.   리콜 해당 여부는 고객서비스센터(855-371-9460)나 웹사이트(nhtsa.gov)에서 차량고유넘버(VIN)로 확인할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제네시스 연료펌프 연료펌프 문제 동력 상실 해당 연료펌프 Auto News 리콜

2024.04.26. 0:43

썸네일

현대 리콜차 수백만대 ‘위험 주행’…화재 가능성에 340만대 리콜

화재 위험으로 리콜된 현대, 기아 자동차 수백만대가 적절한 수리 없이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기아가 지난해 9월 화재 발생 위험으로 전국서 340만대를 리콜했지만 6개월이 지났어도 다수의 미수리 차들이 도로에 남아 있어 소유자, 가족, 타인들을 차고, 주택, 차량으로 번질 수 있는 화재 위험에 빠뜨린다고 abc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매체는 현대와 기아 모두 브랜드 최대 규모의 리콜로 오는 6월 또는 이후까지 대부분의 리콜차에 대한 수리를 끝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덧붙였다.   양사는 문제의 화재는 브레이크 오일이 잠김방지제동시스템(ABS)의 회로 기판으로 흘러 전기 합선을 유발하고 오일에 불이 붙으면서 발생한다며 리콜 차량을 수리하는 데 필요한 기판의 전류를 줄이는 퓨즈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리콜 모델은 2010~2017년형 현대 싼타페, 엘란트라와 기아 스포티지, 포르테 등으로 양사에 따르면 연소, 용해, 연기 등 56건의 차량 화재가 발생했으며 현재까지 부상이나 사망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콜 차량 차주에게 가능한 옥외, 건물서 떨어진 곳에 주차할 것을 권고한 양사는  대시보드 경고등이나 타는 냄새가 나면 회사 또는 딜러에 연락할 것을 촉구하면서 지속적인 위험에도 불구하고 차량은 여전히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비영리단체인 자동차안전센터(CAS) 등은 일반적으로 리콜 후 10주 이내에 수리가 시작되는데 비해 양사 리콜은 수리가 더 오래 걸리고 있다며 브레이크오일이 너무 많이 유출될 경우 제동력이 저하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부품인 퓨즈를 확보하는데 왜 그렇게 시간이 오래 걸리는지 의문이며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왜 누액을 수리하도록 강제하지 않는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CAS의 마이클 브룩스 수석 디렉터는 “양사가 이번 리콜에 일회용 반창고(Band-Aid) 처방을 하고 있다. 전체 ABS를 수리하는 대신 값싼 수리 같아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양사는 성명을 통해 리콜차를 수리하기 위해 새 커버와 라벨이 있는 복잡한 퓨즈 어셈블리가 필요하다며 차량당 퓨즈 한 개가 추가되지만, 모델별로 여러 종류의 새 퓨즈를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선적으로 품질이 보장된 퓨즈 확보를 위해 다수의 공급업체와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NHTSA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이후 500여명 이상의 리콜차 소유주들이 수리에 불합리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양사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으며 수리를 기다리는 동안 적어도 5건의 엔진 화재가 보고됐다.   브룩스 CAS 수석 디렉터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음에도 주행하기 안전하다고 차주들을 안심시키는 양사가 무책임하다면서 “경고등이나 연기가 날 경우 소비자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화재 상황이 많다. 화재 발생 시 차에서 탈출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다. 모든 차주는 양사로부터 렌터카를 제공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는 지난해 리콜 차량 차주에게 렌터카를 제공할 것을 각 딜러에 지시했으며 기아도 렌터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글·사진=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리콜차 차량 화재 리콜 차량 현대차 기아 NHTSA 리콜 리콜수리 화재 Auto News

2024.04.03. 19:45

썸네일

판매 4위 한국차 리콜은 3위, 품질·안전 괜찮나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으로 판매량 4위에 올랐음에도 리콜횟수 3위를 기록했던 한국차가 올해도 리콜이 이어지고 있어 품질, 안전 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다.   각 언론매체가 보도한 올해 한국차 리콜 기사를 분석한 결과 1월 10만1000대, 2월 9만6143대, 3월(21일까지) 39만7168대로 올해 총 59만4311대가 리콜됐다.   참고로 지난해 한국차 리콜횟수는 총 41회로 총 573만8757대(동일모델 중복 리콜 누적 포함)가 리콜돼 포드, 스텔란티스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지난해 판매량 2위를 기록한 도요타는 리콜 횟수가 14회, 224만8477대에 그쳐 한국차가 리콜 횟수는 193%, 리콜 대수는 155%가 더 많았다.   이에 현대차 그룹 정의선 회장은 올해 초 신년 모임에서 품질 개선을 강조하고 베테랑 차량안전 전문가를 사장으로 승진시키는 등 품질 향상에 전력하고 있다. 이같은 전사적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올해 리콜된 한국차들의 결함 사유를 살펴보면 화재, 동력 상실,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안전과 직결된 리콜들이 전체의 75%에 달했다.   21일 주요 매체에 따르면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현대 아이오닉 5와 6, 기아 EV6, 제네시스 GV60, GV70EV, G80EV 등 14만7110대를 리콜한다고 밝혔다. 리콜 사유는 각 전기차 모델의 통합충전제어장치(ICCU) 손상으로 12V 배터리 충전이 중단될 수 있어 구동 동력 손실에 따른 충돌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에는 오일 누출로 인해 엔진룸 화재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이유로 제네시스 세단 모델인 G70, G80, G90 2만8439대가 리콜됐으며 지난달에도 제네시스와 현대 구형 모델 9만907대가 합선으로 엔진룸 화재 위험이 있어 리콜됐다.   지난해 9월에는 현대, 제네시스 164만대, 기아 173만대 등 총 337만대 소유주를 대상으로 주행 중이나 주차 중에 화재 발생 위험이 있다며 옥외 주차가 권고되기도 했다. 이유는 브레이크오일 누출로 인한 전기단락으로 엔진룸 화재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차의 안전 관련 리콜이 늘고 있는 것에 대해 업계에서는 전동화에 박차를 가하면서 전자계통이 복잡해지고 부품수도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소비자보호 비영리단체 컨수머리포트는 NHTSA의 데이터를 인용해 지난 2010년 이후 현대·기아차 3100대 이상에 화재 발생이 보고됐으며 1명이 사망하고 103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최근 보도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특정 엔진의 커넥팅로드 결함에 따른 엔진 손상으로 인해 오일이 누출되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ABS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누액 또는 전기 단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부품 결함을 비롯해 회로기판 결함, 누수로 인한 차량 합선 등도 화재 유발 원인으로 지목됐다.   자동차안전센터(CAS)의 마이클 브룩스는 “이 같은 문제 중 일부는 제대로 테스트 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부품공급업체의 제조상 실수 등과 관련 있다. 이는 현장에서 적절한 품질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보유 차량뿐만 아니라 중고차 구매 시에도 차량 고유번호(VIN)로 NHTSA 웹사이트(nhtsa.gov/recalls)를 통해 리콜 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한국차 리콜 리콜횟수 3위 리콜 횟수 리콜 사유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전기차 화재 충돌 품질 안전 Auto News EV BEV HEV PHEV

2024.03.21. 20:51

썸네일

[사설] 현대차 잦은 리콜 신뢰도 낮춘다

현대차그룹이 리콜 건수 2년 연속 상위권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연방도로교통안전국(NHTSA)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리콜은 총 41회로 포드(58회), 스텔란티스(45회)에 이어 3번째로 많았다. 리콜 대상 차량도 573만8757대(동일차종 중복 리콜 누적)에 달했다. 그나마 2022년의 리콜 건수 2위에 비해서는 조금 나아진 것이지만 여전히 부끄러운 성적표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미국시장에서 사상 최대 판매 실적을 올렸다. 총 165만여대를 판매해 GM,도요타 등에 이어 4위에 올랐다. 그러나 리콜 횟수는 판매량이 훨씬 많은 GM(25회), 도요타(14회)를 앞지른다. 현대차그룹의 잦은 리콜은 최근 5년간 기록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 기간 연평균 리콜 횟수는 33회로 GM(31.8회), 도요타(12.8회) 보다 많다.   자동차 리콜은 제작상의 결함을 의미한다.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시된 것이다. 대부분 수리 가능한 결함이긴 하지만 자동차 제조사에 대한 신뢰도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리콜은 대상 차량 소유주에게는 많은 불편을 끼치는 일이다. 리콜 관련 수리는 딜러에서 무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또 자칫 리콜 사실을 모르거나 잊고 있다 판매 시 낭패를 보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판매 호조에도 자주 논란에 휩싸였다. 일부 엔진 모델의 화재 위험성이 문제가 됐는가 하면 , 도난 방지 장치 부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잦은 도난 문제로 집단소송을 당해 소유주들과는 2억 달러 보상에 합의했지만 주 정부들이 제기한 소송 문제도 남아 있다.   만약 올해도 리콜 사태가 이어진다면 현대·기아차는 판매 확대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완벽 출시’를 위한 품질 개선과 함께 떨어진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사설 현대차 리콜 자동차 리콜 리콜 횟수 리콜 건수

2024.03.06. 18:28

‘리콜 3위’ 현대차…과제는 ‘품질 개선’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최고 실적을 내며 판매량 4위를 차지했지만, 리콜 명령 횟수도 상위권에 올랐다. 2022년 북미 자동차 그룹 중 리콜 횟수 전체 2위에 오른 데 이어 지난해에도 3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규모가 더 큰 도요타·제너럴모터스(GM)보다 리콜 횟수가 1.6~3배 많았다. 지난달에도 교통당국이 제네시스의 엔진에 화재 위험이 있다며 9만대의 리콜 명령을 내려, 현대차그룹의 ‘품질 문제’에 다시 관심이 쏠린 상황이다.     3일 연방도로교통안전국(NHTSA)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리콜 명령 횟수는 총 41회로, 573만8757대(동일차종 중복 리콜 누적)가 리콜 대상으로 집계됐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전기시스템 결함이 6회로 가장 많았으며, 차체구조·유압식 브레이크·파워트레인·가솔린 연료시스템·에어백 결함이 각 4회 등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리콜 명령을 가장 많이 받은 자동차 회사는 포드(58회, 대상 차량 615만2738대)였고, 스텔란티스(45회, 273만2398대)가 뒤를 이었다. 포드와 스텔란티스는 각각 파워트레인(9회)과 전기시스템(13회) 문제가 많았다.     차량 판매 상위 그룹과 비교해보면 어떨까.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국내에서 165만2821대의 완성차를 판매해 4위에 올랐다. 판매량 1위 GM(259만4698대)의 지난해 리콜 횟수는 25회, 2위 도요타(224만8477대)는 14회에 그쳐 현대차(41회)보다 적었다. 도요타 차주가 차를 한번 고칠 때 현대차·기아의 차주는 세 번 고쳐야 하는 셈이다.     최근 5년 기준으로도 현대차·기아의 리콜 횟수는 평균 33회로, 도요타(12.8회)·GM(31.8회)보다 많았다. 이 기간동안 현대차·기아의 결함 원인은 전기시스템→유압식브레이크 순으로 많았고, GM과 도요타는 에어백→전기시스템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시스템은 엔진·변속기 등 다양한 차량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핵심 시스템이다.     현대차그룹 차량 리콜이 2022년 국내에서 급증한 이유도 그 일종인 전자제어유압장치(HECU)에 화재위험이 지적됐기 때문이다. HECU는 잠김방지제동장치(ABS)·차체자세제어장치(ESC)·구동력제어장치(TCS) 등을 통합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문제가 생길 경우 차량 제동이 안 돼 위험해진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최근 전자제어장치(ECU) 등에 대한 리콜이 많은데, 과거보다 차량의 전자 계통이 복잡해졌고 제조사가 새로운 기술·부품, 소프트웨어(SW)를 접목한 신차가 늘어난 영향이 있다”며 “전동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차량 시스템 지능화로  전기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현대차·기아가 품질 경쟁력을 높이려면 이 분야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CNBC는 지난달 29일 현대차그룹의 성장스토리에 주목하면서도 “미국에서 2020년 현대차·기아를 타깃으로 한 차량 절도가 유행하며 도난문제가 급증했고, 화재위험이 있는 차량 330만대를 리콜하는 등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짚기도 했다.   북미에서 상승세를 탄 현대차그룹도 ‘품질 향상’에 사활을 걸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올해 초 신년회에서 “품질은 타협이 있을 수 없다”고 콕 찝어 개선을 주문했다.현대차 리콜 리콜 횟수 리콜 명령 전기시스템 결함

2024.03.04. 20:14

썸네일

혼다 에어백 오작동 75만대 리콜

에어백 안전 이슈로 혼다 및 아큐라의 승용차, SUV, 밴 등 75만여대가 리콜된다.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혼다가 일부 자사 차량의 조수석 센서 결함으로 충돌 시 의도치 않게 에어백이 팽창해 체구가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며 해당 부품 교체를 위해 75만114대를 리콜한다고 밝혔다.   NHTSA가 5일 공개한 리콜 문서에 따르면 조수석의 무게 센서가 깨지거나 단락돼 에어백이 의도대로 제어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리콜되는 16개 모델은 혼다의 2020~2022년형 파일럿(사진), 어코드, 시빅 세단, HR-V 및 오디세이, 2020년형 피트 및 시빅 쿠페, 2021~2022년형 시빅 해치백, 2021년형 시빅 타입 R 및 인사이트, 2020~2021년형 CR-V, CR-V 하이브리드, 패스포트, 리지라인 및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아큐라의 2020년형과 2022년형 MDX, 2020~2022년형 RDX, 2020~2021년형 TLX 등이다 .   이번 리콜과 관련해 지난 2020년 6월 30일부터 지난달 19일까지 3800건 이상의 워런티 클레임이 혼다에 접수됐으며 부상이나 사망 보고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혼다는 리콜 차량의 결함 센서를 각 딜러에서 무료로 교체해 주며 내달 18일부터 리콜 차량 소유주들에게 서면 통보를 발송할 예정이다.     리콜 대상 여부는 NHTSA 웹사이트(nhtsa.gov/recalls)에서 17자리 차량식별번호(VIN)로 확인할 수 있다.   혼다 리콜 번호는 XHP, VHQ며 문의는 전화(888-234-2138)로 하면 된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에어백 혼다 혼다 리콜 혼다 에어백 리콜 차량 아큐라 리콜 Auto News

2024.02.06. 18:30

썸네일

리콜된 과일 퓨레에서 유해 금속 크롬도 검출

납 검출로 리콜된 아동용 과일 퓨레에서 또다른 유해한 중금속인 크롬이 검출됐다.     지난 5일 연방식품의약국(FDA)은 에콰도르에 위치한 오스트로푸드의 공장에 제조된 와나바나 아동용 사과 시나몬 과일 퓨레(사진)에서 유해 수준의 크롬 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리콜 대상에는 슈넉스와 와이스의 아동용 사과 시나몬 과일 퓨레도 포함된다.     FDA는 크롬은 필수 영양소지만, 섭취 권장량(하루 50~200㎍)을 초과하면 복통, 구토, 설사, 빈혈, 신장 및 간 기능 이상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이 제품을 섭취하고 이상하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받으라고 덧붙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FDA 소비자센터 전화(남가주: 949-608-3530, 북가주: 510-337-6741)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 11월 해당 제품은 납성분이 검출돼 리콜됐다. FDA는 가주를 포함한 30개 주에서 82건의 납 중독 및 의심 사례를,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37개 주에서 287건의 신고를 접수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리콜 과일 과일 퓨레 크롬 금속 유해 금속

2024.01.08. 18:29

썸네일

작년 자동차 리콜 3351만대, 16.5% 증가

지난해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종 3351만대를 리콜해 전년 대비 475만여대가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차 제조업체들은 지난해 리콜 횟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리콜 대상 차량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본지가 연방 교통부 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21개 제조사별 리콜 데이터를 조사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리콜된 한국차는 총 573만8193대로 전년도 291만1013대보다 97.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참조〉     업체별로는 기아가 총 311만447대로 전년 대비 113.2% 급증하며 조사 대상 가운데 4위에 올랐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는 총 262만7746대로 전년 대비 81% 증가해 전체 순위 6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동기간 한국차의 리콜 횟수는 39회로 전년도 46회에 비해 15.2%가 감소했다. 기아는 전년보다 12.5% 줄어든 총 18회로 복스왜건, 재규어/랜드로버와 함께 공동 8위에 올랐으며 현대는 18.2%가 감소한 18회로 12위를 나타냈다. 〈표2 참조〉   현대차와 기아의 리콜 횟수 감소에도 리콜 대수가 급증한 데는 지난해 9월 화재 발생 가능성으로 현대차 13종, 기아 12종 등 330만대가 리콜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사 대상 21개 업체의 지난해 총 리콜 대수는 3351만6450대로 전년도 2876만4240대보다 16.5%가 증가했다.   업체별 리콜 대수를 살펴보면 혼다(아큐라 포함)가 633만4825대로 전년 대비 2,392.2%가 폭증하며 1위를 차지했다. 혼다는 지난해 6월 후방카메라 작동 불량 가능성으로 3개 모델 120만대를 리콜했으며 3월에는 부식으로 인한 일부 차체 이탈 위험으로 구형 CR-V 61만여대를 리콜한 바 있다.   2022년 886만여 대로 1위였던 포드(링컨 포함)는 지난해 601만2884대로 31.4% 감소하며 2위에 올랐다. 포드는 지난해 3월 브레이크 호스 누유로 인한 충돌 위험 증가를 이유로 2개 모델 130만대를 리콜했다. 7월에는 주차 브레이크 이슈로 F-150 87만대를 리콜하기도 했다.   도요타(렉서스 포함)는 425만6805대로 전년 대비 432.5%가 급증하며 3위를 기록했다. 기아, 크라이슬러, 현대, 테슬라, GM, 닛산이 각각 180만~310만여대를 리콜하며 4~9위를 형성했다.   리콜 대수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업체는 마쓰다로 지난해 28만5584대를 리콜해 226대에 불과했던 전년보다 12만6264.6%가 폭증했다.   업체별 리콜 횟수로는 포드가 57회로 1위를 차지했으며 크라이슬러(지프, 닷지, 피아트, 램 포함)가 45회로 2위에 올랐다. 이어 벤츠와 BMW(미니, 롤스로이스 포함)가 각각 31회, 30회로 3, 4위에, GM(셰볼레, 뷰익, GMC, 캐딜락 포함), 닛산(인피니티 포함), 볼보가 각각 25, 23, 22회로 뒤를 이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차 자동차 업체별 리콜 제조사별 리콜 리콜 횟수 리콜 기아 Auto News

2024.01.07. 18:00

썸네일

LA ‘멜리사스 김치’ 리콜…앨러지 유발 생선 성분 미표기

LA에서 판매된 김치 1000통 이상이 성분 미표기로 리콜됐다.   연방식품의약청(FDA)은 LA에 있는 ‘월드 버라이어티 프로듀스’사의 멜리사스 김치(Melissa's Kimchi·사진)가 앨러지 유발 성분인 생선을 라벨에 표기하지 않아 1120통의 김치 제품을 회수 조치한다고 26일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23년 12월 15일부터 21일 동안 대량 판매된 멜리사스 김치 핫 14온스로 캘리포니아의 ‘OK 프로듀스 그로세리 아울렛(OK Produce grocery outlet)’, 텍사스의 ‘브룩셔 브라더스(Brookshire Brothers)’, 플로리다의 ‘선인터내셔널스토어(Sun International stores)’ 등  3개주에 유통됐다.   FDA는 생선 알레르기 반응으로는 입술 부음 및 두드러기부터 심하면 호흡 문제와 쇼크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FDA는 해당 제품을 즉시 폐기하거나 구매한 매장에서 환불받으라고 권고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판매 업체에 전화(800-588-0151)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현재까지 질병 관련 보고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예진 기자 [email protected]김치 리콜 김치 리콜 김치 제품 리콜 대상

2023.12.27. 20:3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