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올해 미국 순이민〈이민자 유입-국외 이주자〉, 70년 만에 마이너스 기록 가능성"

올해 미국을 떠나는 사람의 수가 미국으로 이주해 온 사람의 수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만약 미국의 순이민이 마이너스를 기록한다면, 70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이다.   7일 워싱턴DC의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와 미국기업연구소(AEI)가 내놓은 공동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순이민자 수가 최악의 경우 -52만5000명을 기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기업연구소의 스탠베이거 박사는 "범위 오차가 조금 있을 수는 있지만,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은 확실히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순이민자 수가 마지막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때는 1960년이었다. 이후 계속 미국 순이민은 플러스를 기록했고, 금융위기 당시였던 2008년에도 미국 순이민 수는 17만4000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이 컸던 2020년 순이민도 조사 기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30만~80만명 사이를 유지했다.     올해 미국 순이민 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도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온 배경은 역시 반이민 정책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정책으로 불법적으로 남부 국경을 넘어 들어온 이들이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합법적인 이민을 추진하는 이들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베이거 박사는 "신규 영주권자와 학생비자 소지자, 전문직 취업비자(H-1B) 등을 활용한 외국인 유입도 급감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불체자 단속과 구금, 추방, 자발적 출국이 늘면서 예상보다 102만명 이상 많은 사람이 미국을 더 떠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문제는 이와 같은 급격한 이민 감소로 미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이민 축소에 따라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예상했던 수준보다 0.3~0.4%포인트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베이거 박사는 "GDP에 미치는 영향이 표면적으로는 크지 않아 보일 수 있지만, 10년 동안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계산해 보면 GDP 감소 폭이 최근 통과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 패키지 비용과 같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브루킹스연구소의 예측은 다른 연구에 비해선 상당히 비관적인 예측이다. 지난달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 순이민이 팬데믹 당시 수준인 50만명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인해 순이민자 수가 2025년 30만명, 2026년에는 20만명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추정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마이너스 마이너스 기록 이민자 유입 올해 순이민

2025.07.07. 20:08

1분기 마이너스 성장…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폭

1분기 국내 경제가 역성장을 기록하면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고물가 속 경기 침체를 가리키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데에는 대체로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다만 실제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될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 정책 효과가 아직 반영되지도 않은 1분기부터 이미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기 때문에 이후 상황이 더욱 악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1분기 역성장은 앞으로 올 경기 둔화의 신호라는 것이다.     사르마야 파트너스의 와시프 라티프 최고 투자책임자(CIO)는 “시장에서 예상하지 못한 역성장”이라며 “경제성장 둔화와 여전히 끈적한 인플레이션은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시나리오에 접어들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일맥상통한다”고 했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역성장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며 경기 침체로 단정 짓기는 이르다는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상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관세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이 수입을 앞당긴 것이 GDP 수치에 영향을 미쳤다. GDP 통계에서는 수출은 증가율을 높이지만, 수입은 반대로 성장률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손성원 로욜라 메리마운트대학 금융경제학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기업의 수입 규모가 예년과 비슷했다면 1분기 성장률은 2% 정도로 나타났을 것”이라며 “국내 경제는 여전히 견고하지만, 일시적인 수입 증가로 인해 성장률이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경기 침체 가능성을 낮게 보는 또 다른 근거로는 민간지출 증가율이 3.0%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인다는 점이 꼽힌다. 민간지출은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물품과 서비스의 규모로, 실질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다.   해리스 파이낸셜그룹의 매니징 파트너 제이미 콕스는 “수입 급증을 고려하면 이번 GDP 성장률이 이 정도에 그친 것이 오히려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며 “실질 최종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손 교수는 경기 전망에 대해서 “역성장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감세와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후를 지켜봐야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한 “스태그플레이션 여부는 경기보다 물가 움직임에 달려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관세가 시행될 경우 물가가 급등해 결국 경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책 당국의 대응이 향후 물가와 경기를 좌우할 결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원희 기자스태그플레이션 마이너스 마이너스 성장 경제성장 둔화 이번 역성장

2025.04.30. 19:5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