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정은 시인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를 썼다. 지금은 20세다. 그녀의 시 ‘시인 키우기’ 일부를 여기에 소개한다. “작은 시인은 어느새 훌쩍 자라나/ 자신이 꿈꾸는 사랑으로 집을 짓는다/ 팔리지 않아도 괜찮아/ 멋쩍은 내 글짓기 실력으로 건네는 위로/ 온갖 더위에 먹음직스러운 시집이 되어/ 내 집을 지어 준 것도 아닌데/ 리어카 위에 갓 구운 시를 싣고 판매원을 자처한다” 시를 써놓고 그리고 ‘팔리지 않아도 괜찮아’ 해놓고는 ‘리어카 위에 갓 구운 시를 싣고 판매한다고 했다. 아마 판매의 덕택인지는 몰라도, 하여튼 지금 그녀의 시집은, 한국에서 베스트셀러로서 인기리에 잘 팔리고 있다. 마종기 시인의 산문집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에 보면, 한국에 시인이 4만 명이 넘는다고 했다. “그런데 1년에 한 편의 시를 발표할 수 있는 시인은 백 분의 일이될까요?”라고 말했다. 백 분의 일이라는 말은 400명의 시인을 말한다. 이 중에서 200명 정도만 원고료를 받을 거라고 했다. 대부분의 시인들은 일 년에 한 편의 시도 쓰지 못한다고 했는데!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다. 왜냐면 모든 문예지는, 문예지도 돈을 벌고 먹고 살아야 하니까, 유명하지 않은 시인들한테는 시를 써달라고 청탁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시인은 발표할 지면이 없으니까, 쓰고 싶은 의욕이 사라지고 만다. 나부터도 글을 쓰는 이유는, 발표해주는 신문사나 잡지사가 있기 때문이다. 차정은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고 했는데, 거꾸로 나는 80세에, 김정기 선생님의 지도 아래, 시 공부를 시작했다. 여기에 나의 시 ‘80에 시공부하다’ 한 토막을 적어본다. “여기는 시 학습교실/ 어느 사람이 묻는다/ 몇 살이요?/ 80/ 늙은 나이에 시 공부는 왜 합니까? 편안하게 사시다가 죽을 채비나 하시는 게 나을 텐데요/ 옳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시공부하니 내 삶이 더 편안해진 것 같습니다.” 나는 생사윤회와 인과응보를 믿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시를 아주 잘 쓴다. 천재시인으로 태어난 것이다. 불교에서는 전생의 업을 믿는다. 전생에 시에 대한 공부를 많이 했으면, 태어날 때 천재시인으로 태어난다. 나는 늙었다. 은퇴했다. 시간이 남아 돌아가기에, 지금 시 공부를 하고 있다. 내가 죽은 후, 다음 세상에서 어느 정도의 시 천재성을 갖고 태어나리라고 믿고 있다. 왜 시를 택했는가? 시는 짧아서 쓰기가 쉽고, 읽기가 쉽다. 소설은 너무 길어서 쓰기도 어렵고 또한 읽기도 힘이 든다. 그래서 나는 시를 선택했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차정은 시집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시에 대한 그리고 시를 쓰는 느낌이나 감정은 젊은이나 늙은이나 거의 같다는 것을 알았다. 차정은이는 젊으니까 시를 ‘리어카에 싣고 다니면서 팔아야만 하지만’, 나는 늙었기에, 취미로 시를 쓰니까, 팔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다르다. 대부분의 나이 먹은 시인들은 자기 돈을 써가면서 시를 쓴다. 왜? 시 쓰는 것을 취미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좋아서 하는 것이니까, 자기 돈을 쓰는 것은 당연하다. 나태주는 말한다. “‘어디 시가 밥 먹여주나?’고 묻는 세상을 향해 영혼의 허기를 채워준다고 답한다.”고 했다. 영혼의 허기를 채우기 위해서 시를 쓴다? 그런 것 같기도 한데. 조성내 / 컬럼비아 의대 정신과 임상 조교수삶의 뜨락에서 리어카 마종기 시인 김정기 선생님 글짓기 실력
2025.09.04. 17:50
지나간 것들은 그립다. 고향집 마을 옹기종기 붙은 삼거리 초가집에서 보낸 유년의 기억은 텃밭에서 돋아난 버섯처럼 동그라미를 그린다. 먼 산 봉우리에 살얼음이 녹기 시작하면 비슬산을 감싸고 지천으로 핀 참꽃(진달래)은 핏빛 사랑을 품고 광활한 참꽃군락지를 이룬다. 삼만이 아재는 땔감을 장만하러 산에 갈 때마다 참꽃 한아름 꺾어 내 손에 쥐어주었다. 옥이 언니는 양지 바른 툇마루에 날 앉히고 ‘꼬마 공주님’ 하며 머리에 참꽃을 매달았다. 왠지 가슴이 떨려 왔다. 하모니카 불듯 꽃잎 따서 입 안에 넣으면 쌉쌀하고 달콤한 향기가 혀 끝을 맴돌았다. ‘늙마에 미국 가는 친구/ 이메일과 전화에 매달려 서울서처럼 살다가/ 자식 곁에서 죽겠다고 하지만/ 늦가을 비 추적추적 내리는 저녁 인사동에서 만나/ 따끈한 오뎅 안주로/ 천천히 한잔할 도리는 없겠구나./ 허나 같이 살다 누가 먼저 세상 뜨는 것보다/ 서로의 추억이 반짝일 때 헤어지는 맛도 있겠다’-황동규 ‘이별 없는 시대’ 중에서. 시인은 스코틀랜드 위스키 발렌타인을 좋아한다. 나는 술을 전혀 못 마시지만 서울 갈 때 가끔식 여행 가방 속에 발렌타인21을 챙겨 간다. 선생님은 소중하게(?) 아껴 드시고 반쯤 남으면 뚜껑을 닫아 주머니에 넣으신다. 사람이 사람을 좋아하는건 그냥 수양버들에 묶인 그네가 하늘 높이 나는 신선한 자유로움이다. ‘이별 없는 시대’의 ‘늙마’는 미국으로 떠나는 친구 마종기다. 마종기 시인은 1965년 군의관으로 군 복무 중 ‘한일 굴욕외교 반대 재경 문인 82인 서명’ 사건으로 수감됐다가 미국으로 추방되듯 이민을 간다. 마종기 시인은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진단방사선과 전문의를 거쳐 톨리도에서 방사선의사로 역임한 후 은퇴했다. 주립대학 시절 타계한 친구 기일이 오면 4시간을 운전해 꽃을 들고 우리 동네에 있는 데이빗 묘지를 찿아왔다. ‘지금도 아빠를 기억하는 친구 있을까?/ 없어도 친구가 있으니까./ 기억도 못 해 주는 친구는 뭐해?/ 내가 사랑하니까. (중략)/ 아빠는 그럼 사랑을 기억하려고 시를 쓴거야?/ 어두워서 불을 켜려고 썼지./ 시가 불이야?/ 나한테는 등불이었느니까.(중략)/ 오래 전 고국을 떠난 이후 쌓이고 쌓인 눈으로 내 발자국 하나도 식별할 수 없는 천지지만 맹물이 되어 쓰러지기 전에 일어나 길을 떠난다. -마종기 ‘대화’ 중에서 아픔과 고통, 사랑과 미움, 이별과 그리움은 살아있는 동안 넘치는 축복이였다. 사라져 별이 되는 순간에도 언약의 말들은 사랑의 끈을 놓치 않는다. ‘누군가 조용히/ 풍경 속으로 들어온다/ 하늘가에 별이 하나 돋는다’ 황동규 시인은 ‘외로움’의 존재론적 의미를 ‘홀로움’이라는 새로운 경지로 승화시킨다. 바람이 매섭게 심장을 헤집고 폭풍이 몰아치는 날에도 그대가 풍경 속에 있기에 외롭지 않았다. 찬란했던 시절. 그 아름다운 풍경 속으로 걸어가면 눈물이 방울져 내리는 내 손에 안개꽃 한아름을 건네준다. 세월이 지나간 풍경 속에 따스한 햇살로 남은 그대여! 다시 만날 수 없다 해도 작별이 끝이 아닌 것처럼, 사랑이 재가 될 때까지 불꽃으로 타오르기를. (Q7editions 대표) 이기희이기희 하늘 친구 마종기 마종기 시인 그네가 하늘
2024.12.24.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