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삶의 뜨락에서] ‘리어카 위에 갓 구운 시를 싣고’

New York

2025.09.04 17:5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차정은 시인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를 썼다. 지금은 20세다. 그녀의 시 ‘시인 키우기’ 일부를 여기에 소개한다.
 
“작은 시인은 어느새 훌쩍 자라나/ 자신이 꿈꾸는 사랑으로 집을 짓는다/ 팔리지 않아도 괜찮아/ 멋쩍은 내 글짓기 실력으로 건네는 위로/ 온갖 더위에 먹음직스러운 시집이 되어/ 내 집을 지어 준 것도 아닌데/ 리어카 위에 갓 구운 시를 싣고 판매원을 자처한다”
 
시를 써놓고 그리고 ‘팔리지 않아도 괜찮아’ 해놓고는 ‘리어카 위에 갓 구운 시를 싣고 판매한다고 했다. 아마 판매의 덕택인지는 몰라도, 하여튼 지금 그녀의 시집은, 한국에서 베스트셀러로서 인기리에 잘 팔리고 있다.  
 
마종기 시인의 산문집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에 보면, 한국에 시인이 4만 명이 넘는다고 했다. “그런데 1년에 한 편의 시를 발표할 수 있는 시인은 백 분의 일이될까요?”라고 말했다. 백 분의 일이라는 말은 400명의 시인을 말한다. 이 중에서 200명 정도만 원고료를 받을 거라고 했다. 대부분의 시인들은 일 년에 한 편의 시도 쓰지 못한다고 했는데! 그것은 사실일 수도 있다. 왜냐면 모든 문예지는, 문예지도 돈을 벌고 먹고 살아야 하니까, 유명하지 않은 시인들한테는 시를 써달라고 청탁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시인은 발표할 지면이 없으니까, 쓰고 싶은 의욕이 사라지고 만다. 나부터도 글을 쓰는 이유는, 발표해주는 신문사나 잡지사가 있기 때문이다.  
 
차정은은 초등학교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고 했는데, 거꾸로 나는 80세에, 김정기 선생님의 지도 아래, 시 공부를 시작했다. 여기에 나의 시 ‘80에 시공부하다’ 한 토막을 적어본다.  
 
“여기는 시 학습교실/ 어느 사람이 묻는다/ 몇 살이요?/ 80/ 늙은 나이에 시 공부는 왜 합니까? 편안하게 사시다가 죽을 채비나 하시는 게 나을 텐데요/ 옳은 말씀입니다. 그런데 시공부하니 내 삶이 더 편안해진 것 같습니다.”
 
나는 생사윤회와 인과응보를 믿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시를 아주 잘 쓴다. 천재시인으로 태어난 것이다. 불교에서는 전생의 업을 믿는다. 전생에 시에 대한 공부를 많이 했으면, 태어날 때 천재시인으로 태어난다. 나는 늙었다. 은퇴했다. 시간이 남아 돌아가기에, 지금 시 공부를 하고 있다. 내가 죽은 후, 다음 세상에서 어느 정도의 시 천재성을 갖고 태어나리라고 믿고 있다.
 
왜 시를 택했는가? 시는 짧아서 쓰기가 쉽고, 읽기가 쉽다. 소설은 너무 길어서 쓰기도 어렵고 또한 읽기도 힘이 든다. 그래서 나는 시를 선택했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차정은 시집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시에 대한 그리고 시를 쓰는 느낌이나 감정은 젊은이나 늙은이나 거의 같다는 것을 알았다. 차정은이는 젊으니까 시를 ‘리어카에 싣고 다니면서 팔아야만 하지만’, 나는 늙었기에, 취미로 시를 쓰니까, 팔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다르다.
 
대부분의 나이 먹은 시인들은 자기 돈을 써가면서 시를 쓴다. 왜? 시 쓰는 것을 취미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가 좋아서 하는 것이니까, 자기 돈을 쓰는 것은 당연하다. 나태주는 말한다. “‘어디 시가 밥 먹여주나?’고 묻는 세상을 향해 영혼의 허기를 채워준다고 답한다.”고 했다. 영혼의 허기를 채우기 위해서 시를 쓴다? 그런 것 같기도 한데.

조성내 / 컬럼비아 의대 정신과 임상 조교수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