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지난해 10월 양산 시작 11개월만에 사령탑을 교체했다. 현대차는 2일자로 허태양(토니 허·사진)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 생산실장(상무)을 메타플랜트 신임 CEO(최고경영자)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권오충 HMGMA 전 CEO는 현대차 재직 33년만에 은퇴한다. 허 신임 CEO는 부산대 기계공학과 출신으로 1995년 현대차에 입사한 뒤 2021년부터 앨라배마 공장에서 생산실장으로 일했다. 그는 조지아주 엘라벨 시의 HMGMA 최종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 참여했다. 현대차그룹은 메타플랜트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기 위해 허 신임 CEO를 전략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HMMA는 단일 생산라인에서 내연기관은 물론 하이브리드, 전기차까지 생산가능한 공정을 갖추고 있다. HMMA의 노하우는 조지아주 사바나의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이식되고 있다. 마크 레이더 HMMA 사장은 지난 5월 본지 인터뷰에서 “메타플랜트 가동과 관련해 가능한 한 많은 도움을 주려고 노력했다”며 “메타플랜트 출범 전 수개월간 공장 견학과 벤치마킹이 있었다. 우리가 얻은 교훈을 그들에게 전수했기에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2024년부터 1년간 HMMA를 이끈 크리스 수속 전 사장은 북미 제조총괄책임(CMO)로 자리를 옮겼으며, HMMA와 메타플랜트를 통합 관리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차 메타플랜트 앨라배마 생산실장 메타플랜트 수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2025.09.02. 15:19
2.5마일 가는데 30분...체증 피해 뒷길로 다니기도 지난해 말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그룹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 인근의 교통 체증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한때 시골이었던 곳이 이제는 애틀랜타의 러시아워 교통 체증과 맞먹을 정도여서, 주민들이 (빠져나오기 힘든) '수렁'(the quagmire)이라고 부를 정도다. 사바나 서쪽으로 약 20마일 떨어진 메타플랜트가 작년 10월 문을 열기 전 I-16은 한산한 고속도로였다. 그러나 메타플랜트와 협력업체 공장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교통 체증이 심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현재 메타플랜트에 건설 관계자를 제외하고도 약 150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더해 인근 총기 제조업체인 다니엘 디펜스와 비닐제품 제조업체인 오라폴 등의 직원들도 출퇴근 시간 몰리면서 교통 체증이 심화됐다. 출퇴근 시간만 되면 고속도로 양쪽 갓길까지 차량이 정체되는 일이 잦아졌다. AJC는 메타플랜트 직원이 어느날 새벽 공장으로 향하던 중 고속도로를 빠져나가는 데만 12분 넘게 걸렸다고 전했다. 오후에는 교통 체증이 더 심각해져 직원 주차장에서 I-16까지 2.5마일을 가는데 평균 30분이 걸린다고 밝혔다. 이마저도 작년 거의 1시간이 걸린 것에 비해 단축된 것이다. 일부 통근자들은 이곳 일대의 교대 근무 시간대 교통 체증은 애틀랜타 ‘스파게티 정크션(I-85 북쪽 방면 I-285 인터체인지)’과 애틀랜타 다운타운 커넥터의 러시아워 체증과 맞먹는다며 혀를 내둘렀다. I-16 고속도로와 U.S. 280번 고속도로가 만나는 143번 출구는 메타플랜트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공장 진입로(제네시스 드라이브)는 280번 도로에서 수백 야드 더 들어가야 한다. 현재 2차선인 280번 고속도로를 4차선을 넓히는 동시에 로터리 5개를 설치하고, I-16의 출구 램프를 확장하는 등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순조롭게 진행되던 공사는 지난해 열대성 폭풍 데비, 허리케인 헐린과 밀턴을 연달아 거치며 늦어졌다. 공장이 가동된 지 7개월이 지난 지금에서야 일부 도로 공사가 거의 완료됐으며, 인근 로터리와 도로 확장 공사는 6월 완공 예정이다. 출구 램프 확장 공사 완공 시기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메타플랜트 동쪽으로 또 다른 I-16 교차로가 계획돼 있지만, 2027년 완공 예정이어서 올해 말까지 공사가 시작되지 않는다.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메타플랜트 측은 여러 조치를 취했다. 생산 시작 시간을 30분 늦추고, 사무실 직원들에게 공장 출근 시간을 늦추도록 권장했다. 지역 주민들은 ‘수렁’을 피하기 위해 ‘뒷길’을 이용해 출근한다. 공장에서 7마일 떨어진 에덴에 산다는 한 직원은 I-16에 진입해 280번에서 약 6마일 떨어진 137번 출구에서 나온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들도 “먼 길을 돌아간다”면서도 “이제 다른 길도 점점 막히고 있다. 공장을 짓기 전에 도로를 먼저 정비했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윤지아 기자메타플랜트 아메리카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메타플랜트 직원 교통 체증
2025.04.25. 1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