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충전 방식의 헤어기기(고데기 포함.사진)의 위탁수하물 반입이 전면 금지됐다. 연방교통안전청(TSA)과 연방항공청(FAA)은 최근 소셜미디어 공지를 통해, 앞으로 항공기 탑승객이 무선충전 헤어스타일링 기기(Hair Straightener·Flat Iron)를 위탁수하물(checked baggage)로 부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기기는 기내용 가방(carry-on bag)에 넣을 경우 반입이 가능하다. 무선충전 제품은 리튬 배터리 또는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기기이며 승객 1인당 1개만 허용된다. 또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열폭주 방지 케이스에 넣어야 하며, 여분의 충전용 가스 카트리지는 반입할 수 없다. TSA는 “해당 기기는 반드시 기내용 가방에 넣어 공항 보안 검색대를 통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SA에 따르면 2006년부터 올해까지 기내에서 리튬 배터리로 인한 연기 및 화재 사고가 644건 보고됐다. TSA는 “항공 안전을 위한 조치인 만큼 탑승객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앞서 TSA는 지난 6월에도 항공기 안전 관리를 위해 리튬이온 배터리 장착 전자기기의 휴대 및 수하물 규정을 강화했다. 당시 휴대용 충전기, 휴대폰 배터리 케이스, 리튬 보조배터리 등은 기내용 가방에만 반입할 수 있다고 공지한 바 있다.〈본지 6월 5일자 A-2면〉 관련기사 배터리, 위탁수하물 안된다…기내용 가방에 넣어 반입 가능 기내 반입 제한 및 금지 품목 494종에 대한 세부 규정은 TSA 웹사이트(tsa.gov/travel/security-screening/whatcanibring/all)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위탁수하물 무선충전 기내용 가방 위탁수하물 반입 무선충전 헤어스타일링
2025.08.26. 22:13
캘리포니아주 최초로 UCLA 캠퍼스 도로에 전기 충전 시스템이 구축된다. 완공될 경우 전기 버스는 도로를 주행하며 자동 충전을 할 수 있다. 최근 UCLA는 보도자료를 통해 가주 교통국(Caltrans) 지원으로 1985만 달러 예산을 들여 도로 전기 충전 시스템(electric road charging system) 구축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도로 전기 충전은 전기 버스가 도로를 주행할 때 도로 면 지하에 매설된 무선 충전 시설을 통해 자동으로 충전되는 시스템이다. 지난해 11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관련 시범 사업이 공개된 바 있다. 가주 도로 전기 충전 시스템 구축은 이번이 처음이다. UCLA는 자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도로 전기 충전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공사는 2028년 올림픽 개최 전에 끝낸다는 계획이다. 브루인 버스 노선(BruinBus routes)으로 이름 지어진 도로 전기 충전 구간은 약 3.5마일이다. UCLA 측은 해당 구간에 웨스트우드 상업 지구, 학생 주거 단지, UCLA 메디컬 센터 등 학교 시설 등이 포함된다고 전했다. 현재 UCLA는 전기 버스 5대를 운용하고 있다. 이번 사업 계획에 따라 전기 버스 8대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무선충전 시스템 시스템 구축 전기충전 시스템 무선충전 시설
2024.12.01. 18:48